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간호대학생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s of a Program to Promot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fficacy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for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7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s: There were 36 nursing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the control group, who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in I-city, Korea. A Chi-square, t-test, and ANOVA with the SPSS/Win 21.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score for multicultural awareness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over the control group (t=0.85, p=.026). Scores for cognitive area (t=0.89; p=.037), ritual area (t=-0.10, p=.915), and action area (t=1.18, p=.031) increased, but the conscious area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score for multi-cultural efficacy for North Korean refugees (t=0.36, p=.030). Scores for cognitive area (t=0.63; p=.029), working area (t=0.05, p=.955), and emotional area (t=0.79 and p=030) increased, but the working area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to promote multicultural efficacy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appli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enhancing multicultural awareness and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s: There were 36 nursing students in the ex...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s: There were 36 nursing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the control group, who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in I-city, Korea. A Chi-square, t-test, and ANOVA with the SPSS/Win 21.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score for multicultural awareness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over the control group (t=0.85, p=.026). Scores for cognitive area (t=0.89; p=.037), ritual area (t=-0.10, p=.915), and action area (t=1.18, p=.031) increased, but the conscious area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score for multi-cultural efficacy for North Korean refugees (t=0.36, p=.030). Scores for cognitive area (t=0.63; p=.029), working area (t=0.05, p=.955), and emotional area (t=0.79 and p=030) increased, but the working area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to promote multicultural efficacy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appli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enhancing multicultural awareness and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 관련 문화적 역량을 증진하기 위하여 PTT 모델을(Papadopoulous et al., 1998) 이론적 기틀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적용 후, 간호대학생들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의 변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 향상에 일부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PTT 모델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교육에서는 일반적인 다문화 교육 외의 북한의 문화와 정치, 환경, 언어 등과 관련 문화 특이적 교육이 효과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결과에서 적용한 PTT 모델을 활용한 북한이탈주민 관련 문화적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다른 다문화 대상자를 위한 문화적 효능감 증진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결과를 토대로, 본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간호대학생들은 향후 임상에서 북한이탈주민을 간호할 때 이들의 문화적 다양성을 인식하고, 이들에게 문화적으로 합당한 간호를 제공해야 된다는 인식을 갖게 되며, 이들에게 맞는 문화 간호기술을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갖을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PTT 모델에서 제시하는 4요소 외에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봉사활동과 같은 문화적 만남을 추가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직접적인 문화적 만남이 어려울 시에는 대중매체 등의 적절한 활용을 추천하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교육 시 토의, 사례관리, 문제중심학습, 성찰 일지 등의 교수학습방법을 사용하여 이들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문화적 인식과 태도 함양을 이끌어야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 관련 문화적 역량을 증진하기 위하여 PTT 모델을(Papadopoulous et al., 1998) 이론적 기틀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적용 후, 간호대학생들의 북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 관련 문화적 역량을 증진하기 위하여 PTT 모델을(Papadopoulous et al., 1998) 이론적 기틀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적용 후, 간호대학생들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의 변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 향상에 일부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PTT 모델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교육에서는 일반적인 다문화 교육 외의 북한의 문화와 정치, 환경, 언어 등과 관련 문화 특이적 교육이 효과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결과에서 적용한 PTT 모델을 활용한 북한이탈주민 관련 문화적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다른 다문화 대상자를 위한 문화적 효능감 증진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결과를 토대로, 본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간호대학생들은 향후 임상에서 북한이탈주민을 간호할 때 이들의 문화적 다양성을 인식하고, 이들에게 문화적으로 합당한 간호를 제공해야 된다는 인식을 갖게 되며, 이들에게 맞는 문화 간호기술을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갖을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PTT 모델에서 제시하는 4요소 외에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봉사활동과 같은 문화적 만남을 추가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직접적인 문화적 만남이 어려울 시에는 대중매체 등의 적절한 활용을 추천하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교육 시 토의, 사례관리, 문제중심학습, 성찰 일지 등의 교수학습방법을 사용하여 이들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문화적 인식과 태도 함양을 이끌어야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인진,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평화문제연구소 23 (23): 143-192, 2011

      2 김미종, "일 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문화적 민감성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관념"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1334-1344, 2014

      3 권수현,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국민의 태도"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0 (20): 129-153, 2011

      4 최승욱, "반성적 수학일기가 수학저성취아의 학업성취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5 (5): 89-106, 2012

      5 김경화, "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보장학회 31 (31): 1-27, 2015

      6 민성혜,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문화적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183-206, 2009

      7 픽은희,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3 (43): 690-696, 2013

      8 채명정, "다문화 교과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및 역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373-381, 2015

      9 이필호,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교육 역량 간 관계에서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 글로벌영어교육학회 23 (23): 287-312, 2018

      10 오원옥, "간호사의 범문화효능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간호과학회 46 (46): 293-304, 2016

      1 윤인진,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평화문제연구소 23 (23): 143-192, 2011

      2 김미종, "일 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문화적 민감성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관념"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1334-1344, 2014

      3 권수현,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국민의 태도"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0 (20): 129-153, 2011

      4 최승욱, "반성적 수학일기가 수학저성취아의 학업성취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5 (5): 89-106, 2012

      5 김경화, "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보장학회 31 (31): 1-27, 2015

      6 민성혜,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문화적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183-206, 2009

      7 픽은희,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3 (43): 690-696, 2013

      8 채명정, "다문화 교과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및 역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373-381, 2015

      9 이필호,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교육 역량 간 관계에서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 글로벌영어교육학회 23 (23): 287-312, 2018

      10 오원옥, "간호사의 범문화효능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간호과학회 46 (46): 293-304, 2016

      11 이인숙, "간호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와 영향요인" 한국가정간호학회 24 (24): 44-51, 2017

      12 김선희, "간호대학생을 위한 문화간호역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580-593, 2013

      13 Kim, S. H, "U nderstanding & health for multi-culture" Jung-dam media 63-, 2015

      14 Papadopoulos, I, "T ranscultural care : A guide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QuayBooks 1998

      15 Campinha-Bacote, J, "T he process of cultural competence in the delivery of healthcare services"

      16 Amerson, R, "T he impact of service-learning on cultural competence" 31 (31): 18-22, 2010

      17 Ministry of Unification, "Settlement support system for North Korean defectors"

      18 Shin, J. W, "M 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transcultural efficacy in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The Korea University 2017

      19 Caffrey, R. A, "I mprov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Results of integrating cultural content in the curriculum and an international immersion experience" 44 (44): 234-240, 2005

      20 Faul, F, "G *Power 3 :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39 (39): 175-191, 2007

      21 Jeffreys, M. R, "E valuating the influence of cultural competence education on students' transcultural self-efficacy perceptions" 23 (23): 188-197, 2012

      22 Lee, M. J, "D evelopment and effect on cultural competence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The Kangwon University 2016

      23 Lynn, M. R, "D 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35 (35): 382-386, 1986

      24 Ahn, O. H, "C ultural competency by multicultural experienc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2 (2): 19-26, 2012

      25 Im, M. H, "A study o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The Jeonju University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9 2.49 2.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7 3.05 3.54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