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칸트의 선험적 반성론과 철학상담 = Kant`s Transcendental Reflection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30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칸트의 선험적 반성론이 상담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선험적 반성론이 상담과 연관될 수 있다면 그것은 논리적 반성과 다른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논리적 ...

      본 논문은 칸트의 선험적 반성론이 상담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선험적 반성론이 상담과 연관될 수 있다면 그것은 논리적 반성과 다른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논리적 반성은 경험적 현상과 무관하게 무모순적이고 필연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고 본다. 그것은 어떤 특수한 경험적 대상들과 구별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험적 반성은 경험적 대상들과 연관되어 있다. 선험적 반성은 경험적 대상에 대한 판단을 요청한다.
      일상의 삶에 있어서 우리의 사고 과정은 우연한 법칙에 의해서 인식이 산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우리의 사고에서 필연적인 논리규칙이 언제나 따라 나오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논의는 칸트의 선험철학을 `경험적인 관점에서 해석한 키쳐의 선험심리학에서도 발견된다. 키쳐는 우리의 사고가 논리적 필연성의 법칙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우리는 일상의 삶에서 그런 법칙을 언제나 생각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경험적이고 일상적인 삶에서 논리적 필연성의 사고를 `지양`(止揚)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칸트의 선험적 반성론과 키쳐의 선험심리학은 공통점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제 이런 관점은 현대 상담의 한 조류인 인지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인지치료의 관점에 따르면 우리가 사고의 형식인 범주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정신건강에 도움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현상이나 사태에 대해 필연성을 주장하는 판단은 내담자들에게 심리적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그런 사고를 갖는 내담자들로 하여금 정언적 판단이나 선언적 판단을 하게 함으로써 그런 심리적 문제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또한 내담자로 하여금 인지적 왜곡을 일으켜 감정적인 병을 일으키는 범주적 오류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is an attempt to apply Kant`s transcendental reflection theory to counseling. Transcendental reflection is different from logical reflection. It is important that transcendental reflection be linked to counseling. Logical reflection is thou...

      This essay is an attempt to apply Kant`s transcendental reflection theory to counseling. Transcendental reflection is different from logical reflection. It is important that transcendental reflection be linked to counseling. Logical reflection is thought to be unrelated to empirical phenomena and can lead to inevitable accidents. However, transcendental reflection is related to empirical objects. Transcendental reflection is a request for a priori judgement on empirical objects.
      However, in everyday life, our thinking processes may be calculated by accident and logic does not always follow our thinking. Such discussions are also found in Kitcher`s transcendental psychology, which interpreted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Kitcher says our thinking is not based on the principle of logical necessity. We don`t always have to think about such a law in everyday life. In view of the notion that logical necessity is being denied (`jiyang`) Kant`s view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and Kitcher`s view of transcendental psychology share the common basis.
      Now this view can be applied to cognitive therapy, a type of modern counseling.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the cognitive treatment, it may be helpful to mental health, depending on how we use the form of thought, or not. For instance, a judgement on the inevitability of a phenomenon or state of affairs could cause psychological problems for patients. Thus, patients who have such accidents can feel detached from such psychological judgments or declarations, thereby distancing themselves from such psychological matters. It is also necessary to induce patients to create cognitive distortion and get rid of them from categorical failures that cause emotional disea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석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12

      2 바움 가르트너,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읽기" 철학과현실사 2004

      3 최재희,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연구" 박영사 1981

      4 권오상, "칸트의 범주론과 인지치료" 2016

      5 이진오, "칸트에 있어서 철학실천과 철학상담의 가능성" 한국칸트학회 (36) : 73-110, 2015

      6 김재호, "칸트 순수이성비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7 피터 B.라베, "철학상담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10

      8 김석수, "철학상담 방법론에 있어서 칸트철학의 의의와 한계" 새한철학회 78 (78): 229-251, 2014

      9 황수영, "철학과 인문학의 대화" 철학과 현실사 2005

      10 "제 2회 철학상담치료사 양성연수회 자료집"

      1 권석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12

      2 바움 가르트너,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읽기" 철학과현실사 2004

      3 최재희,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연구" 박영사 1981

      4 권오상, "칸트의 범주론과 인지치료" 2016

      5 이진오, "칸트에 있어서 철학실천과 철학상담의 가능성" 한국칸트학회 (36) : 73-110, 2015

      6 김재호, "칸트 순수이성비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7 피터 B.라베, "철학상담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10

      8 김석수, "철학상담 방법론에 있어서 칸트철학의 의의와 한계" 새한철학회 78 (78): 229-251, 2014

      9 황수영, "철학과 인문학의 대화" 철학과 현실사 2005

      10 "제 2회 철학상담치료사 양성연수회 자료집"

      11 박경애, "인지․정서․행동치료" 학지사 2010

      12 피터B.라베, "상담과 심리치료에서 철학의 역할" 학이시습 2016

      13 Kolakowski. L., "Traktat über die Sterblichkeit der Vernunft" München 1967

      14 Sumit, Houston, "The Role of Reflection in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80 : 1999

      15 Allison. H. E., "The Kant-Eberhard Controvers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3

      16 Strawson. P. F., "The Bound of Sense" Routledge 1966

      17 Becker.W., "Selbstbewußtsein und Erfahrung" Verlag Karl Alber Freiburg 1984

      18 Kant.I, "Schriften zur Metaphysik und Logik 2, Werkgabe Band VI" Suhrkamp Taschenbuch Verlag 1968

      19 Kant.I, "Prolegomena, Schriften zur Metaphysik und Logik 1, Werkgabe Band V" Suhrkamp Taschenbuch Verlag 1968

      20 Kant.I., "Kritik der rein Vernunft, Werkgabe Band Ⅲ" Suhrkamp Taschenbuch Verlag 1968

      21 Kitcher, Patricia, "Kant’s Transcendental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22 Frierson,P.R, "Kant’s Empirical Psyc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3 Nevid, J. S., "Kant, cognitive psychotherapy, and the hardening of the categories, in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Research and Practice" 80 : 2007

      24 Kant.I, "Anthropologie, Werkgabe Band XII" Suhrkamp Taschenbuch Verlag 1968

      25 Kelly, G. A., "A Theory of Personality" W.W. Norton 196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9 1.734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