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명수, "충렬왕대 怯憐口(怯怜口) 출신 관원 - 몽골-고려 통혼관계의 한 단면 -" 한국사학회 (118) : 233-270, 2015
2 권순형, "원 공주 출신 왕비의 정치권력 연구-충렬왕비 제국대장공주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77) : 33-63, 2005
3 설배환, "몽골제국에서 황실 여성의 位相 변화" 역사학회 (228) : 317-350, 2015
4 이명미, "고려에 下嫁해 온 몽골공주들의 정치적 위치와 고려-몽골 관계: 齊國大長公主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소 (54) : 33-69, 2017
5 정용숙, "고려시대의 후비" 민음사 1992
6 김광철, "고려 충선왕의 현실인식과 대원활동-충렬왕24년 수선이전을 중심으로" 11 : 1986
7 이익주, "고려 충렬왕대의정치상황과 정치세력의 성격" 서울대국사학과 18 : 1988
8 김현라, "고려 忠烈王代의 麗․元關係의 형성과 그 특징" 부경역사연구소 (24) : 195-224, 2009
9 이정란, "忠烈王妃 齊國大長公主의 冊封과 그 의미"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8) : 117-154, 2012
10 김현라, "【연구논문】 고려 충렬왕비 齊國大長公主의 위상과 역할" 부경역사연구소 (23) : 71-100, 2008
1 고명수, "충렬왕대 怯憐口(怯怜口) 출신 관원 - 몽골-고려 통혼관계의 한 단면 -" 한국사학회 (118) : 233-270, 2015
2 권순형, "원 공주 출신 왕비의 정치권력 연구-충렬왕비 제국대장공주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77) : 33-63, 2005
3 설배환, "몽골제국에서 황실 여성의 位相 변화" 역사학회 (228) : 317-350, 2015
4 이명미, "고려에 下嫁해 온 몽골공주들의 정치적 위치와 고려-몽골 관계: 齊國大長公主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소 (54) : 33-69, 2017
5 정용숙, "고려시대의 후비" 민음사 1992
6 김광철, "고려 충선왕의 현실인식과 대원활동-충렬왕24년 수선이전을 중심으로" 11 : 1986
7 이익주, "고려 충렬왕대의정치상황과 정치세력의 성격" 서울대국사학과 18 : 1988
8 김현라, "고려 忠烈王代의 麗․元關係의 형성과 그 특징" 부경역사연구소 (24) : 195-224, 2009
9 이정란, "忠烈王妃 齊國大長公主의 冊封과 그 의미"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8) : 117-154, 2012
10 김현라, "【연구논문】 고려 충렬왕비 齊國大長公主의 위상과 역할" 부경역사연구소 (23) : 71-100, 2008
11 이익주, "14세기 민의 동향과 ‘개혁정치’ 충선왕 즉위년(1298) ‘개혁정치’의 성격" 7 : 1992
12 설배환, "13~14세기 카안의 부엌과 몽골 風味의 지속과 변화" 한국몽골학회 (49) : 1-48,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