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사의 아랍어권 문화에 대한 인식 조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Teachers towords Arabic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04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Korean teachers toward, especially Arabic culture, by measuring ‘Cultural Quotient (CQ),’ which is used to assess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beliefs, values, languages, and behavioral patterns. For this study, a survey that is based on the Cultural Quotient Scale (CQS) (Ang et al., 2007) was conducted to Korean teachers.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s the Korean teachers’ CQ is 2.7,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2.5. The Behavioral CQ factor is the highest, and the Cognitive CQ is the lowest among the CQ factors. It tells us that although the Korean teachers can actively work with students from Arabic-speaking countries, they have insufficient knowledge about Arabic culture. Also, it implies that teacher training for those who teach Arabian students should contain various CQ factors, particularly the Cognitive CQ one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Korean teachers toward, especially Arabic culture, by measuring ‘Cultural Quotient (CQ),’ which is used to assess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belief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Korean teachers toward, especially Arabic culture, by measuring ‘Cultural Quotient (CQ),’ which is used to assess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beliefs, values, languages, and behavioral patterns. For this study, a survey that is based on the Cultural Quotient Scale (CQS) (Ang et al., 2007) was conducted to Korean teachers.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s the Korean teachers’ CQ is 2.7,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2.5. The Behavioral CQ factor is the highest, and the Cognitive CQ is the lowest among the CQ factors. It tells us that although the Korean teachers can actively work with students from Arabic-speaking countries, they have insufficient knowledge about Arabic culture. Also, it implies that teacher training for those who teach Arabian students should contain various CQ factors, particularly the Cognitive CQ on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가 타문화에서 중시되는 신념, 가치, 언어, 행동 양식에 대해 어떤 태도와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는 ‘문화지능’을 측정하는 연구로 특히, 아랍어권 문화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와 인식 수준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Ang, Dyne & Koh(2007)의 문화지능 척도에 따라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사의 아랍어권 문화에 대한 문화지능은 2.7로 중간 수준(2.5)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문화지능 요인 중 행동적 문화지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지적 문화지능이 가장 낮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사는 아랍어권 학생에 대해 능동적으로 행동할 수 있지만 아랍어권 문화에 대한 지식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랍어권 학생들을 교육하는 교사 교육에 있어 문화지능의 여러 요인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인지적 문화지능과 관련된 부분에 대한 교육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가 타문화에서 중시되는 신념, 가치, 언어, 행동 양식에 대해 어떤 태도와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는 ‘문화지능’을 측정하는 연구로 특히, 아랍어권 문화에 대...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가 타문화에서 중시되는 신념, 가치, 언어, 행동 양식에 대해 어떤 태도와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는 ‘문화지능’을 측정하는 연구로 특히, 아랍어권 문화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와 인식 수준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Ang, Dyne & Koh(2007)의 문화지능 척도에 따라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사의 아랍어권 문화에 대한 문화지능은 2.7로 중간 수준(2.5)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문화지능 요인 중 행동적 문화지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지적 문화지능이 가장 낮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사는 아랍어권 학생에 대해 능동적으로 행동할 수 있지만 아랍어권 문화에 대한 지식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랍어권 학생들을 교육하는 교사 교육에 있어 문화지능의 여러 요인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인지적 문화지능과 관련된 부분에 대한 교육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승혜, "한국어 학습자들이 지각한 ‘좋은’ 한국어 교사의 특성"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27, 2010

      2 양영희, "한국어 교사평가의 준거와 도구 마련을 위한 시론" 국어교육학회 18 : 141-166, 2011

      3 원미진, "한국어 교사의 이문화간 소통능력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85-105, 2009

      4 성시온, "한국어 교사의 문화지능 조사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8) : 81-112, 2011

      5 양주희, "한국어 교사의 문화간 감수성 측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6 양민애, "한국어 교사 교육에서의 이문화(異文化)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이중언어학회 (38) : 235-262, 2008

      7 최권진, "이슬람권 학습자의 한국언어문화 적응 연구 - 사우디아라비아 학습자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8 (8): 253-275, 2011

      8 김현경, "유아교사의 문화지능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6 (16): 81-99, 2012

      9 윤용수, "아랍어와 아랍 문화" 한국학술정보 2007

      10 이인섭, "아랍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효과 제고 방안" 사우디아라비아문화원 2014

      1 강승혜, "한국어 학습자들이 지각한 ‘좋은’ 한국어 교사의 특성"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27, 2010

      2 양영희, "한국어 교사평가의 준거와 도구 마련을 위한 시론" 국어교육학회 18 : 141-166, 2011

      3 원미진, "한국어 교사의 이문화간 소통능력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85-105, 2009

      4 성시온, "한국어 교사의 문화지능 조사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8) : 81-112, 2011

      5 양주희, "한국어 교사의 문화간 감수성 측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6 양민애, "한국어 교사 교육에서의 이문화(異文化)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이중언어학회 (38) : 235-262, 2008

      7 최권진, "이슬람권 학습자의 한국언어문화 적응 연구 - 사우디아라비아 학습자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8 (8): 253-275, 2011

      8 김현경, "유아교사의 문화지능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6 (16): 81-99, 2012

      9 윤용수, "아랍어와 아랍 문화" 한국학술정보 2007

      10 이인섭, "아랍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효과 제고 방안" 사우디아라비아문화원 2014

      11 박성옥, "아랍어권 한국어 유학생 현황 및 실태" 2014

      12 Earley, P., "문화지능: 글로벌 시대 새로운 환경을 위한 생존 전략" 영림카디널 2007

      13 고경숙, "문화간 의사소통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사의 역할"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4 (4): 1-20, 2008

      14 방성원, "문법 교육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187-211, 2011

      15 김아영, "교사전문성 핵심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63-84, 2012

      16 Hall. T. E., "Silent Language" Anchor Doubleday press 1959

      17 Barry, N. H.,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about and awareness of multicultural teaching and learning" 11 : 149-161, 1995

      18 Chen, "Measur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tudies XI : 2"

      19 Suarez, D., "ESOL Teacher Candidates Experience Cultural Otherness" 11 (11): 19-25, 2011

      20 Hofstede,G., "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 Sage Publications 2001

      21 Ang, S., "Cultural intelligence: Its measurement and effects on cultural judgement and decision making, cultural adaptation and task performance" 3 (3): 335-371, 2007

      22 Earley, P., "Cultural Intelligence: Individual Interactions Across Cultures" Stanford Business Books 2003

      23 Peterson,B., "Cultural Intelligence: A guide to working with people from other cultures" Intercultural Press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1 0.97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