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영화 간접배급구조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492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stribution of Korean films had been based on "an indirect distribution system by regions", which was formed in the late 1950s and had been effective until 1990s. This system is a way of block-booking by regions, which divided Korea into six commerci...

      Distribution of Korean films had been based on "an indirect distribution system by regions", which was formed in the late 1950s and had been effective until 1990s. This system is a way of block-booking by regions, which divided Korea into six commercial blocks; Seoul including its neighboring districts, Pusan area, Gwangju area, Daegu area, Daejeon area, and Kyungi area. Distributors in each region payed production companies for distribution rights in their own regions, which guaranteed their rights to screen films in the region. This system was managed to be effective until 1998, when multiplex theaters were established and wide release became a common way of releasing a film.
      This system, however, has been criticized by various studies as having distorted the Korean film market by preventing those who made films from taking the box office revenues enough. This study starts with questioning this existing criticism. The study suggests that if putting the system in a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film industry, the system had played not only a role of distribution but also a very important role as investors to production.
      In this regard, the study tries to reread the meaning of "the indirect distribution system of Korean films" under the overall historical context of the Korean film industry. In other words, the status of the system is worth being evaluated in a more positive way, when it is put in the whole film industry system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creening. Secondly, by examining the system itself, this study attempts to characterize the Korean film market by regions at that time. The market sizes of regional film industries can be projected by analyzing the ratio of per regions. Thirdly, this thesis aims to balance discourses on the indirect distribution system of Korea, which has been established historical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 2. 간접배급 구조의 형성
      • 3. 지역별 간접배급 구조
      • 4. 영화산업 구조와 배급체계
      • 5. 직접배급 체계로의 변화
      • 1. 들어가며
      • 2. 간접배급 구조의 형성
      • 3. 지역별 간접배급 구조
      • 4. 영화산업 구조와 배급체계
      • 5. 직접배급 체계로의 변화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영화자료편람" 영화진흥공사 1977.

      2 "한국영화성장기의 토대에 대한 연구」" 2002

      3 "한국영화 유통산업의 구조 성과에 관한 연구」" 1995

      4 "한국영화 상영관의 변천과 발전방안" 문화관광부. 2001

      5 "한국영화 배급시스템 연구" 영화인회의 2003

      6 "우리나라 영화시장. 지난 10여 년 동안의 관객 동향과 흥행실태 분석 메이커사 자체제작 부진-거의가 대명해 PD 제작 80% 점유" 1971년12월호.

      7 "우리 영화의 저질성 원인" 1973년8월호

      8 "외화를 수입한 업자" 1972년1월호

      9 "영화유통구조의 실태와 배급개선책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논문집" 영화진흥공사. 1984

      10 "영화산업은 어데로 가느냐 -대영 해산을 둘러싸고" 1972년1월호.

      1 "한국영화자료편람" 영화진흥공사 1977.

      2 "한국영화성장기의 토대에 대한 연구」" 2002

      3 "한국영화 유통산업의 구조 성과에 관한 연구」" 1995

      4 "한국영화 상영관의 변천과 발전방안" 문화관광부. 2001

      5 "한국영화 배급시스템 연구" 영화인회의 2003

      6 "우리나라 영화시장. 지난 10여 년 동안의 관객 동향과 흥행실태 분석 메이커사 자체제작 부진-거의가 대명해 PD 제작 80% 점유" 1971년12월호.

      7 "우리 영화의 저질성 원인" 1973년8월호

      8 "외화를 수입한 업자" 1972년1월호

      9 "영화유통구조의 실태와 배급개선책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논문집" 영화진흥공사. 1984

      10 "영화산업은 어데로 가느냐 -대영 해산을 둘러싸고" 1972년1월호.

      11 "연감 및 단행본 영화백과 제1호 영화백과 편찬위원회" 1975.

      12 "어떻게 하면 영화가 잘될까요 =지방 배급업자가 말하는 영화계 지방배급업자와의 대담" 1972년1월호

      13 "배급망 확립의 시급성" 1963년10월호

      14 "미군정기 영화정책에 관한 연구」" 1997

      15 "논문 및 보고서김대호 1990년대 한국영화산업에 대한 평가 위기론에 대한 반론」" 43 (43): 1998

      16 "극심한 흥행부진으로 진통" 1971년12월호.

      17 "개정증보판-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18 "1975년도 영화시책 中 ‘12. 영화배급협회 운영" 제1 :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9-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Film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Fisak) -> Korean Cinema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4-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영화연구
      외국어명 :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1.0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