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ctive LP-DOAS를 이용한 서울 성북구 지역의 NO₃ 농도 관측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52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NO₃ (Nitrate radical)는 O₃ (Ozone) 및 OH (Hydroxyl radical)의 농도가 적은 야간 시간대 대류권의 화학작용에서 주요 산화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대기 중 NO₃는 소멸이 빠르게 일어나 대기 중 수명이 매우 짧고 농도가 수 ppt로 매우 낮아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측정에 기술적 한계가 존재하여 아직 국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NO₃ 측정을 위해 150 W 할로겐램프를 이용한 active long-path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DOAS)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광원부와 수광부는 고려대학교 메디힐지구환경관(37°35′07″N 127°01′33″E)에, 역반사경(Retroreflector)은 고려대학교 LG POSCO 경영관 옥상(37°35′22″N 127°02′07″E)에 설치하여 빛의 총 경로 1.92 km로 2021년 8월 11부터 23일에 걸쳐 측정하였다. 실험 관측 결과, 30분 평균 농도 산정 시 NO₃ 농도가 평균 약 0.8 ppt 및 최대 1.5 ppt로 관측되었다. 타 연구에 비하여 농도 수준이 매우 낮은 것은 관측 시기가 8월로 습도가 높고, 잦은 강우의 영향을 받았으며, 또한 본 연구의 관측고도가 타 연구보다 낮아(건물 7층 높이) 지표면의 침적과 화학반응에 따른 제거 효과가 우세하여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번역하기

      NO₃ (Nitrate radical)는 O₃ (Ozone) 및 OH (Hydroxyl radical)의 농도가 적은 야간 시간대 대류권의 화학작용에서 주요 산화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대기 중 NO₃는 소멸이 빠르게 일어나 대기 중 수명이 ...

      NO₃ (Nitrate radical)는 O₃ (Ozone) 및 OH (Hydroxyl radical)의 농도가 적은 야간 시간대 대류권의 화학작용에서 주요 산화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대기 중 NO₃는 소멸이 빠르게 일어나 대기 중 수명이 매우 짧고 농도가 수 ppt로 매우 낮아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측정에 기술적 한계가 존재하여 아직 국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NO₃ 측정을 위해 150 W 할로겐램프를 이용한 active long-path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DOAS)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광원부와 수광부는 고려대학교 메디힐지구환경관(37°35′07″N 127°01′33″E)에, 역반사경(Retroreflector)은 고려대학교 LG POSCO 경영관 옥상(37°35′22″N 127°02′07″E)에 설치하여 빛의 총 경로 1.92 km로 2021년 8월 11부터 23일에 걸쳐 측정하였다. 실험 관측 결과, 30분 평균 농도 산정 시 NO₃ 농도가 평균 약 0.8 ppt 및 최대 1.5 ppt로 관측되었다. 타 연구에 비하여 농도 수준이 매우 낮은 것은 관측 시기가 8월로 습도가 높고, 잦은 강우의 영향을 받았으며, 또한 본 연구의 관측고도가 타 연구보다 낮아(건물 7층 높이) 지표면의 침적과 화학반응에 따른 제거 효과가 우세하여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