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들어가며
- 2. 중?근세 한일관계 관련 서술 분석
- 3. 마치며
- 參考文獻
- 要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영준, "현행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고‧중세시기 문화교류 내용 서술과 분석"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8) : 125-160, 2010
2 이익주, "한국의 고려․일본관계사 연구동향, In 역사교과서 속의 한국과 일본" 혜안 2000
3 한명기, "한국 중세 일본의 조선침략 서술 분석" 2011
4 현명철, "한국 역사교과서의 근세 한일 관계사 서술, In 역사교과서속의 한국과 일본" 혜안 2000
5 김영규, "한국 고교생의 중세한일관계사 이해, In 역사교과서 속의 한국과 일본" 혜안 2000
6 손승철, "한 일 역사교과서 중 근세 분야 쟁점사항의 비교 분석" 동북아역사재단 (17) : 67-105, 2007
7 조광, "통신사에 관한 한국학계의 연구성과와 쟁점사항, In 통신사․왜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8 남기학, "중세 고려, 일본 관계의 쟁점-몽골의 일본 침략과 왜구-" 17 : 2003
9 한명기, "조선후기 왜관의 역사적 의미, In 한일역사의 쟁점 2010 1" 경인문화사 2010
10 한문종, "조선전기 日本國王使의 朝鮮通交" 한일관계사학회 (21) : 5-36, 2004
1 전영준, "현행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고‧중세시기 문화교류 내용 서술과 분석"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8) : 125-160, 2010
2 이익주, "한국의 고려․일본관계사 연구동향, In 역사교과서 속의 한국과 일본" 혜안 2000
3 한명기, "한국 중세 일본의 조선침략 서술 분석" 2011
4 현명철, "한국 역사교과서의 근세 한일 관계사 서술, In 역사교과서속의 한국과 일본" 혜안 2000
5 김영규, "한국 고교생의 중세한일관계사 이해, In 역사교과서 속의 한국과 일본" 혜안 2000
6 손승철, "한 일 역사교과서 중 근세 분야 쟁점사항의 비교 분석" 동북아역사재단 (17) : 67-105, 2007
7 조광, "통신사에 관한 한국학계의 연구성과와 쟁점사항, In 통신사․왜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8 남기학, "중세 고려, 일본 관계의 쟁점-몽골의 일본 침략과 왜구-" 17 : 2003
9 한명기, "조선후기 왜관의 역사적 의미, In 한일역사의 쟁점 2010 1" 경인문화사 2010
10 한문종, "조선전기 日本國王使의 朝鮮通交" 한일관계사학회 (21) : 5-36, 2004
11 손승철, "조선시대 通信使硏究의 회고와 전망" 한일관계사학회 (16) : 41-59, 2002
12 김문자, "전쟁과 평화의 근세 한일관계-임진왜란과 통신사-" 18 : 2003
13 김문자, "임진왜란에 대한 일본의 시각변천" (46) : 1999
14 이찬희, "임진왜란, ‘출병’인가 ‘침략전쟁’인가, In 東아시아의 역사분쟁-한․중․일 역사교과서의 비교분석" 동재 2006
15 박재광, "임진왜란 연구의 현황과 과제, In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16 손승철, "일본의 중․근세 한일관계사 왜곡 실상" 2 : 2004
17 손승철, "일본역사교과서의 고려․조선시대 기술의 왜곡실태 분석" 19 : 2003
18 손승철, "일본역사교과서 고려․조선시대 기술의 왜곡실태 분석-2005년 후소샤판 검정통과본을 중심으로" 12 (12): 2005
19 박수철,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중근세사 서술과 역사인식―후소샤(扶桑社)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29) : 211-241, 2005
20 윤유숙,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중·근세 한일관계 분석 -2011년도 검정합격본을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47) : 241-274, 2011
21 허동현,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후소샤 版) 문제의 배경과 특징―역사기억의 왜곡과 성찰―" 한국사연구회 (129) : 147-171, 2005
22 이찬희, "왜구의 주체, ‘일본인’인가 ‘조선인과 중국인’인가, In 東아시아의 역사분쟁-한․중․일 역사교과서의 비교분석" 동재 2006
23 송호정, "무엇이 왜곡되었는가-전근대사 서술의 특징, In 일본교과서 역사왜곡" 역사비평사 2001
24 김광열, "근현대 일본의 한국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008
25 윤용혁, "국사교과서의 중․근세 한일관계사 서술" 3 : 1999
26 박현주,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한․일관계" 190 : 1984
27 三宅英利, "近世日朝關係史の硏究" 文獻出版 1986
28 北島万次, "豊臣秀吉の朝鮮侵略" 吉川弘文館 1995
29 北島万次, "豊臣政權の對外認識と朝鮮侵略" 校倉書房 1990
30 李元植, "朝鮮通信使の硏究" 思文閣出版 1997
31 仲尾宏, "朝鮮通信使と德川幕府" 明石書店 1997
32 장순순, "朝鮮時代通信使硏究의 現況과 課題-한국측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통신사․왜관과 한일관계』" 6 : 2005
33 하우봉, "朝鮮後期韓日關係에 대한 再檢討"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7 (27): 1997
34 田中健夫, "文祿․慶長の役と対馬, In 中世對外關係史" 東京大學出版會 1975
35 荒野泰典, "大君外交體制の成立, In 近世日本と東アジア" 東京大學出版會 1988
36 田中健夫, "倭寇と東アジア通商圈, In 日本の社會史" 岩波書店 1987
37 高橋公明, "中世東アジア海域における海民と交流-濟州島を中心として-" 33 : 1987
38 손승철, "『일본인의 역사교과서』(自由社)의 근세 한국사 관련서술과 日本近世史像" 한일관계사학회 (33) : 115-149, 2009
39 윤유숙, "2009년 새역모 지유샤(自由社) 교과서 중ㆍ․근세 관련 서술의 검토 -조선 관련 서술을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43) : 281-307, 200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2 | 0.22 | 0.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9 | 0.2 | 0.421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