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DEA 및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활용하여 한국과 중국의 은행들에 대해서 효율성의 상대적 수준 및 효율성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한국 은행은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이며, 중국 은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138066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1-141(31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DEA 및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활용하여 한국과 중국의 은행들에 대해서 효율성의 상대적 수준 및 효율성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한국 은행은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이며, 중국 은행...
본 연구는 DEA 및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활용하여 한국과 중국의 은행들에 대해서 효율성의 상대적 수준 및 효율성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한국 은행은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이며, 중국 은행은 국유제 상업은행과 주식제 은행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금융감독원의 “은행경영통계”와 “중국금융연감”을 기초로, 한국과 중국 은행 22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투입변수는 직원수, 지점수, 고정자산, 자기자본, 산출변수로는 총대출금, 이자수익, 당기순이익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이 중국보다 효율적인 은행의 수가 더 많았으며, 한국의 은행들은 규모의 경제가 감소하는 특성(DRS)을 지닌 은행의 수가 많았으며, 중국의 은행들은 규모의 경제가 증가하는 특성(IRS)을 지닌 은행의 수가 많았다. Malmquist 생산성 지수 분석결과, 2010∼2014년의 5년간 한국의 은행들은 생산성의 증가를 보였으나 중국의 은행들은 생산성 감소를 보였다. 특히 한국의 은행들은 2010∼2011년과 2012∼2013년에서 생산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주로 기술진보(TCI)에 의해 생산성이 증가하였다. 포트폴리오 분석법을 활용한 은행별로 비교에서는 한국의 지방은행들이 높은 경쟁력 및 고성장에 해당하는 은행으로 분류되었으며, 중국의 은행들은 포동발전은행(Shanghai Pudong Development Bank) 등 4개 은행이 높은 경쟁력 및 고성장에 해당하는 은행으로 분류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iciency and change in efficiency of banks in Korea and China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model and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MPI). For that purpose, 22 banks in Korea and China are analyzed based 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iciency and change in efficiency of banks in Korea and China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model and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MPI). For that purpose, 22 banks in Korea and China are analyzed based on “Bank Management Statistics” released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FSS) and “Financial Yearbook of China” from 2010 to 2014. In this study, input variables include the numbers of employees and branches, fixed assets, and equity capital and output variables are total loans, interest margin, and net income. The result shows that Korea turns out to outnumber China in terms of the number of efficient banks. When analysing the banks in the two countries with the MPI, it is found that while productivity of banks in Korea had increased from 2010 to 2014, productivity of those in China had declined during the same period. In the case of Korea, produ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2010∼2011 period and 2012∼2013 period mainly results from TCI(technological change index). In the comparison of banks using a method of portfolio analysis, regional banks in Korea and four banks including Shanghai Pudong Development Bank in China are classified as the ones with high competitiveness and high growth.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기춘, "중국의 은행산업 개혁과 국내은행들의 효과적인 중국시장 진출방안" 한국산업은행 2006
2 오대원, "중국의 금융개혁과 은행산업 생산성변화" 한국은행 2008
3 양옥결, "중국 상업은행의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33 (33): 35-55, 2015
4 모수원, "은행의 효율성과 생산성 변화의 결정요소" 한국산업경제학회 21 (21): 1845-1862, 2008
5 박승록, "우리나라 일반은행의 생산효율성 분석과 정책적 의미" 한국경제연구원 2001
6 이민희,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효율성에 관한 실증분석 : DEA, Tobit, Malmquist 기법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7 김우진,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구조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한국금융연구원 2015
8 황련희, "방향성거리함수를 이용한 중국의 상업은행 효율성 분석" 한국산업정보학회 17 (17): 81-94, 2012
9 박노경, "국내은행산업의 대형화와 겸업화가 은행경영에 미친 효과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17 (17): 1613-1635, 2004
10 김종기, "국내 중소기업 상호저축은행의 경영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1 (11): 2091-2103, 2009
1 정기춘, "중국의 은행산업 개혁과 국내은행들의 효과적인 중국시장 진출방안" 한국산업은행 2006
2 오대원, "중국의 금융개혁과 은행산업 생산성변화" 한국은행 2008
3 양옥결, "중국 상업은행의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33 (33): 35-55, 2015
4 모수원, "은행의 효율성과 생산성 변화의 결정요소" 한국산업경제학회 21 (21): 1845-1862, 2008
5 박승록, "우리나라 일반은행의 생산효율성 분석과 정책적 의미" 한국경제연구원 2001
6 이민희,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효율성에 관한 실증분석 : DEA, Tobit, Malmquist 기법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7 김우진,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구조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한국금융연구원 2015
8 황련희, "방향성거리함수를 이용한 중국의 상업은행 효율성 분석" 한국산업정보학회 17 (17): 81-94, 2012
9 박노경, "국내은행산업의 대형화와 겸업화가 은행경영에 미친 효과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17 (17): 1613-1635, 2004
10 김종기, "국내 중소기업 상호저축은행의 경영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1 (11): 2091-2103, 2009
11 김동환, "「레몬 법칙」의 역설 - 자본시장의 효율성, 형평성에 관한 소고 -" 한국금융연구원 21 (21): 1-18, 2007
12 제혜금, "WTO가입 전 후 중국상업은행의 효율성 비교 분석" 한국국제경영학회 18 (18): 27-52, 2007
13 Caves, D. W., "The economic theory of index numbers and the measurement of input output, and productivity" 50 (50): 1393-1414, 1982
14 Farrell, M. J.,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120 (120): 253-281, 1957
15 Isik, I., "Technical. Scale and Allocative Efficiencies of Turkish Banking Industry" 26 : 719-766, 2002
16 Aly, H. Y., "Technical, Scale, and Allocative Efficiencies in US Banking : an Empirical Investigation" 72 (72): 211-218, 1990
17 Banker R. D.,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i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30 (30): 1078-1092, 1984
18 Siems, T., "Quantifying Management Role in Bank Survival" 1992
19 Charnes A., "Measuring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2 (2): 429-444, 1978
20 Grifell-Tatjé, E., "Deregulation and Productivity Decline : The Case of Spanish Savings Banks" 40 (40): 1281-1303, 1996
21 Epstein, M., "Data Envelopment Analysis for Managerial Control and Diagnosis" 20 (20): 90-119, 1989
22 이광민, "DEA를 활용한 광역시도별수협 상호금융 영업점의 효율성 분석" 산업개발연구소 28 (28): 35-57, 2012
23 박만희, "DEA 효율성 및 Malmquist 생산성 분석시스템 개발" 한국생산성학회 22 (22): 241-265, 2008
24 황진수, "DEA 분석기법을 이용한 지역농협의 경영효율성 분석" 한국협동조합학회 20 (20): 129-149, 2002
25 홍진원, "DEA 결과와 과제관리자 평가의 비교에 근거한 국가 R&D 프로젝트의 효율성 평가의 문제점 및 방안 탐색" 산업개발연구소 27 (27): 33-52, 2011
26 Fries, S., "Cost Efficiency of Banks in Transition : Evidence from 289 Banks in 15 Post-communist Countries" 29 (29): 55-81, 2005
27 Schanit, C., "Best Practice analysis of bank branches : An application of DEA in a large Canadian bank" 98 : 269-289, 1997
28 Sherman, H. D., "Bank Branch Operating Efficiency : Evaluation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 9 (9): 297-315, 1985
29 박상찬, "A Study on Evaluation Efficiency of Life Insurance Companies" 22 (22): 1-18, 2006
30 한국은행, "2016년 5월말 외환보유액"
31 국제무역연구원, "2015년 수출입 평가 및 2016년 전망" 한국무역협회 2015
32 田朋朋, "(A)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the banks in China and Korea"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3
ICT 산업 R&D 투자의 파급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금융기관의 효율적인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소비자의 선택속성 우선순위와 리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한국형 리더십의 상향적응과 솔선수범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신바람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7-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dustrial Innovation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7-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상경연구 -> 산업혁신연구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1.12 | 0.89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