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정진, "학교급별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 분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5) : 75-110, 2004
2 이경화,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단원 구성과 전개 방식 탐색" 국어교육학회 (27) : 59-108, 2006
3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4-2㉮, ㉯" 미래엔 2014
4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4-1㉮, ㉯" 미래엔 2014
5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3-2㉮, ㉯" 미래엔 2014
6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3-1㉮, ㉯" 미래엔 2014
7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4-2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8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4-1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9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3-2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10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3-1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1 박정진, "학교급별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 분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5) : 75-110, 2004
2 이경화,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단원 구성과 전개 방식 탐색" 국어교육학회 (27) : 59-108, 2006
3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4-2㉮, ㉯" 미래엔 2014
4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4-1㉮, ㉯" 미래엔 2014
5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3-2㉮, ㉯" 미래엔 2014
6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3-1㉮, ㉯" 미래엔 2014
7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4-2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8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4-1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9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3-2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10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3-1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4
11 한명숙, "초등 국어과 교과서 개발과 단원 구성 체재" 청람어문교육학회 (34) : 161-191, 2006
12 이성영, "직접교수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2 : 123-147, 1996
13 정혜승(鄭惠丞), "좋은 國語 敎科書의 요건과 單元 構成의 방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379-400, 2006
14 나동진, "인지적 교육목표의 분류 - 하나의 대안" 한국교육과정학회 18 (18): 181-200, 2000
15 이성영, "국어능력의 개념과 성격 : 감(感)으로서의 국어능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6) : 89-116, 2014
16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17 김혜정,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론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18) : 31-64, 2005
18 서영진, "국어 교과서의 학습 목표 분석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바탕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40) : 379-408, 2013
19 신명선,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적 특징에 대한 통시적 연구 - 1~7차 중학교 『국어』 1-1학기 1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0 : 73-110, 2011
20 이은희,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성 연구 - 단원 구성 체제를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1 : 253-278, 2011
2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사전" 하우동설 1998
22 Anderson, L. W.,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 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 개정" 아카데미프레스 2001
23 Merrill, M. D., "Component display theory. in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LEA 1983
24 김명옥,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과 수업 목표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27-58, 2012
25 이경화, "2007 개정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에 대한 적합성 검토" 한국국어교육학회 (91) : 5-40,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