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중이 지각하는 장애인스포츠인식의 하위집단을 분류하고, 생태학적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장애인 1,152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스포츠인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21161
2015
Korean
692.379
KCI등재
학술저널
57-73(17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중이 지각하는 장애인스포츠인식의 하위집단을 분류하고, 생태학적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장애인 1,152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스포츠인식...
이 연구는 대중이 지각하는 장애인스포츠인식의 하위집단을 분류하고, 생태학적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장애인 1,152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에 응답토록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도의 증거를,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스포츠인식을 구성하는 개인손상차원, 개인심리차원, 사회체제차원, 사회문화차원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3가지 유형의 잠재프로파일(low, middle, high)이 도출되었다. 분류된 잠재계층과 생태학적 변수들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스포츠인식의 잠재계층을 분류하는 원인변수로는 연령, 가족·친척 장애유무, 통합체육 경험유무, 장애봉사활동 경험유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대중이 인지하는 장애인스포츠인식의 가치관과 그 수준을 통계적으로 판단하였고, 이를 토대로 장애인스포츠 활성화, 홍보, 통합을 추구하는 패러다임을 지지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적용할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ubgroups(i.e., latent profiles) in disability sports awareness of the public and to test the effects of ecological variables on determining these latent profile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c...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ubgroups(i.e., latent profiles) in disability sports awareness of the public and to test the effects of ecological variables on determining these latent profile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atent profile analysis were applied to data collected from 1,152 people without disabiliti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three latent classes, which could be defined based on their response patterns; low level group, middle level group, high level group. By testing the effects of ecological variables, age, family relativ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experie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inclusive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voluntary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profiles. This research statistically considered the values and level of disability sports awareness of the public and based on this, this study will be applied as theoretical evidence to advocate paradigm for invigoration, publicity, and integration of disability sports.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천식, "한국 통합교육의 현황과 해결과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49-69, 2013
2 오아라, "특수체육 관련 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6) : 981-990, 2011
3 노언경,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 목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51-76, 2012
4 이현수, "장애학생 통합체육 참여에 대한 비 장애학생의 장애낙인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7 (17): 565-575, 2008
5 김창균, "장애인스포츠 영상매체를 활용한 체육수업이 중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75-88, 2011
6 김지태, "장애인 엘리트선수들이 지각하는 지원체계 문제점의 내용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23 (23): 65-81, 2015
7 서은철, "장애개념의 다중패러다임을 적용한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 개발" 한국특수체육학회 23 (23): 13-37, 2015
8 서은철, "장애개념의 다중패러다임과 잠재변수모형을 적용한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개발" 단국대학교대학원 2015
9 설정덕, "장애 태도가 장애인운동선수의 이미지 및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54) : 927-937, 2013
10 하만두, "장애 이해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 영상자료 활용과 봉사활동 -"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203-220, 2012
1 민천식, "한국 통합교육의 현황과 해결과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49-69, 2013
2 오아라, "특수체육 관련 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6) : 981-990, 2011
3 노언경,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 목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51-76, 2012
4 이현수, "장애학생 통합체육 참여에 대한 비 장애학생의 장애낙인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7 (17): 565-575, 2008
5 김창균, "장애인스포츠 영상매체를 활용한 체육수업이 중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75-88, 2011
6 김지태, "장애인 엘리트선수들이 지각하는 지원체계 문제점의 내용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23 (23): 65-81, 2015
7 서은철, "장애개념의 다중패러다임을 적용한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 개발" 한국특수체육학회 23 (23): 13-37, 2015
8 서은철, "장애개념의 다중패러다임과 잠재변수모형을 적용한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개발" 단국대학교대학원 2015
9 설정덕, "장애 태도가 장애인운동선수의 이미지 및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54) : 927-937, 2013
10 하만두, "장애 이해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 영상자료 활용과 봉사활동 -"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203-220, 2012
11 노언경,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아동·청소년 비행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211-240, 2014
12 홍세희, "이항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교육과학사 2005
13 박상수, "성공적 통합체육을 위한 구성요소 및 우선순위 선정"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135-148, 2011
14 서은철, "다차원 요인구조 검증을 위한 Bifactor 모형의 소개와 적용: Second-Order 모형과의 비교" 한국체육학회 54 (54): 573-587, 2015
15 Oliver, M., "Understanding disability:From theory to practice" St. Martin’s Press 1996
16 Wolfensberger, W., "The importance of social imagery in interpreting societally devalued people to the public" 1 (1): 1-5, 1994
17 Rothman, J. C., "Social work practice across disability" Allyn and Bacon 2003
18 Place, K., "Social inclusion of student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general physical education: A behavioral analysis" 18 (18): 389-404, 2001
19 Auxter, D., "Principles and method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tion" McGraw-Hill Education 2009
20 Brittain, I., "Perceptions of disability and their impact upon involvement in spor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t all levels" 28 (28): 429-452, 2004
21 Giddens, A., "New rules of sociological method: A positive critique of interpretative sociologies" Polity Press 2007
22 Muthén, L. K., "Mplus 7.11 [Computer software]"
23 Muthén, B. O., "Latent variable modeling in heterogeneous population" 54 : 557-585, 1989
24 Magidson, J., "Latent class models for clustering : A comparison with K-means" 20 : 37-44, 2002
25 Collins, L. M., "Latent clas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With applications in the social, behavioral and health sciences" Wiley 2010
26 김명선, "KPGA 선수의 골프경기력에 대한 잠재계층탐색 및 경기력 모형 검증"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347-1358, 2015
27 Tripp, A., "Inclusion in physical education : Changing the culture.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78 (78): 32-36, 2007
28 Kreuter, F., "Good item or bad-Can latent class analysis sell? : The utility of latent class analysis for evaluation of survey questions" 171 (171): 723-738, 2008
29 Jedidi, K., "Finite-Mixture Structural Equation Models for response : Based segmentation and unobserved heterogeneity" 16 : 39-59, 1997
30 Reindal, S. M., "Disability, gene therapy, and eugenics : A challenge to John Harris" 26 (26): 89-94, 2000
31 DePauw, K. P., "Disability sports" Human Kinetics 2005
32 Williams, T., "Disability sport socialization and identity construction" 11 (11): 14-31, 1994
33 Sherrill, C., "Disability and sport: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inclusion, integration, and participation" 5 (5): 42-64, 1996
34 Hu, L. T., "Cut 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35 Priestley, M., "Construction and creations:Idealism, materialism and disability theory" 13 (13): 75-94, 1998
36 Winnick, J. P.,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Human Kinetics 2005
37 Sherrill, C., "Adapted physical activity, recreation and sport: Cross Disciplinary and lifespan" McGraw-Hill 2004
38 Bergman, L. R., "A person-oriented approach in research on development psychopathology" 9 (9): 291-319, 1997
39 Wolfensberger, W., "A brief introduction to social role valorization as a high-order concept for structuring human services" Syracuse University 1992
40 문화체육관광부, "2013 체육백서" 2014
비디오게임을 활용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이 발달장애성인의 건강체력 및 신체활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장애인들의 스포츠 가치관이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2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 |
2022-02-0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8 | 1.31 | 1.18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