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 차별 경험과 우울감의 관계 연구: 종교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Depress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71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장애인의 종교활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20년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한 한국복지패널 15차년도 패널자료를 사용하였고, 연구목적에 맞는 76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회귀분석 결과 첫째, 장애인의 차별 경험과 우울감은 정(+)의 결과가 나왔다. 이는 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많을수록 더 많은 우울감을 느낌을 의미한다. 둘째, 장애인의 차별 경험과 종교활동의 상호작용과 우울감은 부(-)의 유의한 값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장애인이 차별 경험을 느낄 때의 우울감은 종교활동으로 인해 일정량 해소되어 상대적으로 적은 수준의 우울감만을 추가로 느끼는 것으로 해석된다. 결론: 이상의 논의와 분석결과를 근거로 장애인의 종교활동을 통한 우울감 감소와 장애극복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장애인의 종교활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20년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한 한국복지패널...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장애인의 종교활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20년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한 한국복지패널 15차년도 패널자료를 사용하였고, 연구목적에 맞는 76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회귀분석 결과 첫째, 장애인의 차별 경험과 우울감은 정(+)의 결과가 나왔다. 이는 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많을수록 더 많은 우울감을 느낌을 의미한다. 둘째, 장애인의 차별 경험과 종교활동의 상호작용과 우울감은 부(-)의 유의한 값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장애인이 차별 경험을 느낄 때의 우울감은 종교활동으로 인해 일정량 해소되어 상대적으로 적은 수준의 우울감만을 추가로 느끼는 것으로 해석된다. 결론: 이상의 논의와 분석결과를 근거로 장애인의 종교활동을 통한 우울감 감소와 장애극복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가인권위원회, "차별판단 지침, 장애인차별 금지법 이행 가이드라인"

      2 이정희, "차별 경험과 돌봄지원이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3 김영미,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 자존감, 우울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3 (63): 1-20, 2020

      4 최희철, "지체장애인의 우울의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3 (63): 43-64, 2020

      5 김상숙 ; 우주영,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정신화의 조절된 조절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4 (64): 185-206, 2021

      6 박현숙, "중증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일본연구센터 (10) : 105-123, 2014

      7 유건상, "중도장애인 대상 인문치료 사례 -우울감 감소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1) : 465-487, 2014

      8 김영미, "종교 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 증상 완화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05-821, 2020

      9 전지혜, "장애차별경험과 장애인의 우울감의 관계 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5) : 51-80, 2010

      10 권선진, "장애인차별실태와 인권의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8 : 59-75, 2004

      1 국가인권위원회, "차별판단 지침, 장애인차별 금지법 이행 가이드라인"

      2 이정희, "차별 경험과 돌봄지원이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3 김영미,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 자존감, 우울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3 (63): 1-20, 2020

      4 최희철, "지체장애인의 우울의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3 (63): 43-64, 2020

      5 김상숙 ; 우주영,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정신화의 조절된 조절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4 (64): 185-206, 2021

      6 박현숙, "중증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일본연구센터 (10) : 105-123, 2014

      7 유건상, "중도장애인 대상 인문치료 사례 -우울감 감소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1) : 465-487, 2014

      8 김영미, "종교 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 증상 완화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05-821, 2020

      9 전지혜, "장애차별경험과 장애인의 우울감의 관계 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5) : 51-80, 2010

      10 권선진, "장애인차별실태와 인권의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8 : 59-75, 2004

      11 김성희, "장애인의 차별실태와 정책과제" 226 : 6-15, 2015

      12 구신실, "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1 (61): 67-90, 2018

      13 차은아 ; 임성옥, "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ㆍ경제적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29 (29): 237-260, 2013

      14 이미림, "장애인의 차별경험과 대처경험에 대한 탐색 연구" 한국공공사회학회 11 (11): 85-124, 2021

      15 오욱찬, "장애인의 차별 인식 실태와 정책과제" 263 : 47-58, 2018

      16 정준수 ; 박미은, "장애인의 우울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36 : 55-83, 2016

      17 이현주 ; 강상경, "장애인의 스트레스, 심리사회적 자원, 및 우울의 관계 - 한국복지패널 장애인 부가조사를 이용하여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3) : 193-217, 2009

      18 전지혜, "장애인에 의해 ‘지각된 차별(perceived discrimination)’의 개념화와 법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399-425, 2009

      1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20 김종일, "장애인근로자의 장애수용, 차별경험,사회경제적 지위가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59-84, 2013

      21 이성규, "장애인 근로자의 차별경험,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 성별 및 고용형태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7 (87): 349-381, 2014

      22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장애인 고용패널 조사" 2021

      23 박현숙 ; 양희택, "장애노인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153-174, 2013

      24 박재학 ; 윤춘모,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지지, 우울,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5 (75): 35-64, 2020

      25 박현숙 ; 양희택, "임금근로장애인의 일자리 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2) : 67-84, 2013

      26 김승렬 ; 송진영, "임금근로장애인의 일상생활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 (20): 73-94, 2016

      27 오혜경, "여성장애인의 차별실태 및 차별 해소에 관한 연구" 11 : 27-74, 2006

      28 엄아람, "여성독거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2

      29 김영미, "여성 지체장애인의 우울, 자존감, 장애수용, 대인관계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4 (64): 1-20, 2021

      30 조혜정 ; 서인균, "신체장애인의 우울발달궤적 예측요인 :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87-112, 2012

      31 원서진 ; 김혜미, "성인 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자살생각: 우울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6 (36): 65-76, 2019

      32 김수정, "부모의 영성이 장애아동 양육경험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 41 : 197-217, 2014

      33 김윤희 ; 김진숙,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장애수용 과정" 한국상담학회 15 (15): 1911-1935, 2014

      34 박수경 ; 이선우 ; 이진주, "발달장애 자녀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부모의 양육 부담감 및 우울과의 관계: 종교활동 참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52 (52): 55-84, 2021

      35 김예자 ; 윤경아 ; 손의성, "농촌지역 독거 여자노인의 영성 및 종교활동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상실감의 매개효과" 한국생애학회 10 (10): 89-105, 2020

      36 김수정, "노인의 종교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33) : 29-50, 2006

      37 이민숙,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4 (4): 161-176, 2007

      38 손용진, "노인기의 종교변화에 따른 생활 만족도" 한국노인복지학회 (36) : 183-202, 2007

      39 노승현 ; 신유리 ; 김정석, "고령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사회적 지지가 신체적 건강및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와 장애정도에따른 다중집단 분석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1 (21): 113-137, 2017

      40 신동희 ; 김여주 ; 김기연, "고령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 고용환경에서 경험하는 차별과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2 (32): 99-128, 2022

      41 Radloff, L. S.,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1 (1): 385-401, 1977

      42 Revenson, T. A., "Social support as a double-edged sword : The relation of positive and problematic support to depression among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33 (33): 807-813, 1991

      43 Krause, N., "Religious meaning and subjective well-being in late life" 58 (58): S160-S170, 2003

      44 Ellison, C. G., "Religious involv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32 (32): 80-99, 1991

      45 Idler, E. L., "Patterns of religious practice and belief in the last year of life" 56 (56): S326-S334, 2001

      46 Dohrenwend, B. P., "" Hassles" in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life stress variables" 40 (40): 780-785,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