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리교과서의 내용 구성 방식에 따른 지명 사용의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escription of Geographical Names in Geography Textbooks based on Contents Constr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54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명에 대한 학습이 단순한 지식전달과 사실적 정보의 나열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극복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역적 접근에서 주제적 접근으로 변화되...

      이 연구는 지명에 대한 학습이 단순한 지식전달과 사실적 정보의 나열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극복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역적 접근에서 주제적 접근으로 변화되고 있는 교육과정에 따라 기술된 교과서에서 ‘제주’ 단원을 비교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명이 교과서의 맥락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문 텍스트 뿐 아니라 지도나 탐구활동에 사용된 지명에 대해 질적 분석을 도입하였다. 분석 결과, 지명은 지역지리적 서술방식의 교과서에서는 지리학적 지명이 많이 사용되었고, ‘다름’과 ‘특별함’을 서술하는 내용과 관련하여 주로 언급되었다. 주제적 접근방식의 교과서에서는 행정지명이 많이 사용되었고 본문보다 지도, 탐구활동 자료에서 지명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적 접근, 주제적 접근에서의 지명사용에 관한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고, 지명을 맥락적 사고의 매개체로 활용하기 위한 아이디어와 함의를 도출할 필요를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ossible solution to overcome the criticisms levelled at the learning of geographical names, which has long been stigmatized as conveying simple knowledge or practicing rote memory. In this study, a comparativ...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ossible solution to overcome the criticisms levelled at the learning of geographical names, which has long been stigmatized as conveying simple knowledge or practicing rote memory. In this study, a comparative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description of place name ‘Jeju’ in the actual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accordingly by eac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where the thematic approach has been substituted for regional approach recently. We explored the difference of the way of describing place names in the junior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s. In particular, three sections of the text, maps, and course activities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Results show that in the regional approach textbook geographical names are much more used than other types of place names and described to emphasize ‘difference’ and ‘specialty’. On the other hand, administrative place names are more often used and place names are much more exposed in maps and activity materials than text in thematic approach textbook.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eed for overcoming the dichotomy of regional approach and thematic approach in relation to geographical names and utilizing place names as media of contextual thinking ari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승희, "초등 지리교육에 적합한 위치 학습의 내용과 방법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21-236, 2010

      2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2: Software and Qualitative Analysis" 아카데미프레스 2008

      3 조성욱, "지역인식과 지명의 역할" 48 : 208-221, 2004

      4 김다원, "지역 이해를 위한 위치 지식과 위치 학습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6 (16): 145-162, 2008

      5 곽재용, "지역 교육 자료 구축을 위한 경상남도 지명의 언어지리학적 연구 방법" 한국지명학회 13 : 5-46, 2007

      6 지상현, "지명의 정치지리학: 행정구역개편으로 인한 시 명칭 결정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8 (18): 310-325, 2012

      7 김순배, "지명의 유형 분류와 관리 방안" 대한지리학회 45 (45): 201-220, 2010

      8 권선정, "지명의 사회적 구성 - 과거 懷德縣의 宋村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 38 (38): 167-182, 2004

      9 국토지리정보원, "지명 표준화 편람" 2012

      10 김남신, "지명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웹지도화 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 16 (16): 428-439, 2010

      1 심승희, "초등 지리교육에 적합한 위치 학습의 내용과 방법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21-236, 2010

      2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2: Software and Qualitative Analysis" 아카데미프레스 2008

      3 조성욱, "지역인식과 지명의 역할" 48 : 208-221, 2004

      4 김다원, "지역 이해를 위한 위치 지식과 위치 학습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6 (16): 145-162, 2008

      5 곽재용, "지역 교육 자료 구축을 위한 경상남도 지명의 언어지리학적 연구 방법" 한국지명학회 13 : 5-46, 2007

      6 지상현, "지명의 정치지리학: 행정구역개편으로 인한 시 명칭 결정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8 (18): 310-325, 2012

      7 김순배, "지명의 유형 분류와 관리 방안" 대한지리학회 45 (45): 201-220, 2010

      8 권선정, "지명의 사회적 구성 - 과거 懷德縣의 宋村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 38 (38): 167-182, 2004

      9 국토지리정보원, "지명 표준화 편람" 2012

      10 김남신, "지명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웹지도화 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 16 (16): 428-439, 2010

      11 윤옥경, "지리교육에서 해양지명의 학습 방안과 의의" 7 (7): 55-64, 2007

      12 장의선, "지리과 내용 요소로서 '지명'의 의미 탐색과 교수-학습의 실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227-246, 2004

      13 전보애, "중학생의 영토정체성에 관한 연구 -스케치맵에 나타난 영토, 국경, 이웃한 나라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대한지리학회 47 (47): 899-920, 2012

      14 주성재, "유엔의 지명 논의와 지리학적 지명연구에의 시사점" 대한지리학회 46 (46): 442-464, 2011

      15 김다원, "위치 인지와 지역 인지간의 관련성 연구" 49 : 13-22, 2005

      16 심승희, "영국의 2014 개정 지리교육과정의 특징과 그 시사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17-31, 2013

      17 심정보,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 지명교육의 현상과 필수지명의 선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5 (15): 125-140, 2007

      18 정장호, "국민학교 교과서의 지명에 관한 연구" 25 : 1-22, 1995

      19 김선희, "『五萬分一地形圖』에 나타난 20세기 초 한반도의 지명 분포와 특성" 대한지리학회 43 (43): 87-103, 2008

      20 "UNGEGN-ICA webcourse on Toponymy"

      21 Ormeling, F., "Sea names categories and their implications" 44 : 54-61, 2000

      22 Cohen, S. B., "Place-names in Israel’s Ideological struggle over the administered territories" 82 (82): 653-680, 1992

      23 Helgren, D. M., "Place name ignorance is national news" 82 (82): 176-178, 1983

      24 Vogeler, I., "Place Names : Making the basics of geography, fun to learn" 87 (87): 96-99, 1988

      25 Rose-Redwood, R., "Geographies of toponymic inscription:new directions in critical place-name studies" 34 (34): 453-470, 2010

      26 Stoltman, J., "Geographical Naming and Geographic Education" The Society for East Sea 2011

      27 Krippendorff, K.,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 Publication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1 1.112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