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일 비교의 관점에 근거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도학습의 특징 = 韓日比較の観点に基づく2022改訂社会科教育課程の 地図学習の特徴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일 비교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도학습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일본의 2017 개정 소학교 사회...

      본 연구의 목적은 한일 비교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도학습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일본의 2017 개정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과 우리나라의 2022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도학습의 내용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의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양국 모두 지도학습의 지역적 범위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도학습에는 학습자의 생활권을 중심으로 환경확대법이 탄력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두 번째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는 우리나라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지도학습이 약화 되었다. 세 번째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도학습은 객관성과 주관성이 동시에 고려되었다. 네 번째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도학습에는 디지털 영상 지도와 디지털 영상 지구본과 같은 디지털 공간 영상 정보의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研究の目的は、韓日比較の観点から韓国の2022改訂社会科教育課程に現れた地図学習の特徴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研究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本研究は日本の2017改訂小学校社会科...

      本研究の目的は、韓日比較の観点から韓国の2022改訂社会科教育課程に現れた地図学習の特徴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研究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本研究は日本の2017改訂小学校社会科学習指導要領と韓国の2022改訂初等学校社会科教育課程に現れた地図学習の内容を比較及び分析した。分析結果は次の4つにまとめることができる。まず、両国とも地図学習の地域的範囲を弾力的に運営しているが、2022改訂社会科教育課程の地図学習には学習者の生活圏を中心に環境拡大法が弾力的に適用されている。第二に、2022年改訂社会科教育過程には、韓国の領域を対象とする地図学習が弱まった。第三に、2022年改訂社会科教育課程の地図学習は、客観性と主観性が同時に考慮された。第4に、2022改訂社会科教育課程の地図学習には、デジタル映像地図とデジタル映像地球儀のようなデジタル空間映像情報の活用が強調されている。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ap learning in Korea's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Japan compariso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map learning presented in Japan's 2017 revised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guidelines and Korea's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results can be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First, although both countries operate with flexible regional scopes for map learning, the expanding environments approach is flexibly applied to map learning in the 2022 revised Korean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the learners' living areas. Second, map learning targeting Korean territory has been weakened in the 2022 revised Korean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Third, both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were considered in the map learning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urth, the use of digital spatial image information such as digital image maps and digital image globe models is emphasized in the map learning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일본의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에 나타난 지도학습
      • Ⅲ. 우리나라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도학습
      • Ⅳ. 국제 비교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초등학교 지도학습의 특징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일본의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에 나타난 지도학습
      • Ⅲ. 우리나라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도학습
      • Ⅳ. 국제 비교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초등학교 지도학습의 특징
      • Ⅴ. 결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