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고전종합DB"
2 하여주, "조선후기 유교 젠더 규범와 양반 여성의 대응" 부산대학교 2022
3 하여주, "조선후기 여성 교훈서로 본 시가(媤家) 흥망 책임 담론의 형성과 발전" 한국문화융합학회 44 (44): 1003-1018, 2022
4 조혜란, "조선시대 여성 독서의 지형도" 8 : 2005
5 황수연, "조선시대 규훈서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기대와 경계" 열상고전연구회 (32) : 143-172, 2010
6 이지영, "조선시대 규훈서(閨訓書)와 여성의 문자문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8) : 81-113, 2012
7 이숙인, "조선시대 교육의 젠더 지형도"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333-368, 2006
8 김경남, "조선 시대 여자 교훈서(여훈서)의 유형과 의미"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753-774, 2021
9 김현미, "젠더와 사회" 동녘 2014
10 양현아, "유교의 예와현대적 해석" 청계 2004
1 "한국고전종합DB"
2 하여주, "조선후기 유교 젠더 규범와 양반 여성의 대응" 부산대학교 2022
3 하여주, "조선후기 여성 교훈서로 본 시가(媤家) 흥망 책임 담론의 형성과 발전" 한국문화융합학회 44 (44): 1003-1018, 2022
4 조혜란, "조선시대 여성 독서의 지형도" 8 : 2005
5 황수연, "조선시대 규훈서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기대와 경계" 열상고전연구회 (32) : 143-172, 2010
6 이지영, "조선시대 규훈서(閨訓書)와 여성의 문자문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8) : 81-113, 2012
7 이숙인, "조선시대 교육의 젠더 지형도"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333-368, 2006
8 김경남, "조선 시대 여자 교훈서(여훈서)의 유형과 의미"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753-774, 2021
9 김현미, "젠더와 사회" 동녘 2014
10 양현아, "유교의 예와현대적 해석" 청계 2004
11 朴京子, "우암선생 계녀서에 대한 현대여성의 意識에 관한 연구" 7 : 1974
12 김문준, "우암 송시열의 계녀서" 한국사상문화학회 (23) : 91-114, 2004
13 민병희, "송,원시기 성리학과 여성 : 사대부의 구상과 ‘여성’의 부재" 한국역사연구회 (109) : 527-572, 2018
14 충청남도, "문화유적분포지도-논산시" 충청남도·충남발전연구원 1999
15 "디지털한글박물관"
16 하여주, "근대 초기 전통 여성 교훈서로서 송시열의 계녀서 고찰 『" 인문사회 21 13 (13): 1085-1098, 2022
17 "訓婦錄"
18 "純祖實錄"
19 權諰, "炭翁集"
20 "正祖實錄"
21 김동환, "尤庵 宋時烈의 著述과 刊行에 관한 一考察" 한국서지학회 (37) : 5-21, 2007
22 宋時烈, "宋子大全"
23 성민경, "女訓書의 편찬과 역사적 전개 : 조선시대~근대전환기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8
24 "世宗實錄"
25 하여주, "『계녀서』의 탄생과 ‘조선식’ 유교 젠더 규범의 성립" 조선시대사학회 (101) : 145-175, 2022
26 윤태후, "『계녀서(戒女書)』에 나타난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효사상" 한국효학회 (25) : 57-86, 2017
27 황수연, "19~20세기 초 규훈서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4) : 359-386, 2012
28 이해준, "17세기 중엽 坡平尹氏 魯宗派의 宗約과 宗學" 11 : 2000
29 홍인숙, "17세기 여성사의 문제적 인물, 尤庵 宋時烈-碑誌類, 祭文과"우암선생계녀서"를 중심으로-" 18 : 2003
30 하여주, "17세기 송시열의 가부장적 가족주의 정착을 위한 노력과 좌절" 조선시대사학회 (79) : 423-454,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