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대중국에서의 사회유형전환과 형사법치의 생성을 규명하려는 시도로써 이루어져 있다. Ⅱ장에서는 청말 법제개정부터 1949년까지의 형사소송 역사를 밝혔다. 형사소송법 초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54924
2007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95-328(3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중국에서의 사회유형전환과 형사법치의 생성을 규명하려는 시도로써 이루어져 있다. Ⅱ장에서는 청말 법제개정부터 1949년까지의 형사소송 역사를 밝혔다. 형사소송법 초안...
본 연구는 현대중국에서의 사회유형전환과 형사법치의 생성을 규명하려는 시도로써 이루어져 있다. Ⅱ장에서는 청말 법제개정부터 1949년까지의 형사소송 역사를 밝혔다. 형사소송법 초안의 제정은 현대적 형사정의의 형성을 의미하는바, 중화민국 시기의 형사소송은 대륙법계에 속한 것이었다. 한편, 중국공산당 혁명근거지에서는 독특한 성격의 형사소송 제도가 형성되었다. Ⅲ장에서는 1949년에서 1976년까지의 형사소송 역사를 밝혔다. 형사소송법의 유형은 1949년에서 반우파운동(1957년) 이전까지의 ‘유법의 통치’와 운동?정책에 지배된 1957년에서 1976년까지의 ‘무법의 통치’로 나뉜다. 1949년에서 1976년까지 형사소송법의 사회적 기초는 국가는 극히 강하고 사회는 극히 약하며 국가가 사회를 전면 통제하는 체제였다. Ⅳ장에서는 1979년 형사소송법을 탐구했다. 이 법전은 법치의 형성을 의미했는바 그 사회적 기초는 국가와 사회의 분리에 있었다. Ⅴ장에서는 1996년 형사소송법을 규명했다. 그것은 형사소송 법치의 건립?구성을 의미했고, 이 법전의 사회적 기초는 국가와 사회의 상호 영향 기제였다. Ⅵ장에서는 중국 형사소송의 완비의 사회적 기초를 구명하면서, 중국 형사소송 법치 재구성의 계획을 다루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stitutes an attempt to shed light on the social transformation and the evolution of the rule of criminal law in Contemporary China. In section two, it probes the history of criminal procedure from the late Qing Dynasty"s law revision to ...
This study constitutes an attempt to shed light on the social transformation and the evolution of the rule of criminal law in Contemporary China. In section two, it probes the history of criminal procedure from the late Qing Dynasty"s law revision to 1949. 따e codification of criminal procedure law draft indicated the formation of modern criminal justice, criminal procedure in Republic of China belonged to the continental system, criminal procedure in communist party"s base area had its unique characteristics. In section three, it probes the criminal procedure law from 1949 to 1976. The criminal procedure law type was the rule by law from 1949 to the period before anti-rightist movement(1957), and the type was the rule by movement or policy from 1957 to 1976. From 1949 to 1976, criminal procedure law"s social base was extremely strong nation and extremely weak society, and the nation totally controlled the society. In section four, it explores the 1979 criminal procedure law, this code indicated the making of rule by law, and the social base of this code was the separation between nation and society. In section five, it probes 1996 criminal procedure law. It indicated the formation of the rule of criminal procedure law. And this code"s social base was the interaction mechanism between nation and society. In section six, it probes the social base of perfection of criminal procedure in China, and gives the plan to the re-formation of rule of criminal procedure law in chin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朱景文, "關於法律與全球化的幾個問題" 中央編譯出版社 1998
2 謝覺哉, "謝覺哉論民主與法制" 法律出版社 1996
3 公丕祥, "當代中國的法律革命" 法律出版社 212-, 1999
4 河村有, "現代中國的刑事審判與正當程序" 中國政法大學出版社 12 : 2003
5 張培田, "法與司法的演進及改革考論" 中國政法大學出版社 2002
6 世功, "法治與治理: 國家轉型中的法律" 中國政法大學出版社 2003
7 梁治平, "法治在中國:制度, 話語與實踐" 中國政法大學出版社 2002
8 蔡定劍, "歷史與變革:新中國法制建設的歷程" 中國政法大學出版社 1999
9 李澤厚, "思想史的意義" 讀書 5期 : 2004
10 馬長山, "市民社會與法治" 商務印書館 2001
1 朱景文, "關於法律與全球化的幾個問題" 中央編譯出版社 1998
2 謝覺哉, "謝覺哉論民主與法制" 法律出版社 1996
3 公丕祥, "當代中國的法律革命" 法律出版社 212-, 1999
4 河村有, "現代中國的刑事審判與正當程序" 中國政法大學出版社 12 : 2003
5 張培田, "法與司法的演進及改革考論" 中國政法大學出版社 2002
6 世功, "法治與治理: 國家轉型中的法律" 中國政法大學出版社 2003
7 梁治平, "法治在中國:制度, 話語與實踐" 中國政法大學出版社 2002
8 蔡定劍, "歷史與變革:新中國法制建設的歷程" 中國政法大學出版社 1999
9 李澤厚, "思想史的意義" 讀書 5期 : 2004
10 馬長山, "市民社會與法治" 商務印書館 2001
11 "完善市場經濟法制的思考" 江 平 中國法學1993年第1期.
12 本報評論員, "學會使用法律武器維護社會安定團結" 光明日報 1981.1.27.
13 劉旺洪, "國家與社會:法哲學究範式的批判與重建" 法學究 6期 : 2002
14 程竹汝, "司法改革與政治發展"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1
15 卞建林, "刑事訴訟的現代化" 中國法制出版社 2003
16 樊崇義, "刑事訴訟法實施問題與對策究" 中國人民公安大學出版社 2001
17 汪海燕, "刑事訴訟模式的演進" 2000
18 晏向華, "刑事訴訟再修改時機已經成熟" 檢察日報 2003.11
19 董炯著, "公民與行政法" 北京大學出版社 2001
20 大衛赫爾德, "全球大變革:全球化時代的政治" 社會科學文獻出版社社 2001
21 胡水君, "全球化背景下的國家與公民" 3期 : 2003
22 胡水君, "全球化背景下的國家與公民" 3期 : 2003
23 孫曉莉, "中國現代化進程中的國家與社會"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1
『秋曹審理案』을 통해 본 19世紀 中葉 朝鮮의 刑事政策
일제 강점기하의 한국내의 쟁의행위와 재일한국인 쟁의행위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 | 1.1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76 | 1.284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