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대만-일본의 삼각관계의 동학을 3개 시기로 구분해 연차적으로 분석해나갈 계획이다. 우선 각 공동연구원이 한국-대만-일본 삼각 관계를 구성하는 한국-대만, 일본-대만, 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5044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대만-일본의 삼각관계의 동학을 3개 시기로 구분해 연차적으로 분석해나갈 계획이다. 우선 각 공동연구원이 한국-대만-일본 삼각 관계를 구성하는 한국-대만, 일본-대만, 한...
본 연구는 한국-대만-일본의 삼각관계의 동학을 3개 시기로 구분해 연차적으로 분석해나갈 계획이다. 우선 각 공동연구원이 한국-대만-일본 삼각 관계를 구성하는 한국-대만, 일본-대만, 한국-일본 관계를 지역적 맥락을 염두에 두면서 분담 연구하면서, 이를 정기 연구회의와 학술회의를 통해 남방 삼각관계의 문맥에서 아우르고 동북아시아 지역주의의 전개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할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차별 연구계획은 이하와 같다.
<1차년도>
한국-대만-일본 삼각관계의 형성 및 공고화: 2차 세계대전 종전~1960년대 말
1.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한국-대만-일본 관계
2. 한국과 대만, 일본의 지역안보 구상
3. 한국전쟁과 대만, 일본
4. 미국을 중심으로 한 안보조약의 성립과 미국의 지역통합구상
5. 한국 및 일본의 대중국 정책과 대만
6. 5·16 쿠데타와 대만, 일본
7. 한일국교정상화 교섭과 대만의 역할
8. 미국의 지역통합전략에 대한 한국, 일본, 대만의 대응
9. 청구권 문제를 둘러싼 일본-한국, 일본-대만 관계의 비교 연구
<2차년도>
한국-대만-일본 삼각관계의 변용: 1960년대말~1980년대
1. 미중화해와 한국-대만-일본 삼각관계
2. 중일 국교정상화와 한국, 대만
3. 베트남 전쟁과 한국, 대만, 일본
4. 한국의 화교정책과 한국-대만 관계
5. 남북대화(7·4공동성명) 및 한국의 대공산권 외교와 대만
6. 중화민국의 유엔 축출과 한국, 일본
7. 일본의 아시아 지역주의 논의와 한국, 대만 요인
8. 주한미군 및 주대만 미군의 삭감과 한국-대만-일본 관계
9. 한국 및 대만의 산업화와 일본 요인
<3차년도>
한국-대만-일본 삼각관계의 재조정: 탈냉전기
1. 한국-대만 단교와 일본-대만 단교의 비교연구
2. 탈냉전 이후 양안관계와 남북관계
3. 중국의 부상과 한국-대만-일본 관계
4. 경제발전·민주화 과정에서 한국·대만의 유사점과 차이점
5. 일본의 동북아시아 정책과 일본-대만 관계
6. 한국-대만-일본의 소프트파워 연구
7.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과 대만의 대응
8. 미중 관계와 한국-대만-일본
9. 한중 수교와 대만-북한 관계
<매년 공통과제>
동북아시아 지역주의 전개와 한국-대만-일본 관계
본 연구는 한국-대만-일본 삼각관계에 대한 연구를 각 공동연구원이 분담해 연차적으로 진행하면서, 동시에 이를 동북아시아 지역주의의 전개라는 문맥에서 재검토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팀은 1차년도에는 한국에서, 2차년도에는 대만에서, 3차년도에는 일본에서 각각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는 특히 각 공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평가하고 이를 동북아시아 지역사의 차원에서 재해석하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대만, 대만-일본, 한국-일본 관계가 상호 긴밀히 연동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진행되는 만큼, 각각의 연구성과를 동북아시아 지역사의 차원에서 재구성하는 작업이 무엇보다 긴요하다. 이 작업은 본 연구팀의 연차별 연구결과를 총괄하는 일이며, 따라서 모든 공동연구원의 임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