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간호대학생의 진로탐색과정: 예비간호사의 진짜 간호사 찾아가기 = Career Exploration Process of Nursing Student in Clinical Practice: A Voyage to Find the Authentic Nurse of Pre-registration N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7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career exploration among nursing students during their clinical practice and to develop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Methods: From February 2 to 28, 2015,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rom 24 participating fourth-year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Results: The central phenomenon of 'confusion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of nursing' occurred in contexts for various reasons of choosing one’s major, nurses in the ideal, a vague fear of the field, arduous nursing assignments in the field, and severe adversity in the nursing field. Nursing students tried to deal with their confusion by using interaction strategies such as pursuing the intrinsic value of nursing, finding role models, trying to project oneself, and preparing for adapting to reality.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in clinical practice was a voyage to discover the authentic nurse of the pre-registration nurse. Conclusion: This result shows that nursing students were to gain confidence in their career choices by finding the value of nursing and interacting with patients. Therefore, opportunities for learning experiences about interaction with patients and various positive experiences in clinical practice should be provided for nursing students.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career exploration among nursing students during their clinical practice and to develop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Methods: From February 2 to 28, 2...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career exploration among nursing students during their clinical practice and to develop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Methods: From February 2 to 28, 2015,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rom 24 participating fourth-year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Results: The central phenomenon of 'confusion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of nursing' occurred in contexts for various reasons of choosing one’s major, nurses in the ideal, a vague fear of the field, arduous nursing assignments in the field, and severe adversity in the nursing field. Nursing students tried to deal with their confusion by using interaction strategies such as pursuing the intrinsic value of nursing, finding role models, trying to project oneself, and preparing for adapting to reality.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in clinical practice was a voyage to discover the authentic nurse of the pre-registration nurse. Conclusion: This result shows that nursing students were to gain confidence in their career choices by finding the value of nursing and interacting with patients. Therefore, opportunities for learning experiences about interaction with patients and various positive experiences in clinical practice should be provided for nursing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에서 경험한 진로탐색과정에 대한 실체이론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임상실습에서의 진로탐색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은 간호학과에 들어온 이유와 간호사에 대한 인식 및 현장에 대한 두려움 속에서 녹녹치 않은 임상현장과 그 속에서 힘겨워 하는 간호사를 보며 ‘간호에서의 이상과 현실의 차이에 따른 혼란스러움’을 경험하였다. 간호대학생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간호의 본질에 대한 가치 추구와 함께 자신의 롤 모델 찾고 현장에 끊임없이 자신을 투영해 보며 현장적응을 위한 준비의 전략들을 수립하고 실천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은 예비간호사의 입장에서 임상현장을 탐색하며 자신이 추구하는 간호사와 간호에 대해 구체화해 나갔고, 그 과정에서 진로에 대한 목표와 흥미, 능력에 대한 확신을 가지는 진로정체감을 형성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이러한 깊은 탐색은 이상과 현실의 접점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간호를 실천하며 존재할 수 있는 진짜 간호사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귀결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예비간호사로의 역할전환은 임상실습에서 깊은 진로탐색을 통해 시작되었으며, 현장에서 간호의 가치와 의미를 찾고 환자에 대한 이해와 환자와의 상호작용 경험을 의미 있는 학습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진로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을 획득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선택을 돕기 위해서는 임상실습에서의 경험이 의미 있는 학습이 될 수 있도록 간호수행 및 환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학습경험의 기회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임상실습교육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 임상실습의 경험을 지식과 통합하면서 숙고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인문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조직분위기 개선 및 간호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정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선택뿐 아니라 이후 자신이 선택한 진로에 대한 적응과 이직에도 중요한 조건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과 해결책 마련을 위한 사회적 담론 형성 및 간호계 공동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에서 경험한 진로탐색과정에 대한 실체이론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임상실습에서의 진로탐색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은 간호학과에 들어온 이유...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에서 경험한 진로탐색과정에 대한 실체이론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임상실습에서의 진로탐색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은 간호학과에 들어온 이유와 간호사에 대한 인식 및 현장에 대한 두려움 속에서 녹녹치 않은 임상현장과 그 속에서 힘겨워 하는 간호사를 보며 ‘간호에서의 이상과 현실의 차이에 따른 혼란스러움’을 경험하였다. 간호대학생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간호의 본질에 대한 가치 추구와 함께 자신의 롤 모델 찾고 현장에 끊임없이 자신을 투영해 보며 현장적응을 위한 준비의 전략들을 수립하고 실천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은 예비간호사의 입장에서 임상현장을 탐색하며 자신이 추구하는 간호사와 간호에 대해 구체화해 나갔고, 그 과정에서 진로에 대한 목표와 흥미, 능력에 대한 확신을 가지는 진로정체감을 형성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이러한 깊은 탐색은 이상과 현실의 접점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간호를 실천하며 존재할 수 있는 진짜 간호사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귀결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예비간호사로의 역할전환은 임상실습에서 깊은 진로탐색을 통해 시작되었으며, 현장에서 간호의 가치와 의미를 찾고 환자에 대한 이해와 환자와의 상호작용 경험을 의미 있는 학습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진로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을 획득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선택을 돕기 위해서는 임상실습에서의 경험이 의미 있는 학습이 될 수 있도록 간호수행 및 환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학습경험의 기회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임상실습교육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 임상실습의 경험을 지식과 통합하면서 숙고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인문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조직분위기 개선 및 간호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정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선택뿐 아니라 이후 자신이 선택한 진로에 대한 적응과 이직에도 중요한 조건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과 해결책 마련을 위한 사회적 담론 형성 및 간호계 공동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교남,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나타난 ‘본래성’의 의미와그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사상학회 29 (29): 109-127, 2015

      2 임보미, "종합병원근무 신규 간호사의 이직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4 (24): 313-322, 2015

      3 김진경,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직업가치관에 관한 주관성"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4) : 5-25, 2016

      4 이유진, "임상실습경험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474-485, 2017

      5 윤희상, "신규간호사의 재학 시 임상 실습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03-922, 2016

      6 김은애, "대학생들이 진로탐색 과정에서 겪는 경험: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직업교육학회 34 (34): 67-90, 2015

      7 문인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16 (16): 83-91, 2010

      8 Crick, P, "W hy do student nurses want to be nurse?" 110 (110): 12-15, 2014

      9 Jirwe, M, "W hy choose a career in nursing" 68 (68): 1615-1623, 2012

      10 Cate, W, "W hat do nurses do?. students reflections" 25 (25): 40-44, 2016

      1 신교남,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나타난 ‘본래성’의 의미와그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사상학회 29 (29): 109-127, 2015

      2 임보미, "종합병원근무 신규 간호사의 이직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4 (24): 313-322, 2015

      3 김진경,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직업가치관에 관한 주관성"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4) : 5-25, 2016

      4 이유진, "임상실습경험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474-485, 2017

      5 윤희상, "신규간호사의 재학 시 임상 실습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03-922, 2016

      6 김은애, "대학생들이 진로탐색 과정에서 겪는 경험: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직업교육학회 34 (34): 67-90, 2015

      7 문인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16 (16): 83-91, 2010

      8 Crick, P, "W hy do student nurses want to be nurse?" 110 (110): 12-15, 2014

      9 Jirwe, M, "W hy choose a career in nursing" 68 (68): 1615-1623, 2012

      10 Cate, W, "W hat do nurses do?. students reflections" 25 (25): 40-44, 2016

      11 Lent, R. W, "T 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45 (45): 79-122, 1994

      12 Blustein, D. L, "T he role of goal instability and career self-efficacy in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35 (35): 194-203, 1989

      13 Sandelowski, M, "T 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8 (8): 27-37, 1986

      14 Lee, H. Y, "T he clinical practice newly graduated nurses who are resigned" 12 (12): 36-48, 2011

      15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16 Koontz, A. M, "S taff nurses and students :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19 (19): 240-246, 2010

      17 Heidegger, M, "S ein und Zeit" Max niemeyer verlag tübingen 2015

      18 Lee, K. A, "N ursing students' awarenes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12 (12): 42-49, 2015

      19 Paliadelis, P, "L earning from clinical placement experience : Analysing nursing students’ final reflections in a digital storytelling activity" 20 : 39-44, 2016

      20 Kim, M. A, "I nfluencing factors on nursing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13 (13): 383-391, 2004

      21 Lai, H. L, "F actors associated with career decision in Taiwanese nursing students : A questionnaire survey" 43 (43): 581-588, 2006

      22 Kathy, C,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Saga 2013

      23 McKenna, L, "C linical placements and nursing students' career planning : A qualitative exploration" 16 (16): 176-182, 2010

      24 Rudman, A, "B urnout during nursing education predicts lower occupational preparedness and future clinical performance : A longitudinal study" 49 (49): 988-1001, 2012

      25 Lúanaigh, P. Ó, "B ecoming a professional : What is the influence of registered nurses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in the clinical environment?" 15 (15): 450-456, 2015

      26 Price, S. L, "B ecoming a nurse : A meta‐study of early professional socialization and career choice in nursing" 65 (65): 11-19, 2009

      27 Corbin, A, "B 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SAGA 2008

      28 Starr, S. S, "A uthenticity : A concept analysis" 43 (43): 55-62, 2008

      29 Super, D. E,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8 (8): 185-190, 1953

      30 Flick, U, "A 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Sage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9 2.49 2.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7 3.05 3.54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