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 챗봇 활용 한국어 초급 말하기 과제 개발 및 적용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이은진 본 연구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가 혼자서도 말하기 연습을 할 수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99241
용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5
학위논문(박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 2025. 2
2025
한국어
811 판사항(20)
경기도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peaking Tasks for Beginner Korean Learners Using Generative AI Chatbots
x, 207 p. : 삽화, 도표 ; 26 cm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영주
참고문헌: p. 178-193
I804:11006-20000082807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 활용 한국어 초급 말하기 과제 개발 및 적용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이은진 본 연구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가 혼자서도 말하기 연습을 할 수 있...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 활용 한국어 초급 말하기 과제 개발 및 적용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이은진 본 연구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가 혼자서도 말하기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과제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특히 한국어로 대화 연습을 할 기회가 부족한 학습자들이 교실 밖에서도 충분한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과제를 개발하고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개 발한 과제를 한국어 초급 학습자에게 적용해 본 후 과제의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살고 있는 현재 교육계에서도 인공지능 기술을 수업에 활 용하는 연구들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을 교육이나 업무에 적절하게 활용하는 능력이 중요해졌다. 특히 2022년 11월 챗GPT의 등장으로 생성형 인공지 능 챗봇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졌으며 이를 제2언어교육에 활용하는 연구들이 활발 히 진행되고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은 이용이 쉽고 시간과 장소에 상관 없이 이용 가능하며 학습자 입장에서 실수에 대한 부담이 적다는 등의 장점 때문에 유용 한 교수・학습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최근 대부분의 챗봇에는 음성 인식 기 능이 탑재되었고 스마트폰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말하기 교육에 이를 활용하 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습득한 것을 반복 연습하고 실제 대화에도 적용해 보는 것이 중요한데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이 이를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학습 도구가 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다. 한국어를 이제 막 배우기 시작하 는 학습자의 경우 한국 사람과 대화할 기회를 얻기가 쉽지 않으며 그런 기회가 생 겼다고 하더라고 부족한 한국어능력 때문에 성공적으로 대화를 이어 나가기가 어렵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가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해 충 분한 대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과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어를 처음 배 우는 1급 학습자가 활용할 수 있는 과제를 개발하고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 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아울러 이 과제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제를 ‘말하기 연습을 위해 교실 안팎에서 수행하는 의미 중심의 흥미로운 활동으로 결과물을 생성해 낼 수 있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과제 개발의 원리로 과제 보조 수업을 위한 과제, 교실 안팎에서 자기주도학습을 가능하 게 하는 과제,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는 과제, 언어의 네 기능을 통합적으로 연습 할 수 있는 과제, 다양한 종류의 활동을 할 수 있는 과제,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 는 내용의 과제를 개발하는 것으로 설정했으며, 목표, 입력 및 입력 조건, 과제 수 행 방법 및 내용, 결과물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과제 개발은 ADDIE 모 형을 활용해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한국어 교재, 세종학당 AI 선생님, 선행 연구, 한국어 평가 기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 정의 내용을 비교 분석한 후 과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설계하였다. 과제에 필 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반영해 1차 과제를 개발한 후에는 이 과제들이 생 성형 인공지능 챗봇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자가 우선적으로 적합성 실험을 해 보았다. 과제 적합성 실험 후에는 문제점을 보완해 과제를 수정 한 후 주제, 학습 목표, 기능, 과제명, 과제 유형, 사용 어휘, 도구 등을 포함해 상세 요목을 기술하였다. 과제 개발 후에는 효과적인 과제 활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과제 중 일부를 한 국어 초급 학습자들에게 적용한 후 학습자의 과제 수행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으며 챗봇을 활용해 과제를 수행한 실험집단 과 챗봇을 활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말하기 평가 결과도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과 제 수행 자료 분석 후에는 대화 성공률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챗GPT 를 과제 수행을 위한 주 도구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으며, 긴 발화를 할 때에는 일 시 정지 버튼이나 시간 끌기 전략을 사용할 것, 챗봇에게 학습자의 이름을 알리고 학습자에게도 챗봇을 어떻게 부를지 알려줄 것, 교수자가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것, 교수자가 챗봇의 최신 정보와 장단점을 숙지하고 있을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프롬프트 입력은 텍스트로 하고 학습자가 먼저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 학습자가 원 하는 방향으로 대화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방법이라고 보았다. 다음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말하기 평가 결과를 분석했는데 말하기 평가는 ‘소리 내어 읽기’, ‘질문 듣고 대답하기’, ‘간단한 주제에 대해 말하기’의 세 유형으로 진행되었다. 이 중 ‘간단한 주제에 대해 말하기’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간단한 주제에 대 해 말하기’의 평가 구인별로는 과제 수행과 전달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 인하였다. 또한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 활용 한국어 초급 말하기 과제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선호 학습 유형, 기술 수용 도,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 활용 과제에 대한 인식, 과제의 장단점과 개선점 등으로 구성했으며 선호 학습 유형은 복수 선택이 가능하도록 했고 기술 수용도와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 활용 과제에 대한 인식은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과제의 장 단점과 개선점은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먼저 선호 학습 유형은 교재로 하는 전통적인 수업을 선호한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수용도는 새로운 기술 습득에 대한 관심도, 기술 사용이 일상에 주는 편리함에 대한 인식, 인 공지능 기술에 대한 관심도, 챗봇 사용에 대한 관심도를 질문했는데 챗봇 사용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낮았으나 다른 문항은 4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응답자의 기 술 수용도가 높은 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 활용 과제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챗봇 활용 한국어 연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에 미 치는 영향은 다른 문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챗봇 사용의 용이성과 인간과의 대 화와 비교했을 때 챗봇이 주는 편안함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아직까지 는 챗봇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들이 적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챗봇과의 대화보다 인간과의 대화를 더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과제의 장점으로는 시 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한국어를 연습할 수 있고 챗봇이 심리적 부담을 덜어 준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단점으로는 인간과의 대화를 더 선호하고 챗봇의 답변 에 오류나 모호한 내용이 있었다는 응답이 많았다. 과제의 개선점으로는 쉬운 것부 터 어려운 순서로 단계별 연습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과제 수행 방법 및 도구 사용 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있었다. 이상의 학습자 인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인공지능 기술 사용이 미숙한 학습자를 위한 대안을 제 시할 것, 단계별로 과제를 제시할 것, 챗봇의 오류를 확인하기 위한 교수자의 피드 백을 병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과제 수행 자료와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과제를 수정 하고 보완해 최종 과제를 선정하였다. 과제는 10개의 주제로 17개의 과제를 선정했 으며 프롬프트의 예시도 함께 제시하였다. 또한 챗봇과 대화 연습을 한 후에는 짝 활동과 발표 등의 후속 과제를 수행하게 할 것을 제안했으며 정해진 답변이 있는 과제는 규칙 기반 챗봇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보았다. 지금까지 규칙 기반 챗봇을 제2언어 말하기 교육에 활용한 연구는 소수 이루어져 왔으나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 활용 연구는 역사가 짧아 이제 막 활발한 연구가 진 행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이 시점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해 수행할 수 있는 말하기 과제를 개발하고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교실 내에서뿐만 아니라 교실 밖에서도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말하기 연 습을 할 수 있도록 과제를 개발했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