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신애 ; 김선아, "홍콩 광동어 화자의한국어 단모음 지각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55) : 263-293, 2016
2 박시균,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한국문화사 2013
3 권성미, "한국어 발음 교육론" 한글파크 2017
4 박덕유,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 박문사 2021
5 윤은경, "한국어 단모음 습득 연구 : L1과 L2의 상호작용가설 관점에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6 안나 파라돕스카, "폴란드인의 한국어 모음의 발음과 청취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김정욱,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수 방안 연구 : 한국어와 중국어 모음 체계 대조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8 김길동,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태경, "중국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소 변별에 대한 연구" 국제어문학회 (62) : 405-425, 2014
10 Lin, Y. H., "중국어 말소리" 역락 2010
1 심신애 ; 김선아, "홍콩 광동어 화자의한국어 단모음 지각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55) : 263-293, 2016
2 박시균,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한국문화사 2013
3 권성미, "한국어 발음 교육론" 한글파크 2017
4 박덕유,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 박문사 2021
5 윤은경, "한국어 단모음 습득 연구 : L1과 L2의 상호작용가설 관점에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6 안나 파라돕스카, "폴란드인의 한국어 모음의 발음과 청취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김정욱,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수 방안 연구 : 한국어와 중국어 모음 체계 대조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8 김길동,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태경, "중국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소 변별에 대한 연구" 국제어문학회 (62) : 405-425, 2014
10 Lin, Y. H., "중국어 말소리" 역락 2010
11 Saville-Troike, M., "제2언어습득론: 제2언어습득입문서" Sejin Trading 2006
12 박시균 ; 김지영, "인지동화모델(PAM)에 기반한 중국인의한국어 단순모음 인지 연구" 우리말학회 (52) : 137-159, 2018
13 이중진,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 단순모음과 폐쇄음에 관한 실험 음성학적 방법을 기반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14 신지영, "말소리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0
15 홍진혁, "라오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16 이진호, "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2014
17 Best, C. T., "The emergence of native-language phonological influences in infants : A 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167 (167): 233-277, 1994
18 Flege, J. E., "Second language speech learning : Theory, findings, and problems" 92 (92): 233-277, 1995
19 박덕유, "(이해하기 쉬운)문법교육론" 역락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