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각 둔각물체 주위의 반응유동장에 대한 수치적 연구 = Numerical Study on the Reacting Flow Field abound Rectangular Cross Section Bluff Bo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65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on the flow field around the two-dimensional rectangular bluff body in order to simulate an engine nacelle fire and to complement the previous experimental results of the bluff body stabilized flames.
      Fire Dynamic Simulator (FDS) based on the Direct Numerical Simulation (DNS) was employ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reacting flow around bluff body. The overall reaction was considered and the constant for reaction was determined from flame extinction limits of experimental results. The air used atmosphere and the fuel used methane. For both fuel ejection configurations against an oxidizer stream, the flame stability and flame mode were affected mainly by vortex structure near bluff body. In the coflow configuration, air velocity at the flame extinction limit are increased with fuel velocity, which is comparable to the experiment results. Comparing with the isothermal flow field, the reacting flow produces a weak and small recirculation zone, which is result in the reductions of density and momentum due to temperature increase by reaction in the wake zone.
      번역하기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on the flow field around the two-dimensional rectangular bluff body in order to simulate an engine nacelle fire and to complement the previous experimental results of the bluff body stabilized flames. Fire Dynami...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on the flow field around the two-dimensional rectangular bluff body in order to simulate an engine nacelle fire and to complement the previous experimental results of the bluff body stabilized flames.
      Fire Dynamic Simulator (FDS) based on the Direct Numerical Simulation (DNS) was employ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reacting flow around bluff body. The overall reaction was considered and the constant for reaction was determined from flame extinction limits of experimental results. The air used atmosphere and the fuel used methane. For both fuel ejection configurations against an oxidizer stream, the flame stability and flame mode were affected mainly by vortex structure near bluff body. In the coflow configuration, air velocity at the flame extinction limit are increased with fuel velocity, which is comparable to the experiment results. Comparing with the isothermal flow field, the reacting flow produces a weak and small recirculation zone, which is result in the reductions of density and momentum due to temperature increase by reaction in the wake zo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엔진 나셀 화재를 모사하고 이전의 실험결과를 보충하기위해 이차원 둔각물체 주위의 반응유동장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Direct numerical simulation (DNS) 기반의 fire dynamic simulator (FDS)를 이용하여반응유동장의 특성을 조사하였고,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화학반응식을 결정하였다. 산화제는 공기를 사용하였고, 연료는 메탄을 사용하였다. 동축류와 대향류 분사 모두의 경우에 화염의 안정성이나 모양은 둔각물체 주위의 와 강도와 크기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동축류 분사의 경우 계산에 통한 화염소화한계를 결정하였는데 연료유속이 커질수록 공기의유속 또한 커지는 경향이 있었고, 그 속도들 또한 기존의 실험결과와 잘 일치함을 볼 수 있었다. 유동장 특성에 대한화학반응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해 반응이 없는 경우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모든 경우에 비반응 유동장에 비해 반응 유동장의 후류와는 크기도 감소하고 세기도 감소함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반응에 의한 후류의 온도증가가 유체의 밀도및 모멘텀을 감소시켰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엔진 나셀 화재를 모사하고 이전의 실험결과를 보충하기위해 이차원 둔각물체 주위의 반응유동장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Direct numerical simulation (DNS) 기반의 fire dynam...

      본 연구에서는 엔진 나셀 화재를 모사하고 이전의 실험결과를 보충하기위해 이차원 둔각물체 주위의 반응유동장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Direct numerical simulation (DNS) 기반의 fire dynamic simulator (FDS)를 이용하여반응유동장의 특성을 조사하였고,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화학반응식을 결정하였다. 산화제는 공기를 사용하였고, 연료는 메탄을 사용하였다. 동축류와 대향류 분사 모두의 경우에 화염의 안정성이나 모양은 둔각물체 주위의 와 강도와 크기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동축류 분사의 경우 계산에 통한 화염소화한계를 결정하였는데 연료유속이 커질수록 공기의유속 또한 커지는 경향이 있었고, 그 속도들 또한 기존의 실험결과와 잘 일치함을 볼 수 있었다. 유동장 특성에 대한화학반응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해 반응이 없는 경우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모든 경우에 비반응 유동장에 비해 반응 유동장의 후류와는 크기도 감소하고 세기도 감소함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반응에 의한 후류의 온도증가가 유체의 밀도및 모멘텀을 감소시켰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란, "사각형 둔각물체 주위의 유동장 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한국안전학회 27 (27): 35-41, 2012

      2 이정란, "둔각 물체를 이용한 엔진 나셀 화재 소화 특성" 한국안전학회 27 (27): 20-25, 2012

      3 F. Takahashi, "Suppression of Bluff-Body Stabilized Diffusion Flames" AIAA 98-3529, 1998

      4 D. Papailiou, "Simulations of Fuel Injection and Flame Stabilization in the Wake Formation Region of a Slender Cylinder" 28 : 91-99, 2000

      5 C. K. Westbrook, "Simplified Reaction Mechanisms for the Oxidation of Hydrocarbon Fuels in Flames" 71 : 31-43, 1981

      6 B. B. Dallya, "Measurements of NO in Turbulent Non-Premixed Flames Stabilized on a Bluff Body" 26 : 2191-2197, 1996

      7 S. J. Shanbhogue, "Lean Blowoff of Bluff Body Stabilized Flames: Scaling and Dynamics" 35 : 98-120, 2009

      8 A. Kempfa, "Large- Eddy Simulation of a Bluff-Body Stabilized Nonpremixed Flame" 144 : 170-189, 2006

      9 D. H Kim, "Large Eddy Simulation of Turbulent Flow in Planar Combustor" 24 (24): 1409-1416, 2000

      10 I. Esquiva-Dano, "Influence of a Bluff-Body’s Shape on the Stabilization regime of Non-premixed Flames" 127 : 2167-2180, 2001

      1 이정란, "사각형 둔각물체 주위의 유동장 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한국안전학회 27 (27): 35-41, 2012

      2 이정란, "둔각 물체를 이용한 엔진 나셀 화재 소화 특성" 한국안전학회 27 (27): 20-25, 2012

      3 F. Takahashi, "Suppression of Bluff-Body Stabilized Diffusion Flames" AIAA 98-3529, 1998

      4 D. Papailiou, "Simulations of Fuel Injection and Flame Stabilization in the Wake Formation Region of a Slender Cylinder" 28 : 91-99, 2000

      5 C. K. Westbrook, "Simplified Reaction Mechanisms for the Oxidation of Hydrocarbon Fuels in Flames" 71 : 31-43, 1981

      6 B. B. Dallya, "Measurements of NO in Turbulent Non-Premixed Flames Stabilized on a Bluff Body" 26 : 2191-2197, 1996

      7 S. J. Shanbhogue, "Lean Blowoff of Bluff Body Stabilized Flames: Scaling and Dynamics" 35 : 98-120, 2009

      8 A. Kempfa, "Large- Eddy Simulation of a Bluff-Body Stabilized Nonpremixed Flame" 144 : 170-189, 2006

      9 D. H Kim, "Large Eddy Simulation of Turbulent Flow in Planar Combustor" 24 (24): 1409-1416, 2000

      10 I. Esquiva-Dano, "Influence of a Bluff-Body’s Shape on the Stabilization regime of Non-premixed Flames" 127 : 2167-2180, 2001

      11 I. Esquiva-Danoa, "Influence of a Bluff-Body’s Shape on the Stabilization Regime of Non-Premixed Flames" 127 : 2167-2180, 2001

      12 B. B. Dallya, "Flow and Mixing Fields of Turbulent Bluff-Body Jets and Flames" 2 (2): 193-219, 1998

      13 Y. Chen, "Flame Lift-off and Stabilization Mechanisms of Nonpremixed Jet Flames on a Bluff-body Burner" 115 : 51-65, 1998

      14 K. McGrattan, "Fire Dynamics Simulator User’s Guide" NIST 2005

      15 P. Koutmos,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Study of Square Cylinder Wakes with Two-Dimensional Injection into the Base Flow Region" 23 (23): 353-365, 2004

      16 I. Glassman, "Combustion" Elsevier 2008

      17 A. G. Bakrozis, "A Study of the Turbulent Structure of a Two-Dimensional Diffusion Flame Formed Behind a Slender Bluff-Body" 119 : 291-306, 1999

      18 P. Koutmos, "A Study of Turbulent Diffusion Flames Formed by Planar Fuel Injection into the Wake Formation Region of a Slender Square Cylinder" 26 : 161-168, 1996

      19 B. J Armstrong, "A Comparison of the Structure of the Wake behind a Circular Cylinder in a Steady Flow with That in a Perturbed Flow" 30 (30): 19-26, 1987

      20 R. H. Chen, "A Comparison of Bluff-Body and Swirl- Stabilized Flames" 71 : 197-217,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화재.소방학회지 ->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RANSACTION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5 0.6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