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콘텐츠 생성 인공지능에 관한 이해 : ‘진부함’과 ‘진부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 On art and artworks accompanied with AI art generation : Focusing on the concept of ‘triviality’ and ‘non-trivi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542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diagnose the particularities of the current situation looming around contemporary generative AIs and the results they generate.
      Contemporary generative AIs have unprecedented black-box characteristics, not only because they are trained using data and databases beyond the scale of human imagination, but also they are based on very large-scale multi-layer deep artificial neural networks.
      Traditional and conventional approaches of epistemology have never been recommendable for understanding an AI as a black-box, and they are becoming increasingly inappropriate as the black-box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I grow stronger.
      The concept of triviality(Trivialität) and non-triviality(Nichttrivialität) of Heinz von Förster could provide us with a starting point not only to better understand contemporary generative AI, but also to embrace it as an other or ‘another’ creative entity.
      번역하기

      This article aims to diagnose the particularities of the current situation looming around contemporary generative AIs and the results they generate. Contemporary generative AIs have unprecedented black-box characteristics, not only because they are tr...

      This article aims to diagnose the particularities of the current situation looming around contemporary generative AIs and the results they generate.
      Contemporary generative AIs have unprecedented black-box characteristics, not only because they are trained using data and databases beyond the scale of human imagination, but also they are based on very large-scale multi-layer deep artificial neural networks.
      Traditional and conventional approaches of epistemology have never been recommendable for understanding an AI as a black-box, and they are becoming increasingly inappropriate as the black-box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I grow stronger.
      The concept of triviality(Trivialität) and non-triviality(Nichttrivialität) of Heinz von Förster could provide us with a starting point not only to better understand contemporary generative AI, but also to embrace it as an other or ‘another’ creative ent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규모 심층 인공 신경망에 기반을 둔 동시대 인공지능은 오늘날의 정보기술과 이 기술이 구축하는 고도의 기술환경을 대변한다. 이른바 알파고 이후 다양한 유형과 수준의 인공지능들이 불식간에 우리의 일상 도처에 편재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에 관한 신화적 오해는 여전하다. 인공지능이 학습하는 데이터는 이미 이번 세기 초에 양적·질적 측면 모두에서 통상의 인간이 가늠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으며, 구조와 원리 또한 기존의 전통적이고 관습적인 인과론만으로는 충분히 설명하기 어려운 수준까지 고도화되었다. 이러한 비관습적(Unconventional) 특성은 결과물에도 가감없이 반영되며, 문화예술 콘텐츠와 관련한 경우 특히 강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현상들을 보다 근본적인 층위에서 이해하고 포용하기 위해서는 그에 어울리는 동시대적 관점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하인츠 폰 푀르스터(Heinz von Förster)의 진부함(Trivialität)과 진부하지 않음(Nichttrivialität)의 관점에서 동시대 콘텐츠 생성 인공지능을 활용한 문화예술 콘텐츠 작품활동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렇게 함으로써 오늘날의 인공지능을 우리 시대 기술환경으로부터 창발하는 또 하나(Another)의 지성과 창의로 인정하고 포용하는 인식의 전환점을 모색한다.
      번역하기

      대규모 심층 인공 신경망에 기반을 둔 동시대 인공지능은 오늘날의 정보기술과 이 기술이 구축하는 고도의 기술환경을 대변한다. 이른바 알파고 이후 다양한 유형과 수준의 인공지능들이 ...

      대규모 심층 인공 신경망에 기반을 둔 동시대 인공지능은 오늘날의 정보기술과 이 기술이 구축하는 고도의 기술환경을 대변한다. 이른바 알파고 이후 다양한 유형과 수준의 인공지능들이 불식간에 우리의 일상 도처에 편재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에 관한 신화적 오해는 여전하다. 인공지능이 학습하는 데이터는 이미 이번 세기 초에 양적·질적 측면 모두에서 통상의 인간이 가늠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으며, 구조와 원리 또한 기존의 전통적이고 관습적인 인과론만으로는 충분히 설명하기 어려운 수준까지 고도화되었다. 이러한 비관습적(Unconventional) 특성은 결과물에도 가감없이 반영되며, 문화예술 콘텐츠와 관련한 경우 특히 강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현상들을 보다 근본적인 층위에서 이해하고 포용하기 위해서는 그에 어울리는 동시대적 관점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하인츠 폰 푀르스터(Heinz von Förster)의 진부함(Trivialität)과 진부하지 않음(Nichttrivialität)의 관점에서 동시대 콘텐츠 생성 인공지능을 활용한 문화예술 콘텐츠 작품활동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렇게 함으로써 오늘날의 인공지능을 우리 시대 기술환경으로부터 창발하는 또 하나(Another)의 지성과 창의로 인정하고 포용하는 인식의 전환점을 모색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인츠 폰 푀르스터, "진리는 거짓말쟁이의 발명품이다 : 회의론자들을 위한 대담" 늘봄 2009

      2 윤나라, "인공지능의 탈신화화 - 다큐멘터리 <알파고>와 강/약 인공지능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64 : 37-64, 2020

      3 이수진, "시뮬라시옹과 포스트-재현 - 알고리즘 아트를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56 : 45-70, 2018

      4 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 나남 2003

      5 김진석, "강한 인공지능과 인간: 인간 강화와 인간 잉여의 패러독스" 글항아리 2019

      6 von FÖRSTER. Heinz, "Wahrheit ist die Erfindung eines Lügners: Gespräche für Skeptiker" Carl-Auer Verlag 1998

      7 KITTLER, "There Is No Software" 9 (9): 1992

      8 DOMINGOS. Pedro, "The master algorithm: how the quest for the ultimate learning machine will remake our world" Basic Books 2015

      9 NELSON. Theodor H., "Software" Jewish Museum 1970

      10 PROYAS. Alex, "I, Robot"

      1 하인츠 폰 푀르스터, "진리는 거짓말쟁이의 발명품이다 : 회의론자들을 위한 대담" 늘봄 2009

      2 윤나라, "인공지능의 탈신화화 - 다큐멘터리 <알파고>와 강/약 인공지능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64 : 37-64, 2020

      3 이수진, "시뮬라시옹과 포스트-재현 - 알고리즘 아트를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56 : 45-70, 2018

      4 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 나남 2003

      5 김진석, "강한 인공지능과 인간: 인간 강화와 인간 잉여의 패러독스" 글항아리 2019

      6 von FÖRSTER. Heinz, "Wahrheit ist die Erfindung eines Lügners: Gespräche für Skeptiker" Carl-Auer Verlag 1998

      7 KITTLER, "There Is No Software" 9 (9): 1992

      8 DOMINGOS. Pedro, "The master algorithm: how the quest for the ultimate learning machine will remake our world" Basic Books 2015

      9 NELSON. Theodor H., "Software" Jewish Museum 1970

      10 PROYAS. Alex, "I, Robot"

      11 FOUCAULT. Michel, "Histoire de la folie à l’âge classique" Éditions Gallimard 1972

      12 ROMBACH. Robin, "High-Resolution Image Synthesis with Latent Diffusion Models" 2021

      13 DALL-E 2 team at OpenAI (collective), "DALL-E 2 promptbook (version 1.01)"

      14 HAUGELAND. Joh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Very Idea" The MIT Press 1985

      15 KOHS. Greg, "AlphaGo"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