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건강지향 소비자 행동에 대한 조사 연구 = Research on the Survey of Health-oriented Consumer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59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건강에 대한 관심과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 따라 소비자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소비행동에서 남녀차이가 있는지,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대학생들과 일반인들과 차...

      본 연구는 건강에 대한 관심과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 따라 소비자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소비행동에서 남녀차이가 있는지,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대학생들과 일반인들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 소비자들의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서울, 경기, 대구 및 광주지역의 대학생과 일반인들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건강관심도에서 남녀 차이가 없었으나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건강관심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대학생과 일반인들을 비교한 결과, 건강관심도에서는 대학생보다 일반인들이 더 높게 나타났고,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건강관리 행동에서의 성별, 연령대별 그리고 대학생과 일반인들의 소비행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한 결과, 성별 분석결과는 헬스클럽에 회원 가입해서 운동하는 것과 조깅과 같은 운동을 하는 것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고, 음식조절과 같은 경우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대별 분석 결과는 30대가 회원가입해서 운동하는 것과 조깅과 같은 운동을 하는 것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났고, 50대는 건강식품, 기능성 약품 복용 및 음식조절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과 일반인들의 건강관리 행동을 비교해 본 결과, 모든 건강관리 행동에서 대학생보다는 일반인들이 높게 나타났고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소비자의 건강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건강관련 지출 금액이 높은 소비자일록, 규칙적인 생활을 할수록, 그리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건강관리 행동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across genders or age groups, or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in accordance with one’s interest in health and self-perception of one’s own he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across genders or age groups, or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in accordance with one’s interest in health and self-perception of one’s own health. The su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in Seoul, Gyeonggi Province, Daegu and Gwangju. The findings are as follow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erms of their interest in health, self-perception appeared to be higher in men than in women.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est in health across different age groups, while no difference was found for self-perceived health. A comparis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registered higher in terms of their interest in health, whi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was found for health status. A review on the difference or lack thereof in consumption pattern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between genders and across different age groups showed that men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han women to register themselves at a gym and work out, or to carry out exercises like jogging. In terms of dietary planning, women scored higher than me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 analysis across different age groups shows that those in their 30s scored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when it came to joining a gym or doing workouts like jogging, while those in their 50s scored higher in terms of their intake of health supplements or dietary planning and control. A comparison of health management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show that in all types of health management behavior, adults scored higher tha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difference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신, "환경친화적인 가전소비재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도 연구" 대한가정학회 42 (42): 19-31, 2004

      2 최나영, "환경친화적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특성분석" 7 (7): 1-12, 1999

      3 윤정혜, "패널자료 분석을 이용한 중․고령자 단독가계의 의료비지출 영향 요인" 한국소비자학회 21 (21): 193-218, 2010

      4 배성의, "친환경 농산물 소비자의 소비행태에 관한 특성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5 (15): 149-163, 2004

      5 윤은자,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17 (17): 41-59, 2000

      6 서연옥,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5

      7 홍병숙, "중·노년 여성의 웰빙 추구 성향에 따른 화장품 사용 및 만족도" 대한가정학회 44 (44): 43-50, 2006

      8 유소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사회계층별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 행동 분석" 한국소비문화학회 9 (9): 167-185, 2006

      9 이정우, "주관적 건강인식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7 (17): 533-540, 2006

      10 장혜순, "전북 일부지역 중년의사회 경제적요인, 건강 및 생활 관련인자가 건강식품 섭취에 미치는영향" 6 (6): 617-627, 2001

      1 이승신, "환경친화적인 가전소비재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도 연구" 대한가정학회 42 (42): 19-31, 2004

      2 최나영, "환경친화적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특성분석" 7 (7): 1-12, 1999

      3 윤정혜, "패널자료 분석을 이용한 중․고령자 단독가계의 의료비지출 영향 요인" 한국소비자학회 21 (21): 193-218, 2010

      4 배성의, "친환경 농산물 소비자의 소비행태에 관한 특성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5 (15): 149-163, 2004

      5 윤은자,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17 (17): 41-59, 2000

      6 서연옥,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5

      7 홍병숙, "중·노년 여성의 웰빙 추구 성향에 따른 화장품 사용 및 만족도" 대한가정학회 44 (44): 43-50, 2006

      8 유소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사회계층별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 행동 분석" 한국소비문화학회 9 (9): 167-185, 2006

      9 이정우, "주관적 건강인식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7 (17): 533-540, 2006

      10 장혜순, "전북 일부지역 중년의사회 경제적요인, 건강 및 생활 관련인자가 건강식품 섭취에 미치는영향" 6 (6): 617-627, 2001

      11 이석인, "자기건강 인식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 차이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4 (14): 257-264, 2003

      12 김정원, "일부 노인의 건강행동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14 (14): 73-95, 1997

      13 유현정, "웰빙트렌드에 대한 소비자의식 및 웰빙행동" 한국생활과학회 15 (15): 261-274, 2006

      14 허경옥, "웰빙추구성향과 웰빙구매행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다차원적 요인의 영향력 분석" 대한가정학회 45 (45): 89-98, 2007

      15 김성환, "웰빙소비문화에 관한 연구" 2005

      16 김민정, "웰빙(Well-being)에 대한 척도개발과 웰빙지향 소비행동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8 (8): 148-164, 2005

      17 김상일, "웰빙 열풍을 읽는 3개의 코드," 2 (2): 18-24, 2004

      18 홍희숙, "웰빙 라이프스타일 소비자의 탈물질주의 가치 성향 및 의류상품 추구혜택" 한국소비문화학회 12 (12): 39-66, 2009

      19 김상국, "웰니스 개념과 적용-삶의 질과 건강증진 지침서" 21세기 교육사 1996

      20 이종성, "우리나라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의향분석" 한국생명과학회 12 (12): 433-441, 2002

      21 鄭瑛淑, "예방적 건강을 위한 구매행동모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건강보조식품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1997

      22 한동운, "영국 Health Action Zones의 함의: 건강 불평등" 10 (10): 1-22, 2004

      23 김문희, "식품의 영양강조표시가 소비자의 건강신념과 브랜드태도, 질병리스크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학회 21 (21): 53-81, 2010

      24 이기춘,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제품에 대한 구매의사" 7 (7): 109-126, 1996

      25 남궁석, "서울지역 거주자의 건강식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11 (11): 455-465, 2001

      26 서봉연, "새내기들의 정신건강"

      27 조혜진, "베이비부머의 건강에 대한 인식 및 노후의료비 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123-143, 2012

      28 김영복, "미국 대학생의 건강수준, 건강행동 및 건강관련요인에 관한 변화 추이 분석"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7 (27): 153-163, 2010

      29 전선영, "도시와 농촌지역의 건강관심도, 건강행위 및 주관적인 건강인식과의 관련성 연구"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2003

      30 정복미, "도시 직장인들의 생활습관 및 건강관리 실태 조사에 관한 연구. -5대도시(부산, 여수, 창원, 진주, 인천)를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1 (31): 482-491, 2002

      31 이미라,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결정요인에관한 연구" 27 (27): 156-168, 1997

      32 서현미, "노인의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한국간호과학회 34 (34): 1288-1297, 2004

      33 김범석, "남·녀 대학생들의 건강 인식도에 관한 비교 조사 연구 : 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교육대학원 2000

      34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ealth Plan 2010"

      35 김공현, "국민건강증진사업 개발을 위한 소고" 2 : 17-31, 1996

      36 정인숙, "교사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도와 관련요인"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 (20): 179-196, 2003

      37 한덕웅, "건강행동척도의 전국 규준" 한국건강심리학회 7 (7): 1-22, 2002

      38 백은영, "건강지향적 소비행동 실태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9 (9): 25-48, 2006

      39 박인숙,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5

      40 이은주,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인식 연구(Ⅱ)" 11 (11): 487-495, 1996

      41 주혜진, "가족 건강관리 행위에 관한 조사연구" 13 (13): 1-25, 1996

      42 Preston, G. M., "Transcriptional and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rat prolactin gene by calcium" 10 : 442-448, 1990

      43 Wagstaff, A., "The demand for health : An empirical reformulation of the Grossman model" 2 : 189-198, 1993

      44 Pilzer, P. Z., "The Wellness Revolution" John Wiley & Sons 2002

      45 Gerdtham, U., "The Demand for Health : Results from New Measures of Health Capital" 15 : 501-521, 1999

      46 Mossey, J. M., "Self-related Health, a Predictor of Mortality among the Elderly" 72 : 800-808, 1982

      47 Idler, E. L.,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in the NHANES-I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80 (80): 446-452, 1990

      48 Pilzer, P. Z., "Second Edition: How to Make A Fortune in the Next Trillion Dollar Industry" John Wiley & Sons, Inc 2002

      49 Dutta-Bergman. M., "Primary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 Comparisons in the Domain of Health Attitudes, Health Cognitions, and Health Behaviors" 16 (16): 273-288, 2004

      50 Kaplan, G., "Perceived Health and Mortality : A Nine Year Followup the Human Population Laboratory Cohort" 117 : 292-304, 1983

      51 Macleod, J., "Is Subjective Social Status a More Important Determinant of Health than Objective Social Status? Evidence from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Scottish Men" 61 : 1916-1929, 2005

      52 Mason J., "Healthy People 2000 : An Overview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Objectives" 105 (105): 441-446, 1990

      53 Nocera, S., "Health, the medical profession, and regulation" Kluwer 35-49, 1998

      54 Nocera, S., "Health the medical profession and regul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35-49, 1998

      55 Walker, S. 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older adults : Comparisons wi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correlates and pjattirns" 11 : 76-90, 1988

      56 Idler, E. L., "Health Perceptions and Survival : Do Global Evaluation of Health Status Really Predict Mortality?" 46 (46): 555-565, 1991

      57 Duffy, M. E.,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on in Middle Women" 36 (36): 358-362, 1989

      58 Moorman, C., "Consumer Health under Scope" 29 : 152-158, 2002

      59 Preston, D. B., "An assessment of college health nursing practice : a wellness perspective" 7 (7): 97-104, 1990

      60 Shong, K. Y., "A Survey on PerceivedHealth Status andHealth Promoting Lifestyle Patterns between Korean Elderly and Korean-American Elderly" 7 (7): 401-414, 2005

      61 Kim, H. 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Resourcefuln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Hospital Nurse" KonKuk University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 1.88 2.35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