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색채 - 운동 오결합에서 삼차원 표면배열의 효과 = The effect of 3D surface configuration on color-motion misbin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174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색상이 다른 점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무선점 자극을 중앙 영역에 제시하고, 주변 영역에는 이와 반대의 색상을 가진 무선점 자극을 제시하면 주변영역에 있는 점들의 속성은 중앙 영역에 있는 점들의 속성과 동일하게 지각되는 색상-운동 오결합 현상이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오결합이 중앙영역과 주변영역이 동일한 깊이 표면을 구성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발생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1에서는 주변영역의 점들을 중앙영역과는 다른 깊이에 제시하였고 실험 2에서는 주변영역의 점들을 주어진 깊이 범위 내에서 무선적으로 변화시켰다. 두 실험 결과 중앙과 주변영역의 점들이 동일 깊이에 제시된 조건과 비교해 볼 때 두 영역이 동일한 표면을 형성하지 못할 때 오결합 정도는 약화되었지만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정보에 의한 표면뿐만 아니라 양안시차에 의한 표면정보가 오결합 과정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색상이 다른 점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무선점 자극을 중앙 영역에 제시하고, 주변 영역에는 이와 반대의 색상을 가진 무선점 자극을 제시하면 주변영역에 있는 점들의 속성은 중...

      색상이 다른 점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무선점 자극을 중앙 영역에 제시하고, 주변 영역에는 이와 반대의 색상을 가진 무선점 자극을 제시하면 주변영역에 있는 점들의 속성은 중앙 영역에 있는 점들의 속성과 동일하게 지각되는 색상-운동 오결합 현상이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오결합이 중앙영역과 주변영역이 동일한 깊이 표면을 구성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발생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1에서는 주변영역의 점들을 중앙영역과는 다른 깊이에 제시하였고 실험 2에서는 주변영역의 점들을 주어진 깊이 범위 내에서 무선적으로 변화시켰다. 두 실험 결과 중앙과 주변영역의 점들이 동일 깊이에 제시된 조건과 비교해 볼 때 두 영역이 동일한 표면을 형성하지 못할 때 오결합 정도는 약화되었지만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정보에 의한 표면뿐만 아니라 양안시차에 의한 표면정보가 오결합 과정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f color and motion direction of random dots in the central region was combined in opposite fashions with those of random dots in the peripheral region, the color of dots with a particular direction in the peripheral region is perceived as that of dots in the central region, known as color-motion mis-binding phenomenon. In the present study, it is investigated whether mis-binding would happen even if the central and peripheral region do not have a common three-dimensional surface. In the first experiment, the dots in the peripheral were presented in a different depth plane with use of binocular disparity, and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disparity of dots in the peripheral region was randomly selected from a given ran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gnitude of mis-binding was weakened, but not completely disappeared even when two regions did not have a common 3D surfa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rface information from motion and stereodepth may influence in the process of color-motion mis-binding.
      번역하기

      If color and motion direction of random dots in the central region was combined in opposite fashions with those of random dots in the peripheral region, the color of dots with a particular direction in the peripheral region is perceived as that of dot...

      If color and motion direction of random dots in the central region was combined in opposite fashions with those of random dots in the peripheral region, the color of dots with a particular direction in the peripheral region is perceived as that of dots in the central region, known as color-motion mis-binding phenomenon. In the present study, it is investigated whether mis-binding would happen even if the central and peripheral region do not have a common three-dimensional surface. In the first experiment, the dots in the peripheral were presented in a different depth plane with use of binocular disparity, and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disparity of dots in the peripheral region was randomly selected from a given ran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gnitude of mis-binding was weakened, but not completely disappeared even when two regions did not have a common 3D surfa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rface information from motion and stereodepth may influence in the process of color-motion mis-bind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실험 1: 중앙과 주변의 표면깊이가 다른 상황에서의 색채 운동 오결합
      • 실험 2. 주변영역의 단일표면 여부에 따른 색깔 운동 오결합
      • 종합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 실험 1: 중앙과 주변의 표면깊이가 다른 상황에서의 색채 운동 오결합
      • 실험 2. 주변영역의 단일표면 여부에 따른 색깔 운동 오결합
      • 종합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형철, "색채-운동 속성 결합에서의 양안시차의 역할" 한국인지과학회 18 (18): 69-90, 2007

      2 Parker, A. J., "and the single neuron: probing the physiology of perception" 21 : 227-277, 1998

      3 Ungerleider, L. G., "Two cortical visual systems, in: Analysis of visual behavior" The MIT Press 549-586, 1982

      4 Qian,N.,& Andersen,R.A, "Transparent motion perception as detection of unbalanced motion signals.II.Physiology.Journal of" 14 : 7367-7380, 1994

      5 Zeki, S. M., "The visual image in mind and brain" 267 : 68-76, 1992

      6 Nawrot, M., "The interplay between stereopsis and structure from motion" 49 : 230-244, 1991

      7 Watanabe, T., "Texture and motion spreading, the aperture problem, and transparency" 50 : 459-464, 1991

      8 Treue, S., "Structure -from-motion: Perceptual Evidence for Surface interpolation" 35 (35): 139-148, 1995

      9 Wu, D., "Steady-state misbinding of color and motion" 429 : 262-, 2004

      10 Goodale, M. A., "Separate visual pathways for perception and action" 15 (15): 20-25, 1992

      1 이형철, "색채-운동 속성 결합에서의 양안시차의 역할" 한국인지과학회 18 (18): 69-90, 2007

      2 Parker, A. J., "and the single neuron: probing the physiology of perception" 21 : 227-277, 1998

      3 Ungerleider, L. G., "Two cortical visual systems, in: Analysis of visual behavior" The MIT Press 549-586, 1982

      4 Qian,N.,& Andersen,R.A, "Transparent motion perception as detection of unbalanced motion signals.II.Physiology.Journal of" 14 : 7367-7380, 1994

      5 Zeki, S. M., "The visual image in mind and brain" 267 : 68-76, 1992

      6 Nawrot, M., "The interplay between stereopsis and structure from motion" 49 : 230-244, 1991

      7 Watanabe, T., "Texture and motion spreading, the aperture problem, and transparency" 50 : 459-464, 1991

      8 Treue, S., "Structure -from-motion: Perceptual Evidence for Surface interpolation" 35 (35): 139-148, 1995

      9 Wu, D., "Steady-state misbinding of color and motion" 429 : 262-, 2004

      10 Goodale, M. A., "Separate visual pathways for perception and action" 15 (15): 20-25, 1992

      11 Livingstone, M. S., "Segregation of form, color, movement, and depth: anatomy, physiology, and perception" 240 : 740-749, 1988

      12 Braddick, O., "Segmentation versus integration in visual motion processing" 16 (16): 263-268, 1993

      13 Ogle, K. N., "Researches in Binocular Vision" Sanders 1950

      14 Moradi, F., "Perceptual-binding and persistent surface segregation" 44 : 2885-2899, 2004

      15 Johansson, G., "Perception of motion and changing form" 5 : 181-208, 1964

      16 Nawrot, M., "Neural integration of information specifying structure from stereopsis and motion" 244 : 716-718, 1989

      17 Anzai, A., "Joint-encoding of motion and depth by visual cortical neurons: neural basis of the Pulfrich effect" 4 (4): 513-518, 2001

      18 Bradley, D. C., "Integration of motion and stereopsis in middle temporal cortical area of macaques" 373 : 609-611, 1995

      19 Treisman, A., "Illusory conjunctions in the perception of objects" 14 (14): 107-141, 1982

      20 Julesz, B., "Foundations of cyclopean perception" Chicago University Press 1971

      21 Bradley, D. C., "Encoding of three -dimensional structure-from-motion by primate area MT neurons" 392 : 714-717, 1998

      22 Andersen, G. J., "Dynamic occlusion in the perception of rotation in depth" 34 : 356-362, 1983

      23 Fellman, D. J., "Distributed hierarchical processing in the primate cerebral cortex" 1 : 1-47, 1991

      24 Kanai, R., "Discrete color filling beyond luminance gaps along perceptual surfaces" 6 (6): 1380-1395, 2006

      25 DeAngelis, G. C., "Cortical area MT and the perception of stereoscopic depth" 394 (394): 677-680, 1998

      26 Williams, D. W., "Coherent global motion percepts from stochastic local motions" 24 : 55-62, 1984

      27 Paradiso, M. A., "Brightness perception and filling-in" 31 : 1221-1236, 1991

      28 Treisman, A., "A feature-integration theory of attention" 12 : 97-136,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17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