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각은 문자와 조각이 결합된 종합예술로서 印面의 좁은 공간에 森羅萬象의 형상과 자연의 이치를 담아 낼 수 있어서 그 미적가치와 예술성이 매우 높다. 印材속에는 문자 뿐만아니라 자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17995
-
2008년
Korean
전각 ; 서예 ; 문자 ; 시대적 변천 ; 전서 ; 예술성 ; 미적가치 ; 인장 ; 봉니 ; seal engraving ; calligraphy ; letters ; an age change ; a seal character ; artistry an aesthetic value ; a seal ; lute ; an official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전각은 문자와 조각이 결합된 종합예술로서 印面의 좁은 공간에 森羅萬象의 형상과 자연의 이치를 담아 낼 수 있어서 그 미적가치와 예술성이 매우 높다. 印材속에는 문자 뿐만아니라 자연...
전각은 문자와 조각이 결합된 종합예술로서 印面의 좁은 공간에 森羅萬象의 형상과 자연의 이치를 담아 낼 수 있어서 그 미적가치와 예술성이 매우 높다. 印材속에는 문자 뿐만아니라 자연의 형상을 담은 도형까지 한 치의 공간에 표현되어 지고 있으며, 그 양식과 기법의 다양함은 내면의 예술세계를 표현하기에 충분하여 다분히 절제된 동양정신을 담아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각의 역사는 인류가 문화를 형성하기 시작한 시점과 때를 같이 하여 신석기 시대의 陶器上에 찍힌 印文陶에서 그 원류를 찾아 볼 수 있다.
인장의 초기 목적이 단순한 믿음의 標識에서 시작되었지만 시대적인 변화에 의하여 감상적 차원으로 발달하여 중국 元왕조에 이르러 새기기 쉬운 花乳石을 발견하여 장인의 손에 의해 제작되어 오던 인장들이 문인들에 의해 직접 각을 하게 되면서 인장은 예술로 승화되기에 이르렀고, 많은 유파가 형성되면서 예술적 가치를 높혀 서화와 더불어 전문성을 갖춘 예술로서 독립된 영역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후 청대에 이르러 발흥하여 성행하였던 고증학·금석학과 문자학의 영향으로 서법과 고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 지면서 전각을 감상물로 여기는 풍조가 형서되어 전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다양한 양식의 작품들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각이 우리나라에 처음 전래된 것은 낙랑시대이며 이는 중국 한 대의 印制가 그대로 전래되었으나 한국인장사의 연혁이 되고 있다. 이후 18세기에 이르러 강세황·이인상·김정희·오규일 등에 의해 미약하게나마 전각의 맥을 이어 오다가 오세창·김태석 등에 의해 한국전각의 새로운 장이 전개되어 오고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 印章의 기원과 역대 인장의 명칭과 변천· 원시사회 인장의 특징과 예술성· 三代(夏, 殷, 周) , 春秋戰國時代· 秦, 漢代 인장의 특징과 예술성,명청대 전각의 유파의 특징과 예술성을 살펴보고 한국의 인장사를 낙랑시대로부터 조선시대까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전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여세에 부흥하여 전각이론에 관한 체계를 확립함과 동시에 예술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