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체육수업에서 지적장애 학생의 정서경험, 표정정서인식력, 그리고 정서지능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21168
2015
Korean
692.379
KCI등재
학술저널
167-179(13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체육수업에서 지적장애 학생의 정서경험, 표정정서인식력, 그리고 정서지능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학...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체육수업에서 지적장애 학생의 정서경험, 표정정서인식력, 그리고 정서지능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에 재학 중이고 특수체육수업 또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지적장애 초등, 중등, 고등학생 2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수체육수업 정서경험과 관련된 설문은 특수체육수업을 담당하는 특수체육교사가 지적장애학생들의 특수체육수업 시에 경험한 행동에 대한 면담을 요청하였고, 정서지능은 담임교사에게 지적장애학생들의 학교생활에서 경험한 행동에 대한 대답을 요청하였다. 표정정서인식력 검사는 담임교사의 도움을 받아 연구자가 직접 1대 1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상관분석, 구정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쁨과 같은 긍정정서는 다른 사람의 얼굴표정에 나타난 정서를 읽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영역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슬픔의 정서는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인 정서인식, 정서조절, 타인정서,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려움 정서는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 정서는 정서인식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정서조절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혐오 정서는 타인정서와 정서조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적장애학생들이 특수체육수업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경험은 정서지능을 발달시키기도 하고 억제시키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causality between emotional experienc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and emotion intelligence at special physical education class among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To attain the goal, this researcher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causality between emotional experienc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and emotion intelligence at special physical education class among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To attain the goal, this researcher selected 222 intellectually disabl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special and general school and participating in special physical education class or the program. The data collected went through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as well as analysis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has been found that positive emotion such as joy not only helps them to figure out emotion appearing in others’ facial expression but also improves all the subareas of emotion intelligence. Emotion of sadness influences positively the subareas of emotion intelligence, for example,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control, other emo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otion of fear influenc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ositively. Emotion of anger influences emotional awareness positively but emotional control negatively. Emotion of hatred influences other emotion and emotional control negatively. In conclusion, various emotional experiences that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get to have in special physical education class either develops or suppresses their emotion intelligence.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혜영, "초등학생의 마음이론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1 (21): 31-47, 2008
2 김동환, "체육수업에서 여학생 정서경험 사례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9 (19): 13-32, 2008
3 백재근, "지적장애인을 위한 표정 정서 인식력 측정도구 개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8 (18): 263-285, 2014
4 이병준,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정서경험, 원인, 표현, 조절의 성차" 한국체육학회 48 (48): 195-208, 2009
5 조병준, "정신지체아의 집단운동이 하지근기능, 신체구성 및 사회적응행동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 11 (11): 203-217, 2003
6 이종길, "정신지체아의 집단스포츠활동이사회적응행동 발달에 미치는 효과" 7 (7): 73-86, 1999
7 김지혜, "정신지체아동의 정서지능의 발달적 경향과 공격적 행동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8 조경자, "정서 상태와 얼굴표정간의 연결 능력의 발달" 한국감성과학회 10 (10): 127-138, 2007
9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법시행령. 대통령령 제24513호, 2013. 4. 22, 일부개정"
10 이수미, "얼굴표정을 통한 정서읽기 능력의 발달적 변화"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5 (25): 55-72, 2012
1 양혜영, "초등학생의 마음이론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1 (21): 31-47, 2008
2 김동환, "체육수업에서 여학생 정서경험 사례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9 (19): 13-32, 2008
3 백재근, "지적장애인을 위한 표정 정서 인식력 측정도구 개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8 (18): 263-285, 2014
4 이병준,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정서경험, 원인, 표현, 조절의 성차" 한국체육학회 48 (48): 195-208, 2009
5 조병준, "정신지체아의 집단운동이 하지근기능, 신체구성 및 사회적응행동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 11 (11): 203-217, 2003
6 이종길, "정신지체아의 집단스포츠활동이사회적응행동 발달에 미치는 효과" 7 (7): 73-86, 1999
7 김지혜, "정신지체아동의 정서지능의 발달적 경향과 공격적 행동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8 조경자, "정서 상태와 얼굴표정간의 연결 능력의 발달" 한국감성과학회 10 (10): 127-138, 2007
9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법시행령. 대통령령 제24513호, 2013. 4. 22, 일부개정"
10 이수미, "얼굴표정을 통한 정서읽기 능력의 발달적 변화"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5 (25): 55-72, 2012
11 김지태, "배드민턴 운동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운동능력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16 (16): 117-133, 2008
12 김성남, "마음일기 훈련이 정신지체 학생의가정파악 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13 김경희,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14 Goleman, D., "감성지능 EQ" 비전코리아 1997
15 DE Gelder, B., "Why bodies? Twelve reasons for including bodily expressions in affective neuroscience" 364 (364): 3475-3484, 2009
16 Planalp, S., "Variety Of Cues to emotion in naturally occurring situations" 10 : 137-153, 1996
17 Haviland & Lelwica., "The induced affect response : 10 week-old infants responses to three emotional expressions" 23 : 97-104, 1987
18 Yirmiya, N., "The ability to manipulate behavior and to understand manipulation of belief : A comparison of individual with autism, mental retardation, and normal development" 32 : 62-69, 1996
19 Shields, S. A., "Speaking from the heart: Gender and the social meaning of emo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0 Adams, K., "Recognition of affective facial expressions by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nd without mental retardation" 96 : 21-28, 1991
21 Lazarus, R. S., "Passion and reason: Making sense of our emo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22 Patterson, M. L., "Nonverbal behavior in social contex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7-347, 1999
23 Levy, L. H., "Judgements of emotion from facial expressions by college students, mental retardates, and mental hospital patients" 28 : 342-343, 1960
24 Termine, N. T., "Infants' responses to their mothers expressions of joy and sadness" 24 (24): 223-229, 1988
25 Campos, J.,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2). Infancy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Wiley 783-915, 1993
26 Brosgole L, "Facial-and postural-affect recognition in the mentally handicapped and normal young children" 30 : 127-144, 1986
27 McAlpine C, "Enhancing the ability of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to recognize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6 (6): 559-573, 1992
28 Lazarus, R. S., "Emotion and adap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29 Wicker, B., "Both of us disgusted in my insula: the common neural basis of seeing and feeling disgust" 40 (40): 655-664, 2003
비디오게임을 활용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이 발달장애성인의 건강체력 및 신체활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장애인들의 스포츠 가치관이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2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 |
2022-02-0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8 | 1.31 | 1.18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