본 연구는 고등교육과 관련하여 체육(또는 스포츠)의 학문성과 전문성에 관한 개념적 틀을 보다 뚜렷이 하고, 우리나라 대학 체육계열학과의 다양화 및 특성화에 있어 학문성지향(교과과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2505
201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교육과 관련하여 체육(또는 스포츠)의 학문성과 전문성에 관한 개념적 틀을 보다 뚜렷이 하고, 우리나라 대학 체육계열학과의 다양화 및 특성화에 있어 학문성지향(교과과정)...
본 연구는 고등교육과 관련하여 체육(또는 스포츠)의 학문성과 전문성에 관한 개념적 틀을 보다 뚜렷이 하고, 우리나라 대학 체육계열학과의 다양화 및 특성화에 있어 학문성지향(교과과정)과 전문성지향(교과과정)을 체계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개의 연구 주제로 구성된다.
《연구 주제 1》체육의 학문성 대 전문성 논쟁의 향배(向背) 1) 본 연구는 먼저 한국에서의 체육의 학문성에 관한 논의를 시기, 주제, 논리, 결과 등의 항목으로 분석한다. 그 다음 헨리(Henry)를 비롯한 체육의 학문성 논의를 주도한 학자의 논문을 분석하여 우리 경우와 대조함으로써 연관성을 검토할 것이다. 2) 키네지올로지(kinesiology)의 채택을 촉진한 뉴엘(Newell, K.)과 전문적 준비(professional preparation)를 강조한 시덴톱(Siedentop, D.)을 비롯하여 『QUEST』에서 펼쳐진 1990년의 논쟁과 1998년의 재논의 과정 및 내용을 분석할 것이다. 3) ‘한국에서의 체육의 학문성 논의의 흐름 및 성과’, ‘미국에서의 체육의 학문성 대 전문성 논쟁’을 분석, 비교하면서 체육의 학문성 및 전문성에 관한 논의에 담긴 함의를 종합하는 것으로 마무리할 것이다. 전문가회의를 통하여 본 연구자의 논의 및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연구 주제 2》체육의 학문성 대 전문성 논쟁의 시사 1) 1차 연도에서 살펴볼 뉴엘의 학문성 주장과 시덴톱의 전문성 주장을 중심으로 하여 체육(또는 스포츠)에 관한 대학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준거를 구체화한다. 2) 1998년 『QUEST』 50권 2호에 게재된 미국 대학 사례를 참조하여 학문성 지향의 학과 사례, 전문성 지향의 학과 사례를 선별하여 시사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3) 우리나라 체육계열학과의 교과과정을 분석한다. 학과 유형별 지향(학문성, 전문성), 학과 유형별 교과과정의 공통점 및 차이점, 학과 유형별 지향(교육목표)과 교과과정의 연관성, 학과 유형별 지향(교육목표)과 교과과정의 합목적성 등에 관심을 둘 것이다. 4) 체육(또는 스포츠)의 학문성 및 전문성의 맥락을 염두에 두면서 우리나라 체육계열학과의 존립 양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도출한다. 방향의 모색은 학문성 중심 체육계열학과의 조건 및 과제, 전문성 중심 체육계열학과의 조건 및 과제, 또는, 종합(학문성, 전문성 동시 추구) 체육계열학과의 조건 및 과제와 같이 체육계열학과의 존립 방식을 고려한다. 전문가회의를 통하여 본 연구자의 논의 및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