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은 국내를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 대기환경기준물질로 규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대기 중 오존 농도를 줄이기 위한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오존 농도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15292
2021
Korean
학술저널
321-32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존은 국내를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 대기환경기준물질로 규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대기 중 오존 농도를 줄이기 위한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오존 농도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
오존은 국내를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 대기환경기준물질로 규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대기 중 오존 농도를 줄이기 위한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오존 농도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기 중 오존을 관리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대기환경보전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국내 오존 대기환경기준은 8시간 평균 오존 농도의 99백분위수가 60 ppbv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고 정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대부분 지역에서 오존 농도가 이러한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2018~2020년) 동안 전국 대기오염측정망에서 수집한 오존 농도를 분석하여 오존 대기질 현황을 파악하고, 대기환경기준 달성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기준과 함께 미국과 유럽의 기준을 적용하여 비교함으로써 국내 대기환경기준 달성을 위한 세부 대책을 논의하였다. 국내 대기오염 측정망의 오존 농도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8시간 평균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관리권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할 때, 8시간 평균 기준 달성률은 수도권 0%, 중부권 3.5%, 남부권 10%, 동남권 0%로 분석되었다.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기준 초과 비율은 2020년을 기준으로 수도권 13.8%, 중부권 15.9%, 남부권 11.2%, 동남권 13.3%이며, 대기환경기준 초과비율은 최근 들어 증가하는 추세다. 미국과 유럽의 대기환경기준을 적용한 결과에서도 대부분 지점에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어, 국내 오존을 관리하기 위한 권역별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
Active LP-DOAS를 이용한 서울 성북구 지역의 NO₃ 농도 관측
한국 3개 지역(서울, 인천, 광주)의 PM2.5 화학성분 분석과 PMF 모델 적용을 통한 오염원 특성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