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지아, "老歌齋 金壽長의 세계인식과 시적지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2 "해동가요"
3 김지영, "친경의궤" 10-11, 2001
4 "증보문헌비고"
5 허선혜, "조선시대 궁원 내 친잠(親蠶)문화의 배경과 공간적 특징" 한국전통조경학회 30 (30): 12-20, 2012
6 임혜련, "조선 영조대 親蠶禮 시행과 의의-1767년(英祖 43) '정해친잠'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5) : 112-135, 2011
7 김문식,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62-, 2011
8 신경숙, "영조조 친경례와 악장" 우리문학회 (41) : 43-71, 2014
9 "악학궤범"
10 "승정원일기"
1 윤지아, "老歌齋 金壽長의 세계인식과 시적지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2 "해동가요"
3 김지영, "친경의궤" 10-11, 2001
4 "증보문헌비고"
5 허선혜, "조선시대 궁원 내 친잠(親蠶)문화의 배경과 공간적 특징" 한국전통조경학회 30 (30): 12-20, 2012
6 임혜련, "조선 영조대 親蠶禮 시행과 의의-1767년(英祖 43) '정해친잠'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5) : 112-135, 2011
7 김문식,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62-, 2011
8 신경숙, "영조조 친경례와 악장" 우리문학회 (41) : 43-71, 2014
9 "악학궤범"
10 "승정원일기"
11 "성종실록"
12 "병와가곡집"
13 한형주, "밭가는 영조와 누에치는 정순왕후" 한국한중앙연구원출판부 99-, 2013
14 최재남, "박효관의 필운대 풍류와 이유원의 역할" 한국시가학회 36 : 175-205, 2014
15 "국조악장"
16 이혜구, "국역 악학궤범 Ⅰ" 민족문화추진회 1983
17 장정미, "英祖의 慶熙宮 移御와 王室 儀禮의 공간적 의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18 임혜련, "朝鮮 肅宗妃 仁元王后의 嘉禮와 정치적 역할"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3) : 229-263, 2010
19 강재헌, "≪海東歌謠≫ 所載 金壽長 自作 時調 排列 意圖" 어문연구학회 55 : 73-95, 2007
20 윤정, "18세기 景福宮 遺址의 행사와 의례 -영조대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소 (25) : 191-225, 2005
21 박소동, "(신편 국역)친경․친잠의궤" 한국학술정보 2006
22 "(기축)진찬의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