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고랭지 여름 무에서 시들음병 발생 현황과 병원균의 병원학적 특성 연구 = Status of Fusarium Wilt Incidence on Summer Radish and Et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usal Fungu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778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cidence of Fusarium wilt was surveyed in fields of summer radish in Gangwon province in Korea in 2018 and 2019. The disease started in early July and spread rapidly in hot summer of late July and August and in severe case, reached up to 80% in a field in Gangneung area. Symptoms in the seedling stage include poor growth and browning of internal tissue of root. During mid-growth, the leaves of diseased plant turned yellow over time, the surface of the roots changed from white to blackish, and the vascular tissues turned brown. A total of 23 isolates was obtained from the diseased plants and identified as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 by elongation factor-1a and intergenic spacer sequence analysis. Pathogenicity of the isolates was tested by artificial inoculation to the radish and other plants. All the isolates tested were pathogenic to radish plant,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virulence on radish 11 cultivars. However, the isolates were not virulent to other plants except some cruciferous vegetables including Brussels sprouts, rocket, stock, and turnip. The results of pathogenicity test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rotate with crops other than cruciferous vegetables in order to prevent Fusarium wilt from radish fields.
      번역하기

      Incidence of Fusarium wilt was surveyed in fields of summer radish in Gangwon province in Korea in 2018 and 2019. The disease started in early July and spread rapidly in hot summer of late July and August and in severe case, reached up to 80% in a fie...

      Incidence of Fusarium wilt was surveyed in fields of summer radish in Gangwon province in Korea in 2018 and 2019. The disease started in early July and spread rapidly in hot summer of late July and August and in severe case, reached up to 80% in a field in Gangneung area. Symptoms in the seedling stage include poor growth and browning of internal tissue of root. During mid-growth, the leaves of diseased plant turned yellow over time, the surface of the roots changed from white to blackish, and the vascular tissues turned brown. A total of 23 isolates was obtained from the diseased plants and identified as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 by elongation factor-1a and intergenic spacer sequence analysis. Pathogenicity of the isolates was tested by artificial inoculation to the radish and other plants. All the isolates tested were pathogenic to radish plant,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virulence on radish 11 cultivars. However, the isolates were not virulent to other plants except some cruciferous vegetables including Brussels sprouts, rocket, stock, and turnip. The results of pathogenicity test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rotate with crops other than cruciferous vegetables in order to prevent Fusarium wilt from radish fiel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8년과 2019년에 강원도 여름 재배 무 포장에서 시들음병 발생이 조사되었다. 시들음병은 7월 상순 발생했고, 7월 하순과 8월 뜨거운 여름에 급속히 확산되었으며, 심한 경우, 일부 포장에서는 80%까지 발생하였다. 유묘기에 병든 무는 생육이 불량하고 뿌리 내부조직이 갈변되었다. 생육중기 동안시간이 지나면서 병든 잎은 황화되고 뿌리표면은 흰색에서흑색으로 변색되고, 도관조직은 갈변하였다. 병든 식물체로부터 23개 Fusarium균이 분리되었고, EF-1α와 IGS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로 동정되었다. 무와 다른 작물에 대한 인공접종에 의해 병원성이 검정되었다. 11개 품종 간에 차이는 있었으나 모든 균주들은 무에서 병원성이었다. 그러나 로켓, 방울양배추, 스토크, 순무를 포함하는 배추과 작물을 제외하고는 병원성이 없었다. 병원성 검정결과는 무 포장에서 시들음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배추과채소 이외의 작물로 돌려짓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번역하기

      2018년과 2019년에 강원도 여름 재배 무 포장에서 시들음병 발생이 조사되었다. 시들음병은 7월 상순 발생했고, 7월 하순과 8월 뜨거운 여름에 급속히 확산되었으며, 심한 경우, 일부 포장에서...

      2018년과 2019년에 강원도 여름 재배 무 포장에서 시들음병 발생이 조사되었다. 시들음병은 7월 상순 발생했고, 7월 하순과 8월 뜨거운 여름에 급속히 확산되었으며, 심한 경우, 일부 포장에서는 80%까지 발생하였다. 유묘기에 병든 무는 생육이 불량하고 뿌리 내부조직이 갈변되었다. 생육중기 동안시간이 지나면서 병든 잎은 황화되고 뿌리표면은 흰색에서흑색으로 변색되고, 도관조직은 갈변하였다. 병든 식물체로부터 23개 Fusarium균이 분리되었고, EF-1α와 IGS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로 동정되었다. 무와 다른 작물에 대한 인공접종에 의해 병원성이 검정되었다. 11개 품종 간에 차이는 있었으나 모든 균주들은 무에서 병원성이었다. 그러나 로켓, 방울양배추, 스토크, 순무를 포함하는 배추과 작물을 제외하고는 병원성이 없었다. 병원성 검정결과는 무 포장에서 시들음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배추과채소 이외의 작물로 돌려짓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송이, "발병조건에 따른 무 품종들의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차이" 한국원예학회 29 (29): 48-52, 2011

      2 이지현, "무 시들음병에 대한 간편한 대량 저항성 검정법 개발" 한국식물병리학회 22 (22): 152-157, 2016

      3 Leslie, J. F., "The Fusarium Laboratory Manual" Blackwell Publishing 388-, 2006

      4 Mbofung, G. Y., "Phylogeny of Fusarium oxysporum f. sp. lactuc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small unit, elongation factor-1α and nuclear ribosomal intergenic spacer sequence data" 97 : 87-98, 2007

      5 Moon, Y. G., "Occurrence of Fusarium wilt on cruciferous vegetable crops and pathogenic differentiation of the causal fungus" 7 : 93-101, 2001

      6 O’Donnell, K., "Multiple evolutionary origins of the fungus causing Panama disease of banana: concordant evidence from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 genealogies" 95 : 2044-2049, 1998

      7 Srinivasan, K., "Molecular characterization through IGS sequencing of formae speciales of Fusarium oxysporum pathogenic on lamb’s lettuce" 49 : 309-320, 2010

      8 Kumar, S., "MEGA X: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across computing platforms" 35 : 1547-1549, 2018

      9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853-, 2009

      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ndbook to Agricultural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7

      1 백송이, "발병조건에 따른 무 품종들의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차이" 한국원예학회 29 (29): 48-52, 2011

      2 이지현, "무 시들음병에 대한 간편한 대량 저항성 검정법 개발" 한국식물병리학회 22 (22): 152-157, 2016

      3 Leslie, J. F., "The Fusarium Laboratory Manual" Blackwell Publishing 388-, 2006

      4 Mbofung, G. Y., "Phylogeny of Fusarium oxysporum f. sp. lactuc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small unit, elongation factor-1α and nuclear ribosomal intergenic spacer sequence data" 97 : 87-98, 2007

      5 Moon, Y. G., "Occurrence of Fusarium wilt on cruciferous vegetable crops and pathogenic differentiation of the causal fungus" 7 : 93-101, 2001

      6 O’Donnell, K., "Multiple evolutionary origins of the fungus causing Panama disease of banana: concordant evidence from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 genealogies" 95 : 2044-2049, 1998

      7 Srinivasan, K., "Molecular characterization through IGS sequencing of formae speciales of Fusarium oxysporum pathogenic on lamb’s lettuce" 49 : 309-320, 2010

      8 Kumar, S., "MEGA X: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across computing platforms" 35 : 1547-1549, 2018

      9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853-, 2009

      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ndbook to Agricultural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7

      11 Nelson, P. E., "Fusarium Species : An Illustrated Manual for Identific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3-, 1983

      12 Yan, W., "First report of Verticillium wilt on cultivated radish caused by Verticillium dahliae Kleb. in China" 101 : 777-, 2019

      13 Kim, J. -S., "First report of Verticillium dahliae causing Verticillium wilt on potato in Korea" 103 : 2470-, 2019

      14 Garibaldi, A., "Evidence for an expanded host range of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 34 : 115-121, 2006

      15 Enya, J., "Biolog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Fusarium oxysporum complex, which causes yellows on Brassica spp., and proposal of F. oxysporum f. sp. rapae, a novel forma specialis pathogenic on B. rapa in Japan" 98 : 475-483, 2008

      16 Bosland, P. W., "An evaluation of Fusarium oxysporum from crucifers based on pathogenicity, isozyme polymorphism, vegetative compatibility, and geographic origin" 65 : 2067-2073, 1987

      17 지명환, "A Quick and Safe Method for Fungal DNA Extraction" 한국식물병리학회 25 (25): 108-11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8 0.6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