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말 혼성어 연구와 심리언어학적 실험 - 어휘판단과제 활용법을 중심으로 - = Researches on blended words in Korean and psycholinguistic experiments: Focused on how to use lexical decision tas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615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어휘부-유추 기반 형태론’을 실증적 방법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시작된 심리언어학적 실험을 활용한 형태론 연구의 방법을 우리말 혼성어에 대한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함으로써 심리언어학적 실험을 활용한 형태론 연구 방법론의 전망을 공유하고자 한다. ‘어휘부-유추 기반 형태론’은 구성주의적 관점의 형태론 연구이며, 기능주의적 형태론의 한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우리말 단어를 관찰 가능한 언어 현상으로 이해함으로써 ‘심리적 어휘부의 내용과 조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고, 보편적 인지 과정으로서의 단어 형성을 ‘유추’를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하였을 뿐 아니라, 심리적 어휘부에 저장된 단어가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되는 상황과 맥락을 ‘어휘 접근과 어휘 정보 인출’이라는 어휘부의 기능에 포함시켜 포착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심리언어학적 방법을 활용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어휘판단과제라는 심리학적 실험과 해당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적 검정이라는 방법을 활용하여, 형태론 연구의 다양한 층위에 존재하는 문법 단위의 심리적 실재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는데, 본고는 그러한 연구 방법론을 종합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소개함으로써 구성주의적이고 기능주의적 형태론 연구의 저변이 확대될 수 있도록 돕는 디딤돌을 놓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어휘부-유추 기반 형태론’을 실증적 방법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시작된 심리언어학적 실험을 활용한 형태론 연구의 방법을 우리말 혼성어에 대한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함...

      본고는 ‘어휘부-유추 기반 형태론’을 실증적 방법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시작된 심리언어학적 실험을 활용한 형태론 연구의 방법을 우리말 혼성어에 대한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함으로써 심리언어학적 실험을 활용한 형태론 연구 방법론의 전망을 공유하고자 한다. ‘어휘부-유추 기반 형태론’은 구성주의적 관점의 형태론 연구이며, 기능주의적 형태론의 한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우리말 단어를 관찰 가능한 언어 현상으로 이해함으로써 ‘심리적 어휘부의 내용과 조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고, 보편적 인지 과정으로서의 단어 형성을 ‘유추’를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하였을 뿐 아니라, 심리적 어휘부에 저장된 단어가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되는 상황과 맥락을 ‘어휘 접근과 어휘 정보 인출’이라는 어휘부의 기능에 포함시켜 포착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심리언어학적 방법을 활용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어휘판단과제라는 심리학적 실험과 해당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적 검정이라는 방법을 활용하여, 형태론 연구의 다양한 층위에 존재하는 문법 단위의 심리적 실재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는데, 본고는 그러한 연구 방법론을 종합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소개함으로써 구성주의적이고 기능주의적 형태론 연구의 저변이 확대될 수 있도록 돕는 디딤돌을 놓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troduces the method of morphology research using psycholinguistic experiments that started to support 'vocabulary-inference-based morphology' as an empirical method, focusing on research cases on Korean hybrid languages, and thus morphology using psycholinguistic experiments. We would like to share the prospects of research methodology. ‘Vocabulary-Inference-based Morphology’ is a study of morphology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and can be said to be an aspect of functionalist morphology. By understanding all Korean words as observable linguistic phenomena, we tried to study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the psychological lexicon', and not only tried to explain word formation as a universal cognitive process based on 'analogy', but also This is because it attempts to capture the situation and context in which the stored words are used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by including them in the function of the lexicon of 'vocabulary access and lexical information retrieval'. Most of the research up to now using psycholinguistic methods has attempted to verify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grammatical units that exist in various layers of morphological research by using a psychological experiment called a lexical judgment task and a statistical test for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is paper intends to lay a stepping stone to help expand the basis of constructivist and functionalist morphology research by introducing such a research methodology comprehensively and concretely.
      번역하기

      This paper introduces the method of morphology research using psycholinguistic experiments that started to support 'vocabulary-inference-based morphology' as an empirical method, focusing on research cases on Korean hybrid languages, and thus morpholo...

      This paper introduces the method of morphology research using psycholinguistic experiments that started to support 'vocabulary-inference-based morphology' as an empirical method, focusing on research cases on Korean hybrid languages, and thus morphology using psycholinguistic experiments. We would like to share the prospects of research methodology. ‘Vocabulary-Inference-based Morphology’ is a study of morphology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and can be said to be an aspect of functionalist morphology. By understanding all Korean words as observable linguistic phenomena, we tried to study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the psychological lexicon', and not only tried to explain word formation as a universal cognitive process based on 'analogy', but also This is because it attempts to capture the situation and context in which the stored words are used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by including them in the function of the lexicon of 'vocabulary access and lexical information retrieval'. Most of the research up to now using psycholinguistic methods has attempted to verify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grammatical units that exist in various layers of morphological research by using a psychological experiment called a lexical judgment task and a statistical test for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is paper intends to lay a stepping stone to help expand the basis of constructivist and functionalist morphology research by introducing such a research methodology comprehensively and concret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원용, "활용형의 적형성과 심리적 실재성" 형태론 18 (18): 163-182, 2016

      2 송원용, "활용형의 문법적 기능과 심리적 실재성" 인문학연구소 31 : 65-90, 2019

      3 박진호, "형태론의 제자리 찾기" 1 (1): 319-340, 1999

      4 송원용, "형용사 파생 접미사의 심리적 실재성" 형태론 21 (21): 160-181, 2019

      5 송원용, "한자계 어근 분류 방식의 심리적 실재성" 형태론 13 (13): 225-244, 2011

      6 채현식, "조어론의 규칙과 표시" 1 (1): 25-42, 1999

      7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태학사 2002

      8 채현식, "용례 기반 이론에서의 어휘 지식 표상" 형태론 11 (11): 269-286, 2009

      9 이흥수,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 (주)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2007

      10 송원용, "어휘판단과제를 활용한 활용형의 심리적 실재성 검증" 형태론 17 (17): 201-232, 2015

      1 송원용, "활용형의 적형성과 심리적 실재성" 형태론 18 (18): 163-182, 2016

      2 송원용, "활용형의 문법적 기능과 심리적 실재성" 인문학연구소 31 : 65-90, 2019

      3 박진호, "형태론의 제자리 찾기" 1 (1): 319-340, 1999

      4 송원용, "형용사 파생 접미사의 심리적 실재성" 형태론 21 (21): 160-181, 2019

      5 송원용, "한자계 어근 분류 방식의 심리적 실재성" 형태론 13 (13): 225-244, 2011

      6 채현식, "조어론의 규칙과 표시" 1 (1): 25-42, 1999

      7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태학사 2002

      8 채현식, "용례 기반 이론에서의 어휘 지식 표상" 형태론 11 (11): 269-286, 2009

      9 이흥수,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 (주)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2007

      10 송원용, "어휘판단과제를 활용한 활용형의 심리적 실재성 검증" 형태론 17 (17): 201-232, 2015

      11 송원용, "어휘판단과제를 활용한 형태론 연구의 전제 조건 - 실험 중 해이 및 반응 오류 통제를 중심으로 -" 형태론 16 (16): 156-184, 2014

      12 김영석, "어휘부의 조직" 26 (26): 239-246, 1990

      13 채현식, "어휘부의 자기조직화" 한국언어문학회 (63) : 129-145, 2007

      14 채현식, "어휘부란 무엇인가-인접 학문 분야와와 관계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66) : 307-334, 2013

      15 안소진, "심리어휘부에 기반한 한자어 연구" 태학사 2014

      16 송원용, "불규칙적 고유어 어근의 심리적 실재성" 국어국문학회 (159) : 5-30, 2011

      17 송원용, "복합어의 심리적 실재성 검증" 형태론 17 (17): 1-21, 2015

      18 시정곤,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5-215, 2002

      19 채현식, "대치(代置)에 의한 단어형성" 형태론 5 (5): 1-21, 2003

      20 송원용, "다중 어휘부 구조 가설의 실험심리학적 검증- 생산적 접사 ‘-개, -질, -적’을 중심으로 -" 형태론 7 (7): 257-276, 2005

      21 시정곤, "국어의 어휘부 사전에 대한 연구" 한국현대언어학회 17 (17): 163-184, 2001

      22 송원용, "국어 어휘부와 단어 형성" 태학사 2005

      23 채현식, "국어 어휘부 등재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연구회 (122) : 1994

      24 송원용, "국어 선어말어미의 심리적 실재성 검증" 한국어문학회 (104) : 83-102, 2009

      25 덜윙, "Yearbook of Morphology" Foris 55-71, 1989

      26 에이치슨, "Words in the Mind: an introduction to the mental lexicon" Blackwell 1994

      27 에이치슨, "Whither Morphology in the New Millenuum?" 53-73, 2003

      28 바이비, "Trubetzkoy's Orpha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47-269, 1996

      29 바이비, "Theoretical Morphology: approaches in modern linguistics" Academic Press 119-141, 1988

      30 에이치슨,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prefixes" 9 (9): 61-72, 1983

      31 핸케, "The Structure of the Lexicon: human versus machine" Mouton de Gruyter 1995

      32 맥퀸, "The Handbook of Morphology" Blackwell 406-427, 1998

      33 바이비, "Regular morphology and the lexicon" 10 (10): 425-455, 1995

      34 덜윙, "Contemporary Morphology" Mouton de Gruyter 249-265,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orphology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형태론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87 2.42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