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 노인의 여가생활 유형 연구: 유형별 여가만족도와 우울의 차이 및 유형화 영향요인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72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의 노인 여가 연구가 주로 여가활동에 한정된 접근을 해왔다는 점에 주목하고, 노인의 생활시간 특징을 포함하는 확장된 관점으로 노인 여가의 다양성을 드러내는 데에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의 응답지 총 2,994개를 데이터로 활용하여, 여가활동과 생활시간의 특징을 포괄하는 여가생활 관점의 지표로 잠재계층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여가활동만으로는 구체화되지 않았던 TV의존칩거형, 여가균형외출형, 사교중심여유형, 학습선호마실형, 여가활동집중형의 다섯 가지 노인 여가생활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출된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도와 우울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유형 결정의 영향 요인을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여가 복지 정책이 단순히 여가활동 참여를 독려하는 데 그치지 않고, 노인이 제약 없이 여가를 향유하도록 생활 여건을 개선하는 데까지 확장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특히, 노인의 자기 연령주의를 완화하는 정책과 노인 친화적인 근린 환경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존의 노인 여가 연구가 주로 여가활동에 한정된 접근을 해왔다는 점에 주목하고, 노인의 생활시간 특징을 포함하는 확장된 관점으로 노인 여가의 다양성을 드러내는 데에 의의...

      본 연구는 기존의 노인 여가 연구가 주로 여가활동에 한정된 접근을 해왔다는 점에 주목하고, 노인의 생활시간 특징을 포함하는 확장된 관점으로 노인 여가의 다양성을 드러내는 데에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의 응답지 총 2,994개를 데이터로 활용하여, 여가활동과 생활시간의 특징을 포괄하는 여가생활 관점의 지표로 잠재계층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여가활동만으로는 구체화되지 않았던 TV의존칩거형, 여가균형외출형, 사교중심여유형, 학습선호마실형, 여가활동집중형의 다섯 가지 노인 여가생활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출된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도와 우울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유형 결정의 영향 요인을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여가 복지 정책이 단순히 여가활동 참여를 독려하는 데 그치지 않고, 노인이 제약 없이 여가를 향유하도록 생활 여건을 개선하는 데까지 확장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특히, 노인의 자기 연령주의를 완화하는 정책과 노인 친화적인 근린 환경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diversity of leisure lifestyles among older adults by expanding the perspective on leisure to include daily routines, thereby complementing previous research that primarily focuses on leisure activities. To achieve this, we sought to identify different types of leisure lifestyles among urban older adults, examine variations in leisur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cross these types, and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typology. Utilizing data from 2,994 respondents in the 2022 Survey of Older Adults in Seoul, we applied a three-step latent class analysis and confirmed the existence of five distinct types of older adults’ leisure lifestyles that align more with daily routines than with specific leisure activities: TV-dependent homebound type, active outside-the-home type, socially engaged leisurely type, learning-preferred neighborhood type, and active leisure engagement type. Furthermore, we examined the complex variations in leisur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by type,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improving living conditions to support older adults’ engagement in their own leisure pursuits beyond simply promoting particip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address self-ageism and cultivate inclusive neighborhoods where older adults can comfortably spend their tim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diversity of leisure lifestyles among older adults by expanding the perspective on leisure to include daily routines, thereby complementing previous research that primarily focuses on leisure activities. To achieve this, ...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diversity of leisure lifestyles among older adults by expanding the perspective on leisure to include daily routines, thereby complementing previous research that primarily focuses on leisure activities. To achieve this, we sought to identify different types of leisure lifestyles among urban older adults, examine variations in leisur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cross these types, and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typology. Utilizing data from 2,994 respondents in the 2022 Survey of Older Adults in Seoul, we applied a three-step latent class analysis and confirmed the existence of five distinct types of older adults’ leisure lifestyles that align more with daily routines than with specific leisure activities: TV-dependent homebound type, active outside-the-home type, socially engaged leisurely type, learning-preferred neighborhood type, and active leisure engagement type. Furthermore, we examined the complex variations in leisur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by type,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improving living conditions to support older adults’ engagement in their own leisure pursuits beyond simply promoting particip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address self-ageism and cultivate inclusive neighborhoods where older adults can comfortably spend their tim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