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반도 서남해의 특정도서(병풍도, 탄항도, 백야도, 납태기도, 행금도)의 보호조류 서식현황 연구 = A Study on Protected Birds of Korea Peninsula`s Southwest Specific Islands (Byeongpungdo, Tanhangdo, Baekyado, Naptaegido, Haenggeum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862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line with the continuous conservation plans for birds protected by law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rea, Korea, we surveyed the bird communities of five islands (Byeongpungdo, Tanhangdo, Baekyado, Naptaegido and Haenggeumdo), which are all appointed by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in Island Areas including Dok Island. We conducted the survey once or twice every year from May 2012 to September 2014, each considering birds`` breeding (summer) and migratory (fall) seasons. In total, 768 individual birds and 52 species were observed within the five islands, and 20 species were protected by law in Korea. According to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Red List Status, 49 species were classified as least concerned (LC), 2 near threatened (NT) and 1 vulnerable (VU). Thus, 5.8% were recorded above the LC level, and 9.6% were listed on the endangered category I and II.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richness and their habitat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Byeongpungdo showed the highest species richness and covered the largest area with the highest altitude. On the other hand, Tanhangdo had the smallest area and lowest altitude and showed the lowest species richness. This relationship indicates that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has a high correlation with size, altitude and the islands ’vegetation structure.
      번역하기

      In line with the continuous conservation plans for birds protected by law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rea, Korea, we surveyed the bird communities of five islands (Byeongpungdo, Tanhangdo, Baekyado, Naptaegido and Haenggeumdo), which are all ...

      In line with the continuous conservation plans for birds protected by law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rea, Korea, we surveyed the bird communities of five islands (Byeongpungdo, Tanhangdo, Baekyado, Naptaegido and Haenggeumdo), which are all appointed by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in Island Areas including Dok Island. We conducted the survey once or twice every year from May 2012 to September 2014, each considering birds`` breeding (summer) and migratory (fall) seasons. In total, 768 individual birds and 52 species were observed within the five islands, and 20 species were protected by law in Korea. According to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Red List Status, 49 species were classified as least concerned (LC), 2 near threatened (NT) and 1 vulnerable (VU). Thus, 5.8% were recorded above the LC level, and 9.6% were listed on the endangered category I and II.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richness and their habitat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Byeongpungdo showed the highest species richness and covered the largest area with the highest altitude. On the other hand, Tanhangdo had the smallest area and lowest altitude and showed the lowest species richness. This relationship indicates that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has a high correlation with size, altitude and the islands ’vegetation struc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조류학회, "한국조류목록 Checklist of the Birds of Korea" 133-, 2009

      2 송세규, "한국 특정도서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2

      3 기상청,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4" 31-, 2014

      4 환경부, "특정도서보전기본계획(안)"

      5 환경부, "특정도서 지정현황"

      6 김성현, "칠산도 일대에 도래하는 멸종위기종 노랑부리백로(Egretta eulophotes)의 번식생태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6

      7 김인규, "천연기념물 제 389호 영광 칠산도의 괭이갈매기, 노랑부리백로 및 저어새 번식지 모니터링 보고서" 문화재청 37-68, 2006

      8 문화재관리국, "천연기념물 이동성 조류 분포·이동경로도 및 보호대책" 문화재청 29-, 1998

      9 환경부,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10 박종길, "야생조류 필드가이드" 자연과 생태 448-, 2014

      1 한국조류학회, "한국조류목록 Checklist of the Birds of Korea" 133-, 2009

      2 송세규, "한국 특정도서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2

      3 기상청,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4" 31-, 2014

      4 환경부, "특정도서보전기본계획(안)"

      5 환경부, "특정도서 지정현황"

      6 김성현, "칠산도 일대에 도래하는 멸종위기종 노랑부리백로(Egretta eulophotes)의 번식생태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6

      7 김인규, "천연기념물 제 389호 영광 칠산도의 괭이갈매기, 노랑부리백로 및 저어새 번식지 모니터링 보고서" 문화재청 37-68, 2006

      8 문화재관리국, "천연기념물 이동성 조류 분포·이동경로도 및 보호대책" 문화재청 29-, 1998

      9 환경부,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10 박종길, "야생조류 필드가이드" 자연과 생태 448-, 2014

      11 남정호, "무인도서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기본 정책방향"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8 (8): 227-235, 2005

      12 황보연, "멸종위기종인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생태 및 집단 유전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13 김우열, "광주시 도시림에서 조류의 다양성과 산림면적 및 인접거리와의 상관관계"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9

      14 Park, C. R.,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composition and area in breeding birds of urban woods in Seoul, Korea" 51 : 29-36, 2000

      15 Natuhara, Y., "Prediction of species richness of breeding birds by landscape-level factors of urban woods in Osaka Prefecture" 8 : 239-253, 1999

      16 "IUCN Red List"

      17 Lin, Y. P., "Geostatistical Approaches and Optimal Additional Sampling Schemes for Spatial Patterns and Future Sampling of Bird Diversity" 17 : 175-188, 2008

      18 Devictor, V., "Functional Homogenization Effect of Urbanization on Bird Communities" 21 : 741-751, 2007

      19 Scott J, Michal., "Forest Bird Communities of the Hawaiian Islands" (9) : 431-, 1986

      20 Louise Waterhouse F.,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Birds Relative to Elevation and Biogeoclimatic Zones in Coastal Old-growth Forests in Southern British Columbia, B. C" 2 (2): 1-13, 2002

      21 Anonymous, "Asia-pacific Migratory Waterbird Conservation Strategy, 1996-2000" International Waterfowl and Wetlands Reasearch Bureau-Japan Comittee 4-9, 1996

      22 국립공원연구원, "2011 국립공원 조류조사․ 연구 결과 보고서"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4-9, 2011

      23 김인규, "2003년 중점관리 천연기념물 조류서식지 모니터링 결과보고서 ( 제 3장 천연기념물 제 389호 영광 칠산도의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 및 저어새 번식지)" 문화재청 67-87, 2004

      24 국립공원연구원, "012~2013 국립공원 조류조사․ 연구 보고서"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13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