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5년 7-8월에 관측한 북동태평양 $131.5^{\circ}W$의 해수특성 및 해양구조 = Hydrographic Structure Along $131.5^{\circ}W$ in the Northeastern Pacific in July-August 200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62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북동태평양 열대 해양의 해수특성과 해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5년 7-8월에 $131.5^{\circ}W$ 관측선에서 관측한 CTD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적도 부근 태평양의 해수특성을 전반적으로 이...

      북동태평양 열대 해양의 해수특성과 해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5년 7-8월에 $131.5^{\circ}W$ 관측선에서 관측한 CTD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적도 부근 태평양의 해수특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서태평양 $137^{\circ}-142^{\circ}E$에서의 CTD 자료도 분석하여 동태평양의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여름철 동태평양의 표층수온은 적도반류 해역에서 가장 높았다. 이것은 $28^{\circ}C$ 이상의 고온수가 봄과 여름철에 적도반류를 타고 서태평양으로부터 동태평양으로 이동하여 약 $4^{\circ}-15^{\circ}N$ 사이에서 동서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북적도해류의 표층에 나타나는 저염분 고용존산소의 해수는 동태평양의 파나마만으로부터 서태평양의 필리핀 부근까지 이동하는 저염분수 때문이다. 반면 남적도해류의 표층에 고염분과 저용존산소의 해수가 분포하는 것은 남태평양 아열대 기원의 고염분수가 적도를 넘어 남적도해류 표층의 열대해수(Tropical Water)와 심층의 고염분수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심 약 500-1500 m 사이의 중층에서는 염분최소층이 분포하는데, $5^{\circ}N$ 이남은 남극중층수(AAIW) 기원의 해수가, $5^{\circ}N$ 이북은 북태평양중층수(NPIW) 기원의 해수가 분포한다. $4^{\circ}-6^{\circ}N$ 해역에서는 직경 약 200 km이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냉수성 소용돌이(cold eddy)가 관측되었다. 서태평양에 비해 동태평양에서 표층수온은 $1^{\circ}C$ 이상 낮았으며 표층염분은 높았다. 적도 부근의 표층 아래에 분포하는 고염분수는 동태평양에서 상대적으로 저염분(약 0.5 psu) 이었고, $14^{\circ}N$ 이남에서 염분최소층의 염분과 밀도는 동태평양에서 높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investigate hydrographic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opical ocean i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Pacific, CTD(Conductivity-Temperature-Depth) data along $131^{\circ}W$ and $137^{\circ}-142^{\circ}E$ in July-August 2005 were analyzed. Sea...

      To investigate hydrographic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opical ocean i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Pacific, CTD(Conductivity-Temperature-Depth) data along $131^{\circ}W$ and $137^{\circ}-142^{\circ}E$ in July-August 2005 were analyzed. Sea surface temperature along $131.5^{\circ}W$ in summer is highest in the Equatorial Counter Current(ECC) because of the high-temperature water greater than $28^{\circ}C$ moving through the ECC from the western Pacific to the eastern Pacific in spring and summer. Based on the evidence of the presence of low salinity and high dissolved oxygen water in the North Equatorial Current(NEC), we suggested that the low salinity water moved from the Gulf of Panama to the east of Philippine along the North Equatorial Current(NEC). The South Equatorial Current(SEC) had the most saline water from surface to deep layer because the saline water from the Subtropical South Pacific Ocean moved to the north. The salinity minimum layer was observed at 500-1500 m depth along $131.5^{\circ}W$. The water mass with the salinity minimum layer in the north of $5^{\circ}N$ came from the North Pacific Intermediate Water(NPIW) and that in the south of $5^{\circ}N$ came from the Antarctic Intermediate Water(AAIW), which was more saline than the NPIW. Cyclonic cold eddy with a diameter of about 200km was found in $4-6^{\circ}N$. Sea surface temperature along $131.5^{\circ}W$ in the eastern Pacific was lower than along $137^{\circ}-142^{\circ}E$ in the western Pacific; on the other hand, sea surface salinity in the eastern Pacific was higher than in the western Pacific. Subsurface saline water from the Subtropical South Pacific Ocean was less saline in the eastern Pacific than in the western Pacific. Salinity and density(${\sigma}_{\theta}$) of the salinity minimum layer south of $14^{\circ}N$ was higher in the eastern Pacific than in the western Pacific.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