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업은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서 필요하며, 생물 다양성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경작 방법으로 전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농업 분야 중 하나이다. 유기농업은 인류의 건강과 환경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77894
2020
-
523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202-209(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유기농업은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서 필요하며, 생물 다양성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경작 방법으로 전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농업 분야 중 하나이다. 유기농업은 인류의 건강과 환경에 ...
유기농업은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서 필요하며, 생물 다양성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경작 방법으로 전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농업 분야 중 하나이다. 유기농업은 인류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끼질 수 있는 화학적 제재의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적 동·식물성 비료, 식물 추출물, 미생물 제재 등이사용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노지 고추를 대상으로 3년간 유기농업 환경과 관행농업 환경에서 주요 병해 발생과 토양 미생물상의 조사하였다. 토양 미생물상의 차이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유기농업에 사용되는 제제의 종류에 따라 토양 미생물상이 다르게 형성되었다. 바이러스, 탄저병에 대해서는 관행농업에서의 병 발생률이 낮았으나, 청고병은 미생물 제재 사용에 의해 병 발생률이 낮게 나타났다. 미생물 제재를 사용한 토양에서 투입된 미생물이 토양 미생물에서 검출되었으며, 이는 미생물이 실제 토양에 정착했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rganic farming is necessary to sustainable agriculture, preserve biodiversity and continued growth the sector in agriculture. In organic farming, reduced usage of chemical agents that adversely affect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employing amino aci...
Organic farming is necessary to sustainable agriculture, preserve biodiversity and continued growth the sector in agriculture. In organic farming, reduced usage of chemical agents that adversely affect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employing amino acids and oil cake fertilizer, plant extracts, and microbial agents are used to provide safe agricultural products to consumers. To investigation microbiome structure, we proceeded on the pepper plant with difference fertilizers and treatments in organic agriculture for three years. The microbial communities were analyzed by the next generation sequencing approach. Difference soil microbiota communities were discovered base on organic fertilizer agents. Occurrences of virus and anthracnose diseases had a low incidence in conventional farming, whereas bacteria wilt disease had a low incidence in microbial agents treated plots. Microbe agents, which applied in soil, were detected in the microbial community and the funding suggested the applied microbes successfully colonized in the organic farming environ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선, "유산균과 효모균 배양액 함유 액비 시용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 24 (24): 138-144, 2010
2 김영선, "유산균(Lactobacillus confusa)과 효모균(Pichia anomala) 배양액 함유 액비의 시용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 22 (22): 185-196, 2008
3 최두회, "유기농 고추 추비용 유기자원 선발 및 시용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 41 (41): 153-157, 2008
4 이영한, "경남지역 밭 토양 화학성분이 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4 (44): 242-247, 2011
5 Herlemann, D. P., "Transitions in bacterial communities along the 2000 km salinity gradient of the Baltic Sea" 5 : 1571-1579, 2011
6 Lupatini, M., "Soil microbiome is more heterogeneous in organic than in conventional farming system" 7 : 2064-, 2017
7 Toyota, K., "Recent trends in microbial inoculants in agriculture" 28 : 403-404, 2013
8 van Bruggen, A. H. C., "Plant diseases and management approaches in organic farming systems" 54 : 25-54, 2016
9 Singh, B. K., "Microbiome and the future for food and nutrient security" 10 : 50-53, 2017
10 Weller, D. M., "Microbial populations responsible for specific soil suppressiveness to plant pathogens" 40 : 309-348, 2002
1 김영선, "유산균과 효모균 배양액 함유 액비 시용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 24 (24): 138-144, 2010
2 김영선, "유산균(Lactobacillus confusa)과 효모균(Pichia anomala) 배양액 함유 액비의 시용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 22 (22): 185-196, 2008
3 최두회, "유기농 고추 추비용 유기자원 선발 및 시용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 41 (41): 153-157, 2008
4 이영한, "경남지역 밭 토양 화학성분이 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4 (44): 242-247, 2011
5 Herlemann, D. P., "Transitions in bacterial communities along the 2000 km salinity gradient of the Baltic Sea" 5 : 1571-1579, 2011
6 Lupatini, M., "Soil microbiome is more heterogeneous in organic than in conventional farming system" 7 : 2064-, 2017
7 Toyota, K., "Recent trends in microbial inoculants in agriculture" 28 : 403-404, 2013
8 van Bruggen, A. H. C., "Plant diseases and management approaches in organic farming systems" 54 : 25-54, 2016
9 Singh, B. K., "Microbiome and the future for food and nutrient security" 10 : 50-53, 2017
10 Weller, D. M., "Microbial populations responsible for specific soil suppressiveness to plant pathogens" 40 : 309-348, 2002
11 Park, K. S., "Identification, distribution and et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thracnose fungi of red pepper in Korea" 8 : 61-69, 1992
12 Khan, S., "Entomopathogenic fungi as microbial biocontrol agent" 3 : 63-79, 2012
13 Gomiero, T., "Energy and environmental issu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agriculture" 27 : 239-254, 2008
14 Lebeau, A., "Bacterial wilt resistance in tomato, pepper, and eggplant : genetic resources respond to diverse strains in the Ralstonia solanacearum species complex" 101 : 154-165, 2011
15 최홍수, "2009년 우리나라 주요 작물 바이러스병 발생 상황" 한국식물병리학회 16 (16): 1-9, 2010
고랭지 여름 무에서 시들음병 발생 현황과 병원균의 병원학적 특성 연구
맥류 종자의 페룰산(ferulic acid) 함량과 붉은곰팡이 저항성
벼 흰잎마름병의 신속하고 간편한 진단을 위한 Recombinase Polymerase Amplification 등온증폭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 | 0.38 | 0.68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