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구개발과 생산성관계의 장기기억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80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구개발스톡 특히 기초연구개발스톡이 총요소생산성(TFP)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개발스톡과 생산성의 관계(모형 1), 단계별 연구개발스톡과 생산성의 관계(모형 2)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단위근 검정법과 공적분 기법은 장기기억을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분수공적분 접근방법이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전통적인 단위근 검정과 공적분 기법은 시계열의 적분차수와 공적분관계를 명확하게 판별하지 못하였다. 둘째, 모형에 포함된 변수 사이에 분수공적분관계가 존재하였다. 이는 장기균형관계에 대한 충격의 영향이 상당 기간 지속 후 균형으로 조정되는 장기기억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총연구개발스톡과 기초연구개발스톡은 단기적으로 총요소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이 없지만, 장기적으로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연구개발스톡의 영향은 응용·개발연구개발스톡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기억을 반영하는 분수공적분 기법이 유용하고, 연구개발의 성과는 단기예측보다 장기예측이 타당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구개발스톡 특히 기초연구개발스톡이 총요소생산성(TFP)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개발스톡과 생산성의 관계(모형 1), 단계별 연구개발스톡과 생산성의 관계(...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구개발스톡 특히 기초연구개발스톡이 총요소생산성(TFP)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개발스톡과 생산성의 관계(모형 1), 단계별 연구개발스톡과 생산성의 관계(모형 2)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단위근 검정법과 공적분 기법은 장기기억을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분수공적분 접근방법이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전통적인 단위근 검정과 공적분 기법은 시계열의 적분차수와 공적분관계를 명확하게 판별하지 못하였다. 둘째, 모형에 포함된 변수 사이에 분수공적분관계가 존재하였다. 이는 장기균형관계에 대한 충격의 영향이 상당 기간 지속 후 균형으로 조정되는 장기기억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총연구개발스톡과 기초연구개발스톡은 단기적으로 총요소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이 없지만, 장기적으로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연구개발스톡의 영향은 응용·개발연구개발스톡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기억을 반영하는 분수공적분 기법이 유용하고, 연구개발의 성과는 단기예측보다 장기예측이 타당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relation between R&D stock (especially, basic R&D stock)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using annual data for the 30-year periods from 1983 to 2012. Traditional unit root tests and cointegration approach suppose integration order as integer, so they cannot explain the long memory. Considering this limit, fractional co-integration approach is used. The results show that first, equiliburium errors of R&D models are fractionally integrated (fractional cointegration). Second, short-term effects of total R&D stock and basic R&D stock on TFP were insignificant while their long-term effects were significant. Third, performance of basic R&D stock was larger than other R&D stocks. The results imply that continual investment of R&D, especially basic R&D is necessary to improve TFP. Also, long memory infers that long-term forecasts are more suitable than short-term forecasts.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relation between R&D stock (especially, basic R&D stock)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using annual data for the 30-year periods from 1983 to 2012. Traditional unit root tests and cointegration approach suppose integration or...

      This paper analyzes relation between R&D stock (especially, basic R&D stock)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using annual data for the 30-year periods from 1983 to 2012. Traditional unit root tests and cointegration approach suppose integration order as integer, so they cannot explain the long memory. Considering this limit, fractional co-integration approach is used. The results show that first, equiliburium errors of R&D models are fractionally integrated (fractional cointegration). Second, short-term effects of total R&D stock and basic R&D stock on TFP were insignificant while their long-term effects were significant. Third, performance of basic R&D stock was larger than other R&D stocks. The results imply that continual investment of R&D, especially basic R&D is necessary to improve TFP. Also, long memory infers that long-term forecasts are more suitable than short-term forecas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초록
      • I. 서론
      • II. 연구개발과 총요소생산성의 관계
      • 2.1 연구개발의 정의와 특성
      • 2.2 선행연구
      • 논문초록
      • I. 서론
      • II. 연구개발과 총요소생산성의 관계
      • 2.1 연구개발의 정의와 특성
      • 2.2 선행연구
      • III. 모형 및 추정방법
      • 3.1 연구개발과 생산성 모형
      • 3.2 분수공적분 방법
      • Ⅳ. 실증결과
      • 4.1 자료
      • 4.2 단위근 및 공적분 검정결과
      • 4.3 분수공적분 검정 결과
      • 4.4 추정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남형, "행위자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한 공공 연구개발비 지출 제도 비교 연구" 산업개발연구소 32 (32): 227-255, 2016

      2 김의제, "우리나라 제조업의 성장요인 분석 : 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 분석을 중심으로" 과기평 99-118, 1999

      3 하정훈, "우리나라 연구개발투자와 경제성장의 관계분석" 24 (24): 1-34, 2009

      4 이원기, "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 파급효과 분석" 14 (14): 68-82, 2004

      5 정수관, "연구개발과 생산성의 동태적관계에 관한 분석" 한국생산성학회 27 (27): 279-301, 2013

      6 황윤섭, "단계별 R&D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 중소기업과 대기업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생산성학회 23 (23): 279-301, 2009

      7 장선미, "기업의 혁신성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 제조업 기술혁신기업을 대상으로" 산업개발연구소 25 (25): 155-182, 2009

      8 조윤애, "기업의 연구개발 파급효과 분석: 한국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국응용경제학회 6 (6): 209-232, 2004

      9 이성래, "국내 제조업의 R&D투자 파급효과 분석 : 연구개발단계에 따른 성장회계모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0 백승희, "공공연구기관의 R&D 성과 확산을 위한 지원 방안" 산업개발연구소 31 (31): 23-47, 2015

      1 이남형, "행위자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한 공공 연구개발비 지출 제도 비교 연구" 산업개발연구소 32 (32): 227-255, 2016

      2 김의제, "우리나라 제조업의 성장요인 분석 : 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 분석을 중심으로" 과기평 99-118, 1999

      3 하정훈, "우리나라 연구개발투자와 경제성장의 관계분석" 24 (24): 1-34, 2009

      4 이원기, "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 파급효과 분석" 14 (14): 68-82, 2004

      5 정수관, "연구개발과 생산성의 동태적관계에 관한 분석" 한국생산성학회 27 (27): 279-301, 2013

      6 황윤섭, "단계별 R&D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 중소기업과 대기업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생산성학회 23 (23): 279-301, 2009

      7 장선미, "기업의 혁신성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 제조업 기술혁신기업을 대상으로" 산업개발연구소 25 (25): 155-182, 2009

      8 조윤애, "기업의 연구개발 파급효과 분석: 한국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국응용경제학회 6 (6): 209-232, 2004

      9 이성래, "국내 제조업의 R&D투자 파급효과 분석 : 연구개발단계에 따른 성장회계모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0 백승희, "공공연구기관의 R&D 성과 확산을 위한 지원 방안" 산업개발연구소 31 (31): 23-47, 2015

      11 황태연, "공공부문의 연구개발투자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총요소생산성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12 Ho, Y. P., "The Impact of R&D on the Singapore Economy : An Empirical Evaluation" 54 (54): 1-20, 2009

      13 Lichtenberg, F. R., "The Impact of R&D Investment on Productivity-New Evidence Using Linked R&D–LRD Data" 29 (29): 203-229, 1991

      14 Chen, Y., "The Impact of Different Type of R&D Activities on Productivity Growth: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Chinese Provincial Panel Data, 2000-2011" IEEE 2656-2663, 2014

      15 Kwiatkowski, D., "Testing the Null Hypothesis of Stationarity Against the Alternative of a Unit Root: How Sure Are We That Economic Time Series Have a Unit Root?" 54 (54): 159-178, 1992

      16 Phillips, P. C. B., "Testing for a Unit Root in Time Series Regression" 75 (75): 335-346, 1988

      17 Said, S. E., "Testing for Unit Roots in Autoregressive-Moving Average Models of Unknown Order" 71 (71): 599-607, 1984

      18 KISTEP., "Surve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Korea 2013" 2013

      19 Madden, G., "Sources of Australian Labour Productivity Change 1950-1994" 74 (74): 362-372, 1998

      20 Nadiri, M. I., "Some Approaches to the Theory and Measurement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A Survey" 8 (8): 1137-1177, 1970

      21 Guellec, D., "R&D and Productivity Growth: Panel Data Analysis of 16 OECD Countries" 2001 (2001): 103-126, 2001

      22 CBO., "R&D and Productivity Growth: A Background Paper" 2005

      23 Goel, R. K., "R&D Expenditures and U.S. Economic Growth: A Disaggregated Approach" 30 (30): 237-250, 2008

      24 Wang, S. L., "Public R&D, Private R&D, and U.S. Agricultural Productivity Growth: Dynamic and Long-Run Relationships" 95 (95): 1287-1293, 2013

      25 Grilliches, Z., "Productivity, R&D, and Basic Research at the Firm Level in the 1970's" 76 (76): 141-154, 1986

      26 Sowell, F., "Maximum Likelihood Eestimation of Stationary Univariate Fractionally Integrated Time Series Models" 53 (53): 165-188, 1992

      27 Coe, D. T., "International R&D Spillovers" 39 (39): 859-887, 1995

      28 Bloom, N., "Identifying Technology Spillovers and Product Market Rivalry" 81 (81): 1347-1393, 2013

      29 Robinson, P. M., "Gaussian Semiparametric Estimation of Long Range Dependence" 23 (23): 1630-1661, 1995

      30 OECD., "Frascati Manual : Proposed Standard Practice for Surveys on Research and Experimental Development" 2002

      31 Baillie, R. T., "Fractionally Integrated 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74 (74): 3-30, 1996

      32 Bonte, W., "Does Federally Financed Business R&D Matter for U.S. Productivity Growth?" 35 (35): 1619-1625, 2003

      33 MacKinnon, J. G., "Critical Values for Cointegration Tests" Queen's Economics Department 1-18, 2010

      34 Engle, R. F.,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55 (55): 251-276, 1987

      35 Luintel, K. B., "Basic, Applied and Experimental Knowledge and Productivity: Further Evidence" 111 (111): 71-74, 2011

      36 Mansfield, E., "Basic Research and Productivity Increase in Manufacturing" 70 (70): 863-873, 1980

      37 Granger, C. W., "An Introduction to Long‐Memory Time Series Models and Fractional Differencing" 1 (1): 15-29, 1980

      38 Romer, D., "Advanced Macroeconomics" McGraw-Hill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7-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dustrial Innov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상경연구 -> 산업혁신연구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12 0.89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