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즈베키스탄 한인의 전통명절과 공동묘지의에스니시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794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주(州) 치르치크(Chirchik) 강변에 위치한 약 30개의 한인 깔호즈(Kalhoz)에는 1937년 강제이주 이후 지금까지 한인들의 중심 생활터전이 되어왔다. 한인 깔호즈에는 공동묘...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주(州) 치르치크(Chirchik) 강변에 위치한 약 30개의 한인 깔호즈(Kalhoz)에는 1937년 강제이주 이후 지금까지 한인들의 중심 생활터전이 되어왔다. 한인 깔호즈에는 공동묘지를 하나씩 갖고 있는데, 이들 한인 공동묘지는 나름대로 민족적인 특성을 갖춘 무덤군으로 조성되어 왔다. 치르치크 강변은 상류(上流), 중류(中流), 하류(下流)지역(라이온)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한인들이 이들 지역에 정착한 이래 ‘치르치크’라는 강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한인 집단 거주지역이다.
      필자는 지난 수년간 치르치크 강변 한인 깔호즈의 공동묘지에서 전승되는 한인의 전통명절을 조사하여 왔다. 전통명절 한식, 단오, 추석과 공동묘지에 대한 참여관찰과 민속지(民俗誌:ethnography) 조사를 통해 강제이주 현재까지 우즈베키스탄 한인 명절이 존재하는 양상을 고찰하였으며, 우즈벡 한인의 한식, 단오, 추석이 한인의 에스니시티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즈베키스탄 한인들의 명절 역시 소비에트 연방(the Soviet Union;USSR)이란 새로운 정치 환경에 적응하며 문화변동(Culture Change)을 거쳤지만 전승되어 왔다. 1937년 우즈베키스탄이란 전혀 새로운 자연환경과 문화 속으로 집단이주를 경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인들은 소속 국가에 적응하면서도 자신들의 전통을 잘 간직하여 왔다.
      우즈벡 한인들은 소비에트 연방 시절부터 전통명절을 지내왔지만, 한인 고유의 월력체계를 서양의 그레고리력에 적용하여 명절을 기념하였다. 이 과정에서 현실과 전통사이에서 갈등과 혼란을 겪기도 하였다. 전통명절과 관련된 민족의 민속놀이는 사라졌지만, 명절 자체의 의미와 가치는 ‘집’이 아닌 ‘공동묘지’에서 ‘성묘’라는 방식으로 실천해 왔다.
      노인세대와 젊은 세대 간의 인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동묘지에서 ‘추모의 성격’을 갖는 명절 제례를 통해 한인들 사이의 친족애와 가족애를 강화하는 계기로 삼아왔다. 교육적 차원에서도 전통의 계승을 위해 젊은 세대와 어린 자식들을 데리고, 명절에 부모 형제자매의 두덤에 성묘하러 가는 풍습을 구현해 오고 있다.
      치르치크 강변에 형성된 30여 한인 깔호즈에 한인들의 집거지역이 존재해 왔다는 것은 한인들이 전통문화를 유지할 수 있는 발판이 되었다. 중앙아시아 여타 국가의 한인 집단 거주지역에 비해 대도시와의 근접성은 비록 탈농촌화가 진행되어 왔지만, 오늘날까지 한인들이 전통명절을 지속시킬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탈농촌화와 더불어 노인세대가 남아 각 깔호즈의 공동묘지에서 전통문화를 지속시킬 수 있는 주체가 되어 왔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공동묘지’라는 공간에서 계승되어 온 한인의 전통명절인 한식, 단오, 추석은 한인들의 전통과 에스니시티를 강화시켜 온 추진체이자 한인으로서의 존재감을 상징적으로 표현해 준 동력이 되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동묘지와 ‘상두막’에서 노인세대들은 젊은 세대에게 가족애와 친족애 나아가 민족애를 심어주고 있었다.
      여타 민족과는 다른 전통명절인 한식, 단오, 추석을 통해 한인의 전통명절이 유지되지 않는다면, 그 민족의 에스니시티를 표현하거나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할 수도 있다는 점을 우즈벡 한인들은 너무나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공동묘지라는 공간이 갖는 비중이 중대함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1937 deportation by Stalin from the Russian Far East to Central Asia, Korean populations have built their homes based on about 30 collective farms (Kalhoz) dotted around the Chirchik riverbanks in Tashkent, Uzbekistan. There is in each of th...

      Since the 1937 deportation by Stalin from the Russian Far East to Central Asia, Korean populations have built their homes based on about 30 collective farms (Kalhoz) dotted around the Chirchik riverbanks in Tashkent, Uzbekistan. There is in each of these Korean farms a cemetery containing graves exhibiting cultural traits of ethic Koreans settled in the country. The area around Chirchik River is generally divided into three Upper, Middle, and Lower Areas and contains Korean communities which began to form after the Soviet’s resettlement plans in the 1930s.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traditional seasonal festivals preserved by the Korean communities formed around the Chirchik River in relation with the cemeteries of the ethnic Koreans. The study carried out via on-site observations at the cemeteries on the seasonal festive days such as Hansik (“Cold Food”, on the 105th day after the winter solstice), Dano (“First Five”, on the fifth day of the fifth lunar month) and Chuseok (“Autumn Evening”, on the fifteenth day of the eighth lunar month) and ethnography researches on the festivities of the Korean communities in Uzbekistan and the influence of the festivities upon their ethnicity.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Korean communities in Uzbekistan have preserved the Korean seasonal festivals, adapting themselves to the cultural changes in a new political environment imposed by the Soviet Union. The extraordinary experience of the 1937 deportation which situated Koreans to a totally foreign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could not deter them from the preservation of their cultural heritage while accommodating the system of their new country remarkably well.
      Korean people in Uzbekistan kept the Korean heritage of traditional festivals even when they were under the Soviet rule according to the dates they established by adjusting their own Korean calendar to the Gregory calendar. The process caused a lot of conflict and confusion between tradition and reality, contributing to the disappearance of festival folk games and changes in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festivals by which festival ceremonies came to take place at their communal cemetery rather than homes.
      There have been conflicts between old and young generations over their awareness of the traditional festivals, but the traditional memorial ceremonies held at their ancestral graves continued to play a crucial role in strengthening the sense of community and familial love. The tradition in which parents take their offsprings to the graves of their deceased families to celebrate the seasonal festivals together have positive educational effect upon their community.
      That the deported Korean people were able to form their own communities in about 30 collective farms around the Chirchik River became a great advantage for them to preserve the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Unlike the Korean communities in other Central Asian countries, those in Uzbekistan were easily accessible to large cities. The situation accelerated the pace of rural population decline but also helped the Korean communities preserve their tradition of commemorating seasonal festivals.
      The festivals such as Hansik, Dano, and Chuseok continued to be held at their communal cemetery have been a main power base for strengthening the tradition and ethnicity of Korean people and symbolic actions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The communal cemetery and Sangdumak (funeral house) became important educational facilities where older generation taught their youngsters about love of their families, ancestors and the nation.
      The Korean communities in Uzbekistan show a great example that the tradition of celebrating Korean seasonal festivals such as Hansik, Dano, and Chuseok provides them with a precious opportunity to express or strengthen the ethnicity of Korean people. It was, of course, their communal cemetery that played the key role in maintaini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한인의 전통명절
      • Ⅲ. 한인 공동묘지의 에스니시티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한인의 전통명절
      • Ⅲ. 한인 공동묘지의 에스니시티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바롭스크 출생 타쉬켄트 거주 최 리다 일리야예브나(Цой Лида Ильяевна, 1936년 7월 10일생)"

      2 "타쉬켄트 벡찌미르 라이온 거주 도가이 안드레이(Догай Андрей, 1974년생)"

      3 장준희, "중앙아시아 고려사람의 공동묘지에 나타난 문화 정체성" 한국문화연구원 21 : 201-236, 2011

      4 이광규, "재소한인-인류학적 접근-" 집문당 1993

      5 "이끄오따 깔호즈 거주 오 모이세이 빤델레이모노비치(Огай Моисей Пантелей монович,1945년생)"

      6 장준희, "우즈베키스탄 한인 깔호즈의 공동묘지 조성과 무덤건축양식" 국립민속박물관 (23) : 187-208, 2008

      7 장준희, "우즈베키스탄 한인 공동묘지 묘비명의 현대 민족지 고고학" 비교고고학회 (2) : 2009

      8 "스베들로프 깔호즈 한인 상두계 회장 안 로베르트 니콜라예비치(Ан Роберт Николаевич,1937년생)"

      9 "스베들로프 깔호즈 출신 타쉬켄트 거주 김 보리스(Ким Борис, 1963년생)"

      10 "스베들로프 깔호즈 출신 노보시비리스크 거주 세가이 에두아르드(Сегай Эдуард, 1972년생)"

      1 "하바롭스크 출생 타쉬켄트 거주 최 리다 일리야예브나(Цой Лида Ильяевна, 1936년 7월 10일생)"

      2 "타쉬켄트 벡찌미르 라이온 거주 도가이 안드레이(Догай Андрей, 1974년생)"

      3 장준희, "중앙아시아 고려사람의 공동묘지에 나타난 문화 정체성" 한국문화연구원 21 : 201-236, 2011

      4 이광규, "재소한인-인류학적 접근-" 집문당 1993

      5 "이끄오따 깔호즈 거주 오 모이세이 빤델레이모노비치(Огай Моисей Пантелей монович,1945년생)"

      6 장준희, "우즈베키스탄 한인 깔호즈의 공동묘지 조성과 무덤건축양식" 국립민속박물관 (23) : 187-208, 2008

      7 장준희, "우즈베키스탄 한인 공동묘지 묘비명의 현대 민족지 고고학" 비교고고학회 (2) : 2009

      8 "스베들로프 깔호즈 한인 상두계 회장 안 로베르트 니콜라예비치(Ан Роберт Николаевич,1937년생)"

      9 "스베들로프 깔호즈 출신 타쉬켄트 거주 김 보리스(Ким Борис, 1963년생)"

      10 "스베들로프 깔호즈 출신 노보시비리스크 거주 세가이 에두아르드(Сегай Эдуард, 1972년생)"

      11 "세베르니 마약 깔호즈 거주 남 보리스(Нам Борис, 1949년생)"

      12 "살닷스끼 깔호즈 상두계 회장 최 보리스 춘봉노비치(Цой Борис Чунбонович, 1925년생)"

      13 "뽈리따젤 출신 타쉬켄트 거주 김 알렉산드르 빅토르비치(Ким Александр Викторвич, 1964년생)"

      14 "드미뜨로프 깔호즈 거주 유가이 그리고리 막시모비치(Югай Григорий Миксимович, 1939년생)"

      15 "드미뜨로프 깔호즈 거주 리 니콜라이 페다로비치(Ли Николай Федорович, 1926년생)"

      16 "김병화 깔호즈 상두계 회장 김 게라씸 유노비치(Ким Герасим Юиович, 1948년생)"

      17 Мин Л. В., "Семейные традиции и обычаи Корейцев, проживаюших в Казахстане(카자흐스탄에 살고 있는 한인의 가정 전통과 풍습)"

      18 Брутт КИМ, "Кореайцы Узбекистана Кто есть кто(우즈베키스탄 한인에는 누가 있는가) : Справочное издание" Справочное издание 1997

      19 Джанг Джун Хи, "Кладбище и могилы колхоза им. Ким Пен Хва и этнографическийвзгляд на них(민족지적 관점에서 바라본 김병화 농장의 공동묘지와 무덤)" 26 : 2005

      20 В. С. Цой, "Изучение семейнойобрядности Корейцев Казахстана(카자흐스탄 한인의 가정의례 연구), In Советская Этнография(소비에트 민족학) 2" Издательство наука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4 0.7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