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지각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ual Patterns of Korean Vowels in Chinese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061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Korean vowel listening education by identifying perceptual error patterns by gender, Korean proficiency, and initial consonant through listening experiments of Chinese Korean learners, and analy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imple and double vowels.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30 subjects, 15 Chinese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speak the Chinese standard language,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listening experiments by gender, Korean proficiency, and initial consonant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of Chinese learners did not affect the Korean vowel perception error. Second, /ㅗ/ and /ㅛ/ did not improve errors even i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nd in the case of /ㅓ/ and /ㅕ/, the frequency of perceptual errors i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was higher than that of beginners. Third, Chinese learners generally had the most simple vowel perception errors in initial consonants /ㅎ/, but in the case of simple and double vowels, there were no regularity of incorrectly perceiving certain vowels by replacing them with other vowels was found. Fourth, Chinese learners had many errors in perception of /ㅗ/, so there were many errors in perception of /ㅛ/ and since it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between the simple vowels /ㅗ/ and /ㅜ/, it is also difficult to discriminate between the double vowels /ㅛ/ and /ㅠ/.
      Conclusions Chinese learners should be guided to listen to Korean vowels by referring to the types of vowel perceptual errors in this study.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Korean vowel listening education by identifying perceptual error patterns by gender, Korean proficiency, and initial consonant through listening experiments of Chinese Korean learners, a...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Korean vowel listening education by identifying perceptual error patterns by gender, Korean proficiency, and initial consonant through listening experiments of Chinese Korean learners, and analy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imple and double vowels.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30 subjects, 15 Chinese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speak the Chinese standard language,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listening experiments by gender, Korean proficiency, and initial consonant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of Chinese learners did not affect the Korean vowel perception error. Second, /ㅗ/ and /ㅛ/ did not improve errors even i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nd in the case of /ㅓ/ and /ㅕ/, the frequency of perceptual errors i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was higher than that of beginners. Third, Chinese learners generally had the most simple vowel perception errors in initial consonants /ㅎ/, but in the case of simple and double vowels, there were no regularity of incorrectly perceiving certain vowels by replacing them with other vowels was found. Fourth, Chinese learners had many errors in perception of /ㅗ/, so there were many errors in perception of /ㅛ/ and since it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between the simple vowels /ㅗ/ and /ㅜ/, it is also difficult to discriminate between the double vowels /ㅛ/ and /ㅠ/.
      Conclusions Chinese learners should be guided to listen to Korean vowels by referring to the types of vowel perceptual errors in this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에 대한 청취 실험을 통해, 성별, 숙달도별, 어두 자음별 지각 오류 양상을알아보고, 단순모음과 이중모음의 지각 오류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한국어 모음 청취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중국 표준어인 보통화를 구사하는 20-30대 중국인 남녀 각 15명씩 총 30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한국어 단순모음과 이중모음에 대한 성별, 숙달도별, 어두 자음별 청취 실험을 진행하였다. 청취 실험은 ZOOM을 사용하여 연구자와 중국인 학습자들이 일대일로 만나, 녹음된 한국인 여성의 발음을 듣고 받아쓰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중국인 학습자들의 성별은 한국어 모음 지각 오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순모음 /ㅗ/와 이중모음 /ㅛ/는 중급과 고급에서도 오류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ㅓ/와 /ㅕ/의 경우에는 초급보다 오히려 중급과 고급에서의 지각오류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국인 학습자들은 대체로 어두 자음 /ㅎ/에서 단순모음 지각 오류가 가장 많았으나 어두 자음 환경에서 특정 모음을 다른 모음으로 대체하여 잘못 지각하는 규칙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중모음의 경우 특정 어두 자음 환경에서 모음 오류가 많거나, 특정 모음을 다른 모음으로 대체하여 잘못 지각하는 규칙성이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단순모음 /ㅗ/의 지각의 오류가 많기 때문에 이중모음 /ㅛ/도 지각 오류가 많았으며, 단순모음 /ㅗ/와 /ㅜ/의 지각 변별을 어려워하기 때문에 이중모음 /ㅛ/와 /ㅠ/의 지각 변별도 어려워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모음 지각 오류 유형들을 참고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 청취 지도를 해야 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에 대한 청취 실험을 통해, 성별, 숙달도별, 어두 자음별 지각 오류 양상을알아보고, 단순모음과 이중모음의 지각 오류의 연계성을 분...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에 대한 청취 실험을 통해, 성별, 숙달도별, 어두 자음별 지각 오류 양상을알아보고, 단순모음과 이중모음의 지각 오류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한국어 모음 청취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중국 표준어인 보통화를 구사하는 20-30대 중국인 남녀 각 15명씩 총 30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한국어 단순모음과 이중모음에 대한 성별, 숙달도별, 어두 자음별 청취 실험을 진행하였다. 청취 실험은 ZOOM을 사용하여 연구자와 중국인 학습자들이 일대일로 만나, 녹음된 한국인 여성의 발음을 듣고 받아쓰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중국인 학습자들의 성별은 한국어 모음 지각 오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순모음 /ㅗ/와 이중모음 /ㅛ/는 중급과 고급에서도 오류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ㅓ/와 /ㅕ/의 경우에는 초급보다 오히려 중급과 고급에서의 지각오류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국인 학습자들은 대체로 어두 자음 /ㅎ/에서 단순모음 지각 오류가 가장 많았으나 어두 자음 환경에서 특정 모음을 다른 모음으로 대체하여 잘못 지각하는 규칙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중모음의 경우 특정 어두 자음 환경에서 모음 오류가 많거나, 특정 모음을 다른 모음으로 대체하여 잘못 지각하는 규칙성이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단순모음 /ㅗ/의 지각의 오류가 많기 때문에 이중모음 /ㅛ/도 지각 오류가 많았으며, 단순모음 /ㅗ/와 /ㅜ/의 지각 변별을 어려워하기 때문에 이중모음 /ㅛ/와 /ㅠ/의 지각 변별도 어려워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모음 지각 오류 유형들을 참고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 청취 지도를 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신애 ; 김선아, "홍콩 광동어 화자의한국어 단모음 지각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55) : 263-293, 2016

      2 박시균,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한국문화사 2013

      3 권성미, "한국어 발음 교육론" 한글파크 2017

      4 박덕유,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 박문사 2021

      5 윤은경, "한국어 단모음 습득 연구 : L1과 L2의 상호작용가설 관점에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6 안나 파라돕스카, "폴란드인의 한국어 모음의 발음과 청취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김정욱,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수 방안 연구 : 한국어와 중국어 모음 체계 대조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8 김길동,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태경, "중국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소 변별에 대한 연구" 국제어문학회 (62) : 405-425, 2014

      10 Lin, Y. H., "중국어 말소리" 역락 2010

      1 심신애 ; 김선아, "홍콩 광동어 화자의한국어 단모음 지각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55) : 263-293, 2016

      2 박시균,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한국문화사 2013

      3 권성미, "한국어 발음 교육론" 한글파크 2017

      4 박덕유,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 박문사 2021

      5 윤은경, "한국어 단모음 습득 연구 : L1과 L2의 상호작용가설 관점에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6 안나 파라돕스카, "폴란드인의 한국어 모음의 발음과 청취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김정욱,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수 방안 연구 : 한국어와 중국어 모음 체계 대조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8 김길동,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태경, "중국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소 변별에 대한 연구" 국제어문학회 (62) : 405-425, 2014

      10 Lin, Y. H., "중국어 말소리" 역락 2010

      11 Saville-Troike, M., "제2언어습득론: 제2언어습득입문서" Sejin Trading 2006

      12 박시균 ; 김지영, "인지동화모델(PAM)에 기반한 중국인의한국어 단순모음 인지 연구" 우리말학회 (52) : 137-159, 2018

      13 이중진,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 단순모음과 폐쇄음에 관한 실험 음성학적 방법을 기반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14 신지영, "말소리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0

      15 홍진혁, "라오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16 이진호, "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2014

      17 Best, C. T., "The emergence of native-language phonological influences in infants : A 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167 (167): 233-277, 1994

      18 Flege, J. E., "Second language speech learning : Theory, findings, and problems" 92 (92): 233-277, 1995

      19 박덕유, "(이해하기 쉬운)문법교육론" 역락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