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해 친경 · 친잠과 김수장 시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188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how Kim Sujang Gagok which celebrated Chingyeon g?Chinjam procedure was created on ChungHae year (1767). It largely consists of four main parts.
      First, it studied Chingyeong procedure which was arranged by the King on 26 February 1767. Chingyeong procedure was performed at the East Jeokjeon (this area is now Jeonnong-dong).
      Second, it also studied Chinjam procedure which was arranged by the Queen on 10 March 1767. Chinjam procedure was performed at the old ruins of Gyeongbok Palace.
      Third, Kim Sujang created the celebrated Gagok on 9 March, the day before Chinjam procedure. It tells that he certainly recognized Chinzamryae was contained within Chingyeongryae.
      Finally, While Kim Sujang served as a Seoli of Byeongjo and then got an additional office and a practical office for old man, he got involved in Chingyeong·Chinjam procedure on ChungHae year. And consequently, it seems that he created those celebrated Sijo.
      번역하기

      This study is focused on how Kim Sujang Gagok which celebrated Chingyeon g?Chinjam procedure was created on ChungHae year (1767). It largely consists of four main parts. First, it studied Chingyeong procedure which was arranged by the King on 26 Fe...

      This study is focused on how Kim Sujang Gagok which celebrated Chingyeon g?Chinjam procedure was created on ChungHae year (1767). It largely consists of four main parts.
      First, it studied Chingyeong procedure which was arranged by the King on 26 February 1767. Chingyeong procedure was performed at the East Jeokjeon (this area is now Jeonnong-dong).
      Second, it also studied Chinjam procedure which was arranged by the Queen on 10 March 1767. Chinjam procedure was performed at the old ruins of Gyeongbok Palace.
      Third, Kim Sujang created the celebrated Gagok on 9 March, the day before Chinjam procedure. It tells that he certainly recognized Chinzamryae was contained within Chingyeongryae.
      Finally, While Kim Sujang served as a Seoli of Byeongjo and then got an additional office and a practical office for old man, he got involved in Chingyeong·Chinjam procedure on ChungHae year. And consequently, it seems that he created those celebrated Sij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지아, "老歌齋 金壽長의 세계인식과 시적지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2 "해동가요"

      3 김지영, "친경의궤" 10-11, 2001

      4 "증보문헌비고"

      5 허선혜, "조선시대 궁원 내 친잠(親蠶)문화의 배경과 공간적 특징" 한국전통조경학회 30 (30): 12-20, 2012

      6 임혜련, "조선 영조대 親蠶禮 시행과 의의-1767년(英祖 43) '정해친잠'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5) : 112-135, 2011

      7 김문식,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62-, 2011

      8 신경숙, "영조조 친경례와 악장" 우리문학회 (41) : 43-71, 2014

      9 "악학궤범"

      10 "승정원일기"

      1 윤지아, "老歌齋 金壽長의 세계인식과 시적지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2 "해동가요"

      3 김지영, "친경의궤" 10-11, 2001

      4 "증보문헌비고"

      5 허선혜, "조선시대 궁원 내 친잠(親蠶)문화의 배경과 공간적 특징" 한국전통조경학회 30 (30): 12-20, 2012

      6 임혜련, "조선 영조대 親蠶禮 시행과 의의-1767년(英祖 43) '정해친잠'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5) : 112-135, 2011

      7 김문식,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62-, 2011

      8 신경숙, "영조조 친경례와 악장" 우리문학회 (41) : 43-71, 2014

      9 "악학궤범"

      10 "승정원일기"

      11 "성종실록"

      12 "병와가곡집"

      13 한형주, "밭가는 영조와 누에치는 정순왕후" 한국한중앙연구원출판부 99-, 2013

      14 최재남, "박효관의 필운대 풍류와 이유원의 역할" 한국시가학회 36 : 175-205, 2014

      15 "국조악장"

      16 이혜구, "국역 악학궤범 Ⅰ" 민족문화추진회 1983

      17 장정미, "英祖의 慶熙宮 移御와 王室 儀禮의 공간적 의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18 임혜련, "朝鮮 肅宗妃 仁元王后의 嘉禮와 정치적 역할"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3) : 229-263, 2010

      19 강재헌, "≪海東歌謠≫ 所載 金壽長 自作 時調 排列 意圖" 어문연구학회 55 : 73-95, 2007

      20 윤정, "18세기 景福宮 遺址의 행사와 의례 -영조대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소 (25) : 191-225, 2005

      21 박소동, "(신편 국역)친경․친잠의궤" 한국학술정보 2006

      22 "(기축)진찬의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5 1.04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