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동태평양 발산대 해역($7^{\circ}{\sim}10.5^{\circ}N$)의 무기영양염 분포와 재무기질화 비율 = Distribution and Remineralization Ratio of Inorganic Nutrients in the Divergence Zone($7^{\circ}{\sim}10.5^{\circ}N$), Northeastern Pacif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62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3년 7월, 2005년 8월 그리고 2007년 7월에 북동태평양의 발산대 해역($7^{\circ}{\sim}10.5^{\circ}N$)에서 무기영양염 분포와 재무기질화 비율 연구를 위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북적도 반류와 북적도 해류의 경계에서 형성되는 발산대는 라니냐 현상이 있었던 2007년 7월에 북위 $10^{\circ}N$에 위치하였으며, 용승 현상이 강하게 일어났다. 빈영양 환경의 특성을 갖는 표면 혼합층의 깊이는 2003년에 평균 46 m, 2005년에 평균 61 m 그리고 2007년에 평균 30 m 이었고, 표면 혼합층 이하에서는 용존산소 소모와 더불어 무기영양염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영양염약층이 형성됐다. 상층(수심 $0{\sim}100m$)에서 아질산염을 포함한 질산염의 총량은 2003년에 $5.51{\sim}21.71gN/m^2$(평균 $12.82gN/m^2$)의 범위를 나타냈고, 2005년에는 $5.62{\sim}8.46gN/m^2$(평균 $7.15gN/m^2$)의 범위를 그리고 2007년에는 $8.98~27.80 gN/m2$(평균 21.12 gN/m2)의 범위로 발산대가 형성된 지점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인산염 총량과 규산염 총량 또한 아질산염을 포함한 질산염 총량 분포와 유사하였으며, 상층에서 파악된 아질산염을 포함한 질산염 총량에 대한 규산염 총량의 비율은 $0.87{\pm}0.11$ 이었다. 연구 해역에서 식물 플랑크톤 성장을 제한하는 무기영양염은 질소계 영양염으로(N/P ratio=14.6), 북적도 반류 지역에 비해 북적도 해류 지역에서 보다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 규산염 또한 낮은 농도로 존재하여 규소 제한 환경을 이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재무기질화 비율은 $P/N/-O_2=1/14.6{\pm}1.1/100.4{\pm}8.8(23.44{\leq}Sigma-{\theta}{\leq}26.38)$로 Redfield stoichiometry($P/N/-O_2=1/16/138$) 보다는 낮았지만, 연구 해역 표층에서 재무기질화 과정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였다.
      번역하기

      2003년 7월, 2005년 8월 그리고 2007년 7월에 북동태평양의 발산대 해역($7^{\circ}{\sim}10.5^{\circ}N$)에서 무기영양염 분포와 재무기질화 비율 연구를 위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북적도 반류와 북적도 ...

      2003년 7월, 2005년 8월 그리고 2007년 7월에 북동태평양의 발산대 해역($7^{\circ}{\sim}10.5^{\circ}N$)에서 무기영양염 분포와 재무기질화 비율 연구를 위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북적도 반류와 북적도 해류의 경계에서 형성되는 발산대는 라니냐 현상이 있었던 2007년 7월에 북위 $10^{\circ}N$에 위치하였으며, 용승 현상이 강하게 일어났다. 빈영양 환경의 특성을 갖는 표면 혼합층의 깊이는 2003년에 평균 46 m, 2005년에 평균 61 m 그리고 2007년에 평균 30 m 이었고, 표면 혼합층 이하에서는 용존산소 소모와 더불어 무기영양염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영양염약층이 형성됐다. 상층(수심 $0{\sim}100m$)에서 아질산염을 포함한 질산염의 총량은 2003년에 $5.51{\sim}21.71gN/m^2$(평균 $12.82gN/m^2$)의 범위를 나타냈고, 2005년에는 $5.62{\sim}8.46gN/m^2$(평균 $7.15gN/m^2$)의 범위를 그리고 2007년에는 $8.98~27.80 gN/m2$(평균 21.12 gN/m2)의 범위로 발산대가 형성된 지점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인산염 총량과 규산염 총량 또한 아질산염을 포함한 질산염 총량 분포와 유사하였으며, 상층에서 파악된 아질산염을 포함한 질산염 총량에 대한 규산염 총량의 비율은 $0.87{\pm}0.11$ 이었다. 연구 해역에서 식물 플랑크톤 성장을 제한하는 무기영양염은 질소계 영양염으로(N/P ratio=14.6), 북적도 반류 지역에 비해 북적도 해류 지역에서 보다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 규산염 또한 낮은 농도로 존재하여 규소 제한 환경을 이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재무기질화 비율은 $P/N/-O_2=1/14.6{\pm}1.1/100.4{\pm}8.8(23.44{\leq}Sigma-{\theta}{\leq}26.38)$로 Redfield stoichiometry($P/N/-O_2=1/16/138$) 보다는 낮았지만, 연구 해역 표층에서 재무기질화 과정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stribution of inorganic nutrients and their remineralization ratio in the divergence zone ($7^{\circ}{\sim}10.5^{\circ}N$) of the northeastern Pacific were investigated from July 2003 to July 2007. A divergence zone along the boundary of the North Equatorial Counter Current (NECC) and North Equatorial Current (NEC) at $10^{\circ}N$ was observed in July 2007 when the La Nina event and divergence-related upwelling was strong. The mean depth of oligotrophic surface mixed layer in the divergence zone was 46, 61, and 30 m in July 2003, August 2005, and July 2007, respectively. Below the surface mixed layer, a nutricline was clearly observed. The depth integrated value of nitrate including nitrite (DIVn) in the upper layer($0{\sim}100$ m depth) ranged from 5.51 to 21.71 $gN/m^2$(mean 12.82 $gN/m^2$) in July 2003, from 5.62 to 8.46 $gN/m^2$ (mean 7.15 $gN/m^2$) in August 2005, and from 8.98 to 27.80 $gN/m^2$(mean 21.12 $gN/m^2$) in July 2007. The maximum DIVn was observed at the divergence zone. The distributions of phosphate(DIVp) and silicate(DIVsi) were similar to that of DIVn and the DIVn/DIVsi ratio was $0.87{\pm}0.11$ in the upper layer. The limiting nutrient for phytoplankton growth in the study area was identified as nitrogen(N/P ratio=14.6). The nitrate (including nitrite) concentrations were lower in the region mainly affected by NEC than in the region affected by NECC. The study area of low silicate concentrations was also considered to be Si-limiting environment. The remineralization ratios of nutrients were $P/N/-O_2=1/14.6{\pm}1.1/100.4{\pm}8.8(23.44{\leq}Sigma-{\theta}{\leq}26.38)$ in the study area. These ratios suggested remineralization process in the surface layer of divergence zone.
      번역하기

      The distribution of inorganic nutrients and their remineralization ratio in the divergence zone ($7^{\circ}{\sim}10.5^{\circ}N$) of the northeastern Pacific were investigated from July 2003 to July 2007. A divergence zone along the boundary of the Nor...

      The distribution of inorganic nutrients and their remineralization ratio in the divergence zone ($7^{\circ}{\sim}10.5^{\circ}N$) of the northeastern Pacific were investigated from July 2003 to July 2007. A divergence zone along the boundary of the North Equatorial Counter Current (NECC) and North Equatorial Current (NEC) at $10^{\circ}N$ was observed in July 2007 when the La Nina event and divergence-related upwelling was strong. The mean depth of oligotrophic surface mixed layer in the divergence zone was 46, 61, and 30 m in July 2003, August 2005, and July 2007, respectively. Below the surface mixed layer, a nutricline was clearly observed. The depth integrated value of nitrate including nitrite (DIVn) in the upper layer($0{\sim}100$ m depth) ranged from 5.51 to 21.71 $gN/m^2$(mean 12.82 $gN/m^2$) in July 2003, from 5.62 to 8.46 $gN/m^2$ (mean 7.15 $gN/m^2$) in August 2005, and from 8.98 to 27.80 $gN/m^2$(mean 21.12 $gN/m^2$) in July 2007. The maximum DIVn was observed at the divergence zone. The distributions of phosphate(DIVp) and silicate(DIVsi) were similar to that of DIVn and the DIVn/DIVsi ratio was $0.87{\pm}0.11$ in the upper layer. The limiting nutrient for phytoplankton growth in the study area was identified as nitrogen(N/P ratio=14.6). The nitrate (including nitrite) concentrations were lower in the region mainly affected by NEC than in the region affected by NECC. The study area of low silicate concentrations was also considered to be Si-limiting environment. The remineralization ratios of nutrients were $P/N/-O_2=1/14.6{\pm}1.1/100.4{\pm}8.8(23.44{\leq}Sigma-{\theta}{\leq}26.38)$ in the study area. These ratios suggested remineralization process in the surface layer of divergence zon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