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국어교과서 단원 구성 체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해학습-적용학습’을 중심으로 - = A critical study on the unit-organization-system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45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eather the unit-organizationsystem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s is appropriate or not. The units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s have been organized by ‘understanding-appling system’ for a long time. This system has many problems : In the level of educational objectives, it neglects affective ability and it can't deal with analyzing ability, evaluating ability and creating ability. So this system can't realize student's subjectivity in language activ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good humanity. In the level of achievement standards, this system can't treat those achievement standards which need practices in daily life, diversified according to individuals, have endless sub-elements, and include principles of language activities. In the level of teaching models, this system is lack of harmony with 8 teaching models except direct instruction model. There are three methods to solve these problems : diversifying the unit-organization-system, utilizing small corners or devices, and removing the format of any organizing syst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eather the unit-organizationsystem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s is appropriate or not. The units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s have been organized by ‘understanding-appling system’ for a long time.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eather the unit-organizationsystem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s is appropriate or not. The units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s have been organized by ‘understanding-appling system’ for a long time. This system has many problems : In the level of educational objectives, it neglects affective ability and it can't deal with analyzing ability, evaluating ability and creating ability. So this system can't realize student's subjectivity in language activ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good humanity. In the level of achievement standards, this system can't treat those achievement standards which need practices in daily life, diversified according to individuals, have endless sub-elements, and include principles of language activities. In the level of teaching models, this system is lack of harmony with 8 teaching models except direct instruction model. There are three methods to solve these problems : diversifying the unit-organization-system, utilizing small corners or devices, and removing the format of any organizing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초등 국어교과서의 단원은 오래 전부터 ‘이해학습-적용학습’ 체제로 구성되어왔는데, 그 바탕에는 객관주의적 인식론과 교사 중심의 교육관이 깔려 있다. 이체제는 교육목표 차원에서 우선 정의적 능력을 도외시하며, 인지적 영역에서도분석, 평가, 창안 등을 다루지 못한다. 이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지향인 주체적인국어생활, 창의적인 사고력, 올바른 인성과 상충되는 문제를 낳는다. 성취기준 차원에서는 상당수가 이 체제와 잘 호응하지만, 일상에서의 실천이 필요한 것, 개인편차가 강한 것, 항목의 개수가 열려 있는 것, 일반 원리로서의 성격이 강한 것등은 이 체제로 다루기 어렵다. 수업모형 차원에서 ‘이해학습-적용학습’과 가장 잘호응하는 것은 직접교수법이다. 그러나 나머지 8개 학습모형들은 이 체제와 부조화를 이루는 경우가 많고 모형의 원래 취지를 왜곡시키는 경우도 더러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단원 체제를 다양화 하는 방안, 코너나 장치들을 다양하게 운용하는 방안, 획일화된 틀을 없애버리는 방안 등이 있다.
      번역하기

      초등 국어교과서의 단원은 오래 전부터 ‘이해학습-적용학습’ 체제로 구성되어왔는데, 그 바탕에는 객관주의적 인식론과 교사 중심의 교육관이 깔려 있다. 이체제는 교육목표 차원에서 우...

      초등 국어교과서의 단원은 오래 전부터 ‘이해학습-적용학습’ 체제로 구성되어왔는데, 그 바탕에는 객관주의적 인식론과 교사 중심의 교육관이 깔려 있다. 이체제는 교육목표 차원에서 우선 정의적 능력을 도외시하며, 인지적 영역에서도분석, 평가, 창안 등을 다루지 못한다. 이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지향인 주체적인국어생활, 창의적인 사고력, 올바른 인성과 상충되는 문제를 낳는다. 성취기준 차원에서는 상당수가 이 체제와 잘 호응하지만, 일상에서의 실천이 필요한 것, 개인편차가 강한 것, 항목의 개수가 열려 있는 것, 일반 원리로서의 성격이 강한 것등은 이 체제로 다루기 어렵다. 수업모형 차원에서 ‘이해학습-적용학습’과 가장 잘호응하는 것은 직접교수법이다. 그러나 나머지 8개 학습모형들은 이 체제와 부조화를 이루는 경우가 많고 모형의 원래 취지를 왜곡시키는 경우도 더러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단원 체제를 다양화 하는 방안, 코너나 장치들을 다양하게 운용하는 방안, 획일화된 틀을 없애버리는 방안 등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진, "학교급별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 분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5) : 75-110, 2004

      2 이경화,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단원 구성과 전개 방식 탐색" 국어교육학회 (27) : 59-108, 2006

      3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4-2㉮, ㉯" 미래엔 2014

      4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4-1㉮, ㉯" 미래엔 2014

      5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3-2㉮, ㉯" 미래엔 2014

      6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3-1㉮, ㉯" 미래엔 2014

      7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4-2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8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4-1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9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3-2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10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3-1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1 박정진, "학교급별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 분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5) : 75-110, 2004

      2 이경화,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단원 구성과 전개 방식 탐색" 국어교육학회 (27) : 59-108, 2006

      3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4-2㉮, ㉯" 미래엔 2014

      4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4-1㉮, ㉯" 미래엔 2014

      5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3-2㉮, ㉯" 미래엔 2014

      6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3-1㉮, ㉯" 미래엔 2014

      7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4-2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8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4-1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9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3-2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10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3-1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11 한명숙, "초등 국어과 교과서 개발과 단원 구성 체재" 청람어문교육학회 (34) : 161-191, 2006

      12 이성영, "직접교수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2 : 123-147, 1996

      13 정혜승(鄭惠丞), "좋은 國語 敎科書의 요건과 單元 構成의 방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379-400, 2006

      14 나동진, "인지적 교육목표의 분류 - 하나의 대안" 한국교육과정학회 18 (18): 181-200, 2000

      15 이성영, "국어능력의 개념과 성격 : 감(感)으로서의 국어능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6) : 89-116, 2014

      16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17 김혜정,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론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18) : 31-64, 2005

      18 서영진, "국어 교과서의 학습 목표 분석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바탕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40) : 379-408, 2013

      19 신명선,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적 특징에 대한 통시적 연구 - 1~7차 중학교 『국어』 1-1학기 1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0 : 73-110, 2011

      20 이은희,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성 연구 - 단원 구성 체제를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1 : 253-278, 2011

      2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사전" 하우동설 1998

      22 Anderson, L. W.,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 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 개정" 아카데미프레스 2001

      23 Merrill, M. D., "Component display theory. in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LEA 1983

      24 김명옥,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과 수업 목표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27-58, 2012

      25 이경화, "2007 개정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에 대한 적합성 검토" 한국국어교육학회 (91) : 5-40,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초등국어교육
      외국어명 :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4 1.4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