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일부 한국여대생의 로마진단기준에 의한 변비 실태조사 및 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19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부 여대생 978명 대상으로 로마진단기준에 의한 변비 실태를 조사하고 변비증상을 가진 자와 정상배변 습관을 가진자들의 생활습관 배변상태 월경불편감 의생활 주거생활 식습관 및 식이섭취실태 등을 조사하여 변비와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를 영양교육 자료의 기초를 삼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인구비례에 근거한 전국 5개지역 소재 (서울/경기 경상 충청 전라 강원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978명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6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1.6세로 로마기준 II에 의한 변비실태 조사는 정상배변군과 변비군 각각 714명 (73.0%)과 264명 (27.0%)로 나타나 변비유병률은 27.0%로 나타났다.
      2) 변비군에서 체중 (p < 0.05)과 체질량지수 (p < 0.05)는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비만도가 높을수록 변비발생 (p < 0.01)과 배변장애요인수 (p < 0.01)가 높았다.
      3) 변비군의 경우 기능성대장질환 (p < 0.001)과 과민성대장질환 (p < 0.001) 치질 (p < 0.01)발생률과 대변모양이 비정상적 (p < 0.05)비율이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나 배변상태와 변비여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속쓰림증과 상복부 통증증상은 정상배변군에서 변비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p < 0.001).
      4) 배변상태에 이상이 있고 변비가 있을 때 월경불편감을 느끼는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5) 의류 (속옷류) 착용 시 인체에 나타나는 불편한 증상은 정상배변군보다 변비군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았고 의류착용시 편안함이 높을수록 변비 (p < 0.01) 배변장애요인수 (p < 0.01) 기능성대장질환 (p < 0.01) 과민성대장질환 (p < 0.01) 및 월경불편감 (p < 0.01)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6) 조사대상자의 평상시 식사의 규칙성 조사결과 변비군에서 아침식사가 불규칙적인 경우는 30.3% (p < 0.05) 점심식사와 저녁식사의 불규칙적인 경우는 각각 33.3% (p < 0.05)와 30.8% (p < 0.05)로 나타나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규칙적인 식사를 할수록 변비증세 (p < 0.01) 배변장애요인수 (p < 0.01) 기능성대장질환 (p < 0.01) 월경불편감 (p < 0.01) 음주률 (p < 0.01) 및 외식률 (p < 0.05)이 낮았다.
      7) 식품군다양성점수 (DDS)는 정상배변군에서 4.22점인 반면 변비군에서는 4.12점보다 더 높게 나타나 (p < 0.05) 변비군의 경우 식사의 다양성이 낮았다.
      8) 조사대상자의 주생활 요인 인자와 변비여부와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9) 변비상태와 건강관련 항목과의 관련성을 조사결과 변비가 있을수록 배변장애요인수 (p < 0.01),기능성대장질환 (p < 0.01) 과민성대장증후군 (p < 0.01) 및 월경불편감(p < 0.01)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여대생들의 변비 증세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식생활습관의 정정과 함께 규칙적인 하루 3끼 식습관유지가 중요하고 식품 선택 시 다양하게 골고루 규칙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류 착용 시 편안한 옷차림을 유지하고 속옷착용 시에도 편안하고 쾌적함을 유지를 통해 신체증후에 나타는 증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변비 개선에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가임기 성인여성 변비 예방을 위한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 및 개선 할 수 있는 실생활 교육지침과 기초자료 제공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부 여대생 978명 대상으로 로마진단기준에 의한 변비 실태를 조사하고 변비증상을 가진 자와 정상배변 습관을 가진자들의 생활습관 배변상태 월경불편감 의생활 주...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부 여대생 978명 대상으로 로마진단기준에 의한 변비 실태를 조사하고 변비증상을 가진 자와 정상배변 습관을 가진자들의 생활습관 배변상태 월경불편감 의생활 주거생활 식습관 및 식이섭취실태 등을 조사하여 변비와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를 영양교육 자료의 기초를 삼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인구비례에 근거한 전국 5개지역 소재 (서울/경기 경상 충청 전라 강원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978명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6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1.6세로 로마기준 II에 의한 변비실태 조사는 정상배변군과 변비군 각각 714명 (73.0%)과 264명 (27.0%)로 나타나 변비유병률은 27.0%로 나타났다.
      2) 변비군에서 체중 (p < 0.05)과 체질량지수 (p < 0.05)는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비만도가 높을수록 변비발생 (p < 0.01)과 배변장애요인수 (p < 0.01)가 높았다.
      3) 변비군의 경우 기능성대장질환 (p < 0.001)과 과민성대장질환 (p < 0.001) 치질 (p < 0.01)발생률과 대변모양이 비정상적 (p < 0.05)비율이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나 배변상태와 변비여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속쓰림증과 상복부 통증증상은 정상배변군에서 변비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p < 0.001).
      4) 배변상태에 이상이 있고 변비가 있을 때 월경불편감을 느끼는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5) 의류 (속옷류) 착용 시 인체에 나타나는 불편한 증상은 정상배변군보다 변비군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았고 의류착용시 편안함이 높을수록 변비 (p < 0.01) 배변장애요인수 (p < 0.01) 기능성대장질환 (p < 0.01) 과민성대장질환 (p < 0.01) 및 월경불편감 (p < 0.01)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6) 조사대상자의 평상시 식사의 규칙성 조사결과 변비군에서 아침식사가 불규칙적인 경우는 30.3% (p < 0.05) 점심식사와 저녁식사의 불규칙적인 경우는 각각 33.3% (p < 0.05)와 30.8% (p < 0.05)로 나타나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규칙적인 식사를 할수록 변비증세 (p < 0.01) 배변장애요인수 (p < 0.01) 기능성대장질환 (p < 0.01) 월경불편감 (p < 0.01) 음주률 (p < 0.01) 및 외식률 (p < 0.05)이 낮았다.
      7) 식품군다양성점수 (DDS)는 정상배변군에서 4.22점인 반면 변비군에서는 4.12점보다 더 높게 나타나 (p < 0.05) 변비군의 경우 식사의 다양성이 낮았다.
      8) 조사대상자의 주생활 요인 인자와 변비여부와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9) 변비상태와 건강관련 항목과의 관련성을 조사결과 변비가 있을수록 배변장애요인수 (p < 0.01),기능성대장질환 (p < 0.01) 과민성대장증후군 (p < 0.01) 및 월경불편감(p < 0.01)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여대생들의 변비 증세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식생활습관의 정정과 함께 규칙적인 하루 3끼 식습관유지가 중요하고 식품 선택 시 다양하게 골고루 규칙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류 착용 시 편안한 옷차림을 유지하고 속옷착용 시에도 편안하고 쾌적함을 유지를 통해 신체증후에 나타는 증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변비 개선에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가임기 성인여성 변비 예방을 위한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 및 개선 할 수 있는 실생활 교육지침과 기초자료 제공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us of constipation. In total 978 femal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among constipation and life style clothing patterns housing patterns dietary habits and dietary intake in a constipation symptom group and a normal group. The actual constipation rate based on the Rome II criteria was 27.0% (n = 264). Body weight (p < 0.05) and body mass index (p < 0.05) in the constip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incidence of functional bowel disease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in the constip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discomfort of wearing underwea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stipation group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 The constipation group reveal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irregular dietary habits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dietary diversity score of the normal group was 4.22 (p < 0.05)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stipation group (4.12).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tyle factors was observed.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female students to correct their dietary habits maintain food intake of three times per day and select diverse food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female students to wear comfortable clothing to lessen symptoms and improve constipation rate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us of constipation. In total 978 femal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among constipation and life style clothing patterns housing patterns dietary habits and dietary intake in a c...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us of constipation. In total 978 femal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among constipation and life style clothing patterns housing patterns dietary habits and dietary intake in a constipation symptom group and a normal group. The actual constipation rate based on the Rome II criteria was 27.0% (n = 264). Body weight (p < 0.05) and body mass index (p < 0.05) in the constip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incidence of functional bowel disease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in the constip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discomfort of wearing underwea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stipation group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 The constipation group reveal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irregular dietary habits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dietary diversity score of the normal group was 4.22 (p < 0.05)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stipation group (4.12).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tyle factors was observed.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female students to correct their dietary habits maintain food intake of three times per day and select diverse food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female students to wear comfortable clothing to lessen symptoms and improve constipation ra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Literature ci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종명, "청주지역 여대생의 속옷에 대한 태도와 개인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 11 (11): 1-8, 2002

      2 이채린, "자의적 변비 분류에 의한 정상군과 변비군 여대생의 식사관련 요인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23-36, 2011

      3 조혜경, "일부 여대생의 맛 선호도에 따른 식행동 및 영양소섭취상태" 대한영양사협회 16 (16): 100-115, 2010

      4 정휘수, "일개 사업장 여성들의 변비와 관련된 생활양식" 대한가정의학회 23 (23): 7-1132, 2002

      5 유정순, "인천지역 대학생의 변비유병률, 배변습관 및 영양소섭취" 한국영양학회 42 (42): 702-713, 2009

      6 홍경자, "여중생의 월경 불편감과 식습관 관련 특성" 아동간호학회 11 (11): 330-339, 2005

      7 신지영, "여자 중·고등학생의 화운데이션 교육과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32 (32): 517-529, 2008

      8 신정란, "여대생 변비와 관련된 식습관 및 생활습관 요인"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8 (8): 675-688, 2003

      9 고애란, "여고생의 신체발달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자기존중감, 의복태도 형성모델" 대한가정학회 42 (42): 189-204, 2004

      10 김미현, "삼척 지역 대학생의 거주상태에 따른 영양상태 및 식사의 질 평가" 대한영양사협회 13 (13): 311-330, 2007

      1 최종명, "청주지역 여대생의 속옷에 대한 태도와 개인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 11 (11): 1-8, 2002

      2 이채린, "자의적 변비 분류에 의한 정상군과 변비군 여대생의 식사관련 요인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23-36, 2011

      3 조혜경, "일부 여대생의 맛 선호도에 따른 식행동 및 영양소섭취상태" 대한영양사협회 16 (16): 100-115, 2010

      4 정휘수, "일개 사업장 여성들의 변비와 관련된 생활양식" 대한가정의학회 23 (23): 7-1132, 2002

      5 유정순, "인천지역 대학생의 변비유병률, 배변습관 및 영양소섭취" 한국영양학회 42 (42): 702-713, 2009

      6 홍경자, "여중생의 월경 불편감과 식습관 관련 특성" 아동간호학회 11 (11): 330-339, 2005

      7 신지영, "여자 중·고등학생의 화운데이션 교육과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32 (32): 517-529, 2008

      8 신정란, "여대생 변비와 관련된 식습관 및 생활습관 요인"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8 (8): 675-688, 2003

      9 고애란, "여고생의 신체발달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자기존중감, 의복태도 형성모델" 대한가정학회 42 (42): 189-204, 2004

      10 김미현, "삼척 지역 대학생의 거주상태에 따른 영양상태 및 식사의 질 평가" 대한영양사협회 13 (13): 311-330, 2007

      11 강준구, "비만 환자에서의 비만도와 혈중 Obestatin과의 관련성" 대한비만학회 18 (18): 8-14, 2009

      12 고명수, "부산지역 일부 대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259-271, 2007

      13 명승재, "변비의 진단: 체계적인 문헌고찰" 대소화기학회 55 (55): 316-324, 2010

      14 성인경, "변비의 분류와 치료" 대한소화기학회 51 (51): 4-10, 2008

      15 정혜정, "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 경기지역 대학생의 식습관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7 (7): 5-663, 2002

      16 이미숙, "대전지역 일부 대학생의 영양소 섭취 상태, 식사의 질과 식습관에 있어서 남녀의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1 (11): 39-51, 2006

      17 김현진, "다시마 요구르트의 변비해소 효과와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59-67, 2008

      18 나영주, "난방환경에서 온(溫)맵시 착용에 따른 생리적 반응 및 주관적 감각" 한국의류학회 35 (35): 1-12, 2011

      19 이경아, "김해지역 고등학생의 변비실태 및 변비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요인 조사" 대한영양사협회 15 (15): 419-432, 2009

      20 유정순, "기능성 변비를 가진 여대생의 식습관, 생활 스트레스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한국영양학회 43 (43): 620-627, 2010

      21 박정호, "과민성 장증후군의 진단: 체계적인 문헌고찰" 대한소화기학회 55 (55): 308-315, 2010

      22 이종현, "경기지역 여고생과 여대생의 배변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요인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0 (10): 36-45, 2005

      23 Jeong BS, "Treatment-seeking behaviors among Korean university women with premenstrual symptoms" 12 (12): 201-210, 2001

      24 Kim YW, "The survey on the actual status of wearing col-legiate woman’s underwear" 5 : 113-119, 1999

      25 Drossman DA,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he Rome III process" 130 (130): 1377-1390, 2006

      26 Byeon YS, "The dietary habits and elimination of university woman" 14 (14): 18-25, 2002

      27 Moos RH, "Psychological aspects of oral contraceptives" 19 (19): 87-94, 1968

      28 Byun ES, "Premenstrual syndrome and gender role characteristics in high school girls" The Chatholic University of Korea 1999

      29 Teitelbaum JE, "Obesity is related to multiple functional abdominal diseases" 154 (154): 444-446, 2009

      30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Look at the health aspect seems to excrement" 28 (28): 6-9, 2004

      31 Irvine EJ,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GI disorders: focus on constipation and resource utilization" 97 (97): 1986-1993, 2002

      32 Thompson WG, "Functional bowel disorders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45 (45): 43-47, 1999

      33 J Nutr Sci Vitaminol (Tokyo), "Freshmen in Dietetic Courses Study II Group. Dietary patterns associated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among Japanese women aged 18 to 20 years: a cross-sectional study" 53 (53): 232-238, 2007

      34 Kant AK, "Food group intake patterns and associated nutrient profiles of the US population" 91 (91): 1532-1537, 1991

      35 Shin AS,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15 (15): 287-293, 2000

      36 Choi MG, "Evidence based guidelin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diagnostic guideline for constipation" 11 (11): 44-50, 2005

      37 Ly SY, "Effect of drinking fermented milk on the improvement of defecation on constipated female students" 12 (12): 265-273, 2003

      38 Lim H, "Differences in dietary intake and life-styl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with and without premenstrual syn-drome" 16 (16): 153-161, 2010

      39 Pecora P, "Constipation and obesity: a statistical analysis" 57 (57): 2384-2388, 1981

      40 Bae NR, "Changes of indoor temperature and clothing in residential buildings: a literature review" 27 (27): 785-789, 2007

      41 Lee SJ, "An association between osteoporosis and premenstrual symptoms and postmenopausal symptoms" 24 (24): 127-134, 1994

      42 Kwark KS, "A study on the relation to life style and hous-ing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6 (6): 13-25, 2003

      43 Cho ME,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apartment hous-ing according to x-generations life style type" 11 (11): 79-87, 2000

      44 Choi EY, "A study on the ornaments wear of adolescents- focusing on the life style and clothing behavior" 9 (9): 137-152, 2000

      45 Lee JS,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loosing the constipation by supplementation of Aloe juice and Yogurt in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Yonsei University 2001

      46 Diegoli MS, "A double-blind trial of four medications to treat severe premenstrual syndrome" 62 (62): 63-67,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7-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영양학회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1 1.778 0.12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