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GHQ 문서를 중심으로 한일관계 관련문서를 조사, 수집하여, 주제군별로 목록집, 해제집과 자료집을 발간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별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연차별 연구내용을 요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9451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GHQ 문서를 중심으로 한일관계 관련문서를 조사, 수집하여, 주제군별로 목록집, 해제집과 자료집을 발간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별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연차별 연구내용을 요약...
본 연구는 GHQ 문서를 중심으로 한일관계 관련문서를 조사, 수집하여, 주제군별로 목록집, 해제집과 자료집을 발간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별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연차별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년차 : 한일관계 기초자료의 조사 수집 및 쟁점별 목록집 작성
본 연구의 1년차 목표는 GHQ 문서 중 한일관계 관련 문서를 조사,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쟁점별 목록집을 작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수집대상 자료 중 가장 핵심이 될 문서는 연합국 총사령부(GHQ/SCAP)의 문서이다. 이 자료는 1945년에서 1952년까지 점령정책 실행기관인 GHQ/SCAP에서 생산된 약 3천만 페이지에 달하는 문서로, 미국 국립문서관(NARA)의 레코드 그룹(RG) 331("Records of Allied Operational and Occupation Headquarters, World War Ⅱ")에 포함되어 있다.
1차적으로 GHQ 문서를 비롯한 관련 1차 자료의 소재와 수집현황, 소장 자료의 범위를 국사편찬위원회를 비롯한 국내 유관기관을 망라하여 파악한 후에, 일본과 미국 등 해외의 공문서관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범위를 넓혀갈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한일회담의 전사(前史)로서의 한일관계 연구’의 목적에 따라 주제군별로 목록집을 작성, 발간할 계획이다.
2) 2년차 : 주제별 자료집 및 해제집 발간
본 연구의 2년차 목표는 1년차에 수집, 정리, 분류된 자료들을 대상으로 해제집 및 주요문서 자료집을 발간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초자료 확보를 통해 향후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적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해제집은 1년차에 작성된 목록집에 수록된 문서들에 대한 형성경위와 작성기관, 문서의 성격 등을 포괄하는 총괄적 해설을 담을 것이다. 또한 수집된 문서들 가운데 핵심자료를 쟁점별로 편집하여 자료집을 발간할 계획이다. 자료집의 분류 기준이 되는 주제군은 1, 2단계의 한일회담 연구의 연속선상에서 설정된 3단계 연구주제에 따라 청구권 및 경제관계, 재일한인 관계, 어업 및 평화선 관계, 독도 및 영토관계, 문화재 관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관계, 안전보장 및 기타 관계로 총 7개의 주제군이 될 것이다.
3) 3년차 : 실증연구 및 연구 가이드북 발간
본 연구의 3년차 목표는 1, 2년차에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 분류된 자료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학술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연구 주제군은 크게는 한일회담의 주요 의제들에 대한 전사(前史) 연구, 현대 한일관계의 기원 연구가 될 것이며, 세부적으로는 재산청구권 문제, 재일한인의 귀환 및 법적지위 문제, 어업관계 및 평화선 문제, 독도문제 및 영토문제, 문화재 문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안전보장 및 기타 문제가 될 것이다. 한일관계 연구가 일국사적 관점을 넘어 동아시아 국제관계 속에서 조망되어지기 위해서는 당시 한일회담 및 한일관계 현안들에 대한 미국의 전후구상 및 점령정책과의 연관성을 해명하는 작업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관련 자료들의 발굴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대다수의 기존 연구가 1차 자료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무엇보다도 1차 자료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한 새로운 사실발견 및 해석, 그리고 새로운 시각의 제시를 목표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일관계의 원형으로서 한일회담 이전 시기(1945-1951년)를 재조명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3차년도에는 1년차 목록집 발간, 2년차 해제집 및 자료집 발간에 이어 본 연구소의 자료 조사 및 수집 과정의 노하우를 담아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북을 발간할 계획이다. 본 연구가이드 북은 한일회담 이전 시기 연구를 위해 연구자들이 이 시기에 대한 자료적 접근과 활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한일회담 이전 시기(1945-1951년) 관련 자료의 소장실태와 이용 현황, 이들에 대한 접근 방법 등 검색 매뉴얼을 첨부함으로써 연구자들의 자료 이용에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