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폭력치료와 좋은 연극치료상담교사의 핵심역할역량모형 = A Core Role Competencies Model(CRCM) of GoodDramaTherapeuticTeacher(GDTT) in Making Good Schools through Korean Elementary-Secondary School Violence Preven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901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연극치료상담사 역시, 학교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통한 학교개선활동에 동참한다는 점에서, 정규교사의 한 사람으로서 간주되었을때, 그 연극치료 상담사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할역량모형은 어떤 것이 되어야 할 것인가를, 선행연구된 좋은 교사의 역할역량에 견주어 시론적으로 제안하는데 두고 있다. 여기서 모형이란 프로젝트 선정 및 선정프로젝트에 부합되는 교육공학적 계획설정 역량으로서 설계의 세부사항들이 지시하는 행동방향과 최종구조물의 종류 등을 결정해주는 청사진을 말한다. 연극예술적 장점들을 학교폭력치료수단으로 활용하는 연극치료상담교사의 핵심역할역량인 상담(교수)역량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좋은 학교교사의 교수역량과 마찬가지로, 우선 치료상담 목표의 선택역량, 그리고 내용영역과 함께 세부학습목표도 두루 충족시켜주는 보편적 접근법인 전략선택역량, 그리고 다수의 특징들로 구성되는 세부접근법으로서 치료모형선택역량, 마지막으로 다수의 모형들과 전략들을, 내담자(학생)에게 관련시키는 방식과는 별도로 인간으로서 치료상담교사가 치료현장에 불러일으키는 핵심주제선정역량(Eggen & Kauchak, 2006, pp.16~17) 등이 된다. 이런 방식을 확장하면, 학교폭력치료를 통한 좋은 학교만들기에 동참하는 연극치료상담사가 차별적 내담자(학생)들을 위해 가져야 할 핵심역량(군)은, 우선 차별적 목표들에 효과적 접근방법론을 찾는 역량, 그리고 목표도달을 위한 프로젝트로서 핵심역할역량활용 청사진인 모형선택역량 등이 된다. 결국 차이에 생명감과 연대감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자끄 데리다의 해체론 또는 아르또의 잔혹연극론과 상통하는 이유와 절차를 고려하여, 이글에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연구문제1. 연극치료상담교사가 한국의 초중등학교 교육문제들, 특히 폭력학생의 미래삶(생명)을 치유한다는 점에서 국가존망과도 직결된 < 좋은학교 만들기 >, 더 나아가면 21세기 더 좋은 평생학습사회(Better Life-Long Learning Society)운동과 어떤 관계가 되어야 하는가? 연구문제2. 평생교육이 만인의 필수교양으로 전제되는 21세기 평생 또는 초중고 수업공동체 및 주변 학습공동체에서 연극치료상담교사들이 맡는 좋은학교 좋은수업공동체모형은 어떤 것이 될 수 있을까? 연구문제3. < 좋은학교 좋은치료상담교사 >의 핵심역할과 핵심역할역량(군)은 어떤 것이며, 그들 간의 가설적 종합모형은 어떤 것이 될 수 있을까? < 21세기 한국초중고의 좋은 학교 만들기 운동 >에 동참한 < 교육(학습)치료교사로서의 연극치료상담사 >가 갖춰야 할 핵심역할역량과 핵심역할역량(CoreRoleCompetencies, CRC), 그리고 이 특징적 핵심역할역량간에 구성되는 가설적 핵심역할역량모형(CoreRoleCompetenciesModel, CRCM)은 어떤 것이 될 수 있는가? 연구문제4. 이 핵심역할역량모형(CoreRoleCompetenciesModel, CRCM)은 학교폭력의 유형학적 특성에 부합되는 연극치료상담모형은 구체적으로 예시가능한가? * 이 4개 연구문제들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본문 < Ⅳ.연구문제(1)(2)(3)(4)와 연구결과 >와 함께, 그림 < 3 >< 4 >< 5 >과 표 < 1 >에 제시되어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의 목적은 연극치료상담사 역시, 학교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통한 학교개선활동에 동참한다는 점에서, 정규교사의 한 사람으로서 간주되었을때, 그 연극치료 상담사들이 갖추어야 할 ...

      이 글의 목적은 연극치료상담사 역시, 학교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통한 학교개선활동에 동참한다는 점에서, 정규교사의 한 사람으로서 간주되었을때, 그 연극치료 상담사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할역량모형은 어떤 것이 되어야 할 것인가를, 선행연구된 좋은 교사의 역할역량에 견주어 시론적으로 제안하는데 두고 있다. 여기서 모형이란 프로젝트 선정 및 선정프로젝트에 부합되는 교육공학적 계획설정 역량으로서 설계의 세부사항들이 지시하는 행동방향과 최종구조물의 종류 등을 결정해주는 청사진을 말한다. 연극예술적 장점들을 학교폭력치료수단으로 활용하는 연극치료상담교사의 핵심역할역량인 상담(교수)역량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좋은 학교교사의 교수역량과 마찬가지로, 우선 치료상담 목표의 선택역량, 그리고 내용영역과 함께 세부학습목표도 두루 충족시켜주는 보편적 접근법인 전략선택역량, 그리고 다수의 특징들로 구성되는 세부접근법으로서 치료모형선택역량, 마지막으로 다수의 모형들과 전략들을, 내담자(학생)에게 관련시키는 방식과는 별도로 인간으로서 치료상담교사가 치료현장에 불러일으키는 핵심주제선정역량(Eggen & Kauchak, 2006, pp.16~17) 등이 된다. 이런 방식을 확장하면, 학교폭력치료를 통한 좋은 학교만들기에 동참하는 연극치료상담사가 차별적 내담자(학생)들을 위해 가져야 할 핵심역량(군)은, 우선 차별적 목표들에 효과적 접근방법론을 찾는 역량, 그리고 목표도달을 위한 프로젝트로서 핵심역할역량활용 청사진인 모형선택역량 등이 된다. 결국 차이에 생명감과 연대감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자끄 데리다의 해체론 또는 아르또의 잔혹연극론과 상통하는 이유와 절차를 고려하여, 이글에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연구문제1. 연극치료상담교사가 한국의 초중등학교 교육문제들, 특히 폭력학생의 미래삶(생명)을 치유한다는 점에서 국가존망과도 직결된 < 좋은학교 만들기 >, 더 나아가면 21세기 더 좋은 평생학습사회(Better Life-Long Learning Society)운동과 어떤 관계가 되어야 하는가? 연구문제2. 평생교육이 만인의 필수교양으로 전제되는 21세기 평생 또는 초중고 수업공동체 및 주변 학습공동체에서 연극치료상담교사들이 맡는 좋은학교 좋은수업공동체모형은 어떤 것이 될 수 있을까? 연구문제3. < 좋은학교 좋은치료상담교사 >의 핵심역할과 핵심역할역량(군)은 어떤 것이며, 그들 간의 가설적 종합모형은 어떤 것이 될 수 있을까? < 21세기 한국초중고의 좋은 학교 만들기 운동 >에 동참한 < 교육(학습)치료교사로서의 연극치료상담사 >가 갖춰야 할 핵심역할역량과 핵심역할역량(CoreRoleCompetencies, CRC), 그리고 이 특징적 핵심역할역량간에 구성되는 가설적 핵심역할역량모형(CoreRoleCompetenciesModel, CRCM)은 어떤 것이 될 수 있는가? 연구문제4. 이 핵심역할역량모형(CoreRoleCompetenciesModel, CRCM)은 학교폭력의 유형학적 특성에 부합되는 연극치료상담모형은 구체적으로 예시가능한가? * 이 4개 연구문제들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본문 < Ⅳ.연구문제(1)(2)(3)(4)와 연구결과 >와 함께, 그림 < 3 >< 4 >< 5 >과 표 < 1 >에 제시되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search the CoreRoleCompetencies(CRC) affecting the high-performances of GoodDramaTherapeuticTeachers(GDTT) engaging in MakingGoodSchools through Korean First-Secondary SchoolViolencePrevention in the society of life-long learning as a core competency of all the people in 21st century, and propose an hypothetical CoreRolesCompetenciesModel(CRCM) of GoodDramaTherapeuticTeachers(GDTT). Finally, as a way of adapting the CRCM of GDTT, connecting nine types of learning styles for each nine types of multi-intelligencies of Howard Gardner, we will make and provide a usefu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 patterns of many sorts of violences in the everyday lives of individuals, families and communities, including SchoolViolences taking place in and around the korean first-secondary schools. which will help to capture the nature of violent acts, the relevance of the social 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and possible motivations for the violence especially in the case of collective violence in various schools. Th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 patterns of violence through a typology will overcome many of the limitations in therapcouncelling schoolviolences in Korean first-secondary schools. Consequently this dissertation don’t tell about the Competencies, CoreCompetencies, CoreRoles, CoreRoleCompetencies etc. of the general Drama Therapists. In this dissertation, as research methods, a CoreCompetenciesModel already researched in my another edu. doctorat thesis is utilised. A CoreCompetenciesModel was analyzed and tested through Path Analysis of the Corefactors affecting good schoolteachers`` role competencies in korean first-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s after reviewing related literatures on the good teachers’ competencies in the various learning communities, by the 7 Focus Group``s Discussion-centered Modified Delphi Technique. Here, the first theoretical reason of re-using a educatioal CoreCompetenciesModel in a therapeutic councelling is grounded on a reciprocal relation between the educator(teacher, professor) as a craftsmann(artist) and the artist as a educator(teacher, professor). the second reason is the fact that a student and a councelling therapist are all the same but different human beings. the third reason is the fact that the human beings responds differently. So teachers and students are different. And artistic therapists and his visiters are also different, so all are all differnt from one another. And all respond all differently. That subjet is related with < destruction > of Jacques Derrida & < the body without organs > of Antonin Artaud. So, the research subjects for achieving the purposes of this dissertation are four projects and the major outcomes of this study(see especially figure< 3 >,< 4 >,< 5 > and < table 1 > of them), are also proposed in < Ⅳ. the major outcomes of the four research projects(1)(2)(3)(4) >.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search the CoreRoleCompetencies(CRC) affecting the high-performances of GoodDramaTherapeuticTeachers(GDTT) engaging in MakingGoodSchools through Korean First-Secondary SchoolViolencePrevention in the society of...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search the CoreRoleCompetencies(CRC) affecting the high-performances of GoodDramaTherapeuticTeachers(GDTT) engaging in MakingGoodSchools through Korean First-Secondary SchoolViolencePrevention in the society of life-long learning as a core competency of all the people in 21st century, and propose an hypothetical CoreRolesCompetenciesModel(CRCM) of GoodDramaTherapeuticTeachers(GDTT). Finally, as a way of adapting the CRCM of GDTT, connecting nine types of learning styles for each nine types of multi-intelligencies of Howard Gardner, we will make and provide a usefu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 patterns of many sorts of violences in the everyday lives of individuals, families and communities, including SchoolViolences taking place in and around the korean first-secondary schools. which will help to capture the nature of violent acts, the relevance of the social 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and possible motivations for the violence especially in the case of collective violence in various schools. Th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 patterns of violence through a typology will overcome many of the limitations in therapcouncelling schoolviolences in Korean first-secondary schools. Consequently this dissertation don’t tell about the Competencies, CoreCompetencies, CoreRoles, CoreRoleCompetencies etc. of the general Drama Therapists. In this dissertation, as research methods, a CoreCompetenciesModel already researched in my another edu. doctorat thesis is utilised. A CoreCompetenciesModel was analyzed and tested through Path Analysis of the Corefactors affecting good schoolteachers`` role competencies in korean first-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s after reviewing related literatures on the good teachers’ competencies in the various learning communities, by the 7 Focus Group``s Discussion-centered Modified Delphi Technique. Here, the first theoretical reason of re-using a educatioal CoreCompetenciesModel in a therapeutic councelling is grounded on a reciprocal relation between the educator(teacher, professor) as a craftsmann(artist) and the artist as a educator(teacher, professor). the second reason is the fact that a student and a councelling therapist are all the same but different human beings. the third reason is the fact that the human beings responds differently. So teachers and students are different. And artistic therapists and his visiters are also different, so all are all differnt from one another. And all respond all differently. That subjet is related with < destruction > of Jacques Derrida & < the body without organs > of Antonin Artaud. So, the research subjects for achieving the purposes of this dissertation are four projects and the major outcomes of this study(see especially figure< 3 >,< 4 >,< 5 > and < table 1 > of them), are also proposed in < Ⅳ. the major outcomes of the four research projects(1)(2)(3)(4) >.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