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개화후기(1906~1910) 초등교육의 성격 탐구 = A Study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Enlightenment (1906-1910)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6963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근대초등교육이 제도적으로 증등교육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 개화후기 초등교육의 성격을 탐색함으로써 초등교육의 본질적 특성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화후기의 사회적 상황과 교육적 요구, 초등학교의 교육목적, 교과과정과 교육내용, 교육방법과 평가, 초등교원 양성과 임용과정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당시 초등교육의 성격이 어떠했는지 규명하였다. 개화후기의 관·공립학교는 일제의 식민지화를 위한 준비교육의 장이 되었으며 사립학교는 통감부의 교육정책에 저항하고 민족교육, 애국인재 양성의 역할을 하였다. 이 당시 공·사립 학교는 초등교육의 특성인 아동 중심적 교육을 실천하기보다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 형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열악한 시대적 상황 가운데서도 이 시기의 초등교육은 제도적으로나 교과과정 면에서 중등교육과 분리되어 분화·발전함으로써 한국 초등교육의 공교육화에 기여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근대초등교육이 제도적으로 증등교육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 개화후기 초등교육의 성격을 탐색함으로써 초등교육의 본질적 특성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근대초등교육이 제도적으로 증등교육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 개화후기 초등교육의 성격을 탐색함으로써 초등교육의 본질적 특성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화후기의 사회적 상황과 교육적 요구, 초등학교의 교육목적, 교과과정과 교육내용, 교육방법과 평가, 초등교원 양성과 임용과정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당시 초등교육의 성격이 어떠했는지 규명하였다. 개화후기의 관·공립학교는 일제의 식민지화를 위한 준비교육의 장이 되었으며 사립학교는 통감부의 교육정책에 저항하고 민족교육, 애국인재 양성의 역할을 하였다. 이 당시 공·사립 학교는 초등교육의 특성인 아동 중심적 교육을 실천하기보다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 형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열악한 시대적 상황 가운데서도 이 시기의 초등교육은 제도적으로나 교과과정 면에서 중등교육과 분리되어 분화·발전함으로써 한국 초등교육의 공교육화에 기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essential nature and its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Enlightenment, 1906-1910, focusing on the areas of social background, educational needs, educational purposes, school curricular,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teacher education system.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laws and government documents, newspapers, and educational journals that were amended and published during the period were analyzed Comparing to the beginning period of the Enlightenment(1880-1905) that the idea of elementary education had not developed, this study showed that the last five year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were identified as an initial stage that the modern meaning of elementary education was systematically split up and specified from the meaning of the secondary education. Thus, the idea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elementary curricular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early-child or secondary ones for the first time,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education were identified, developed, and refined. However Korean elementary education in that period, showed two contrasting tendencies according to the bodies of foundation.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during the period were used for strengthening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over Korea, whereas the private ones were mainly emphasized on educating nationalists and patriots who would resist against Japan, though the educational resistances from the private sector were soon eradicat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lthough the idea of the child-centered education was introduced, but had not implemented yet to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essential nature and its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Enlightenment, 1906-1910, focusing on the areas of social background, educational needs, educational purp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essential nature and its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Enlightenment, 1906-1910, focusing on the areas of social background, educational needs, educational purposes, school curricular,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teacher education system.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laws and government documents, newspapers, and educational journals that were amended and published during the period were analyzed Comparing to the beginning period of the Enlightenment(1880-1905) that the idea of elementary education had not developed, this study showed that the last five year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were identified as an initial stage that the modern meaning of elementary education was systematically split up and specified from the meaning of the secondary education. Thus, the idea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elementary curricular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early-child or secondary ones for the first time,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education were identified, developed, and refined. However Korean elementary education in that period, showed two contrasting tendencies according to the bodies of foundation.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during the period were used for strengthening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over Korea, whereas the private ones were mainly emphasized on educating nationalists and patriots who would resist against Japan, though the educational resistances from the private sector were soon eradicat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lthough the idea of the child-centered education was introduced, but had not implemented yet to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4 1.84 1.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2 1.8 2.26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