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승 <심청가> ‘장승상부인 대목’ 비교 -박동실 바디, 정응민 바디, 김연수 바디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the Parts in “Shimchong-ga” Pertaining to Jangseungsang’s W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395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판소리계 <심청전>과 <심청가>의 ‘장승상부인 대목’은 19세기 후반, 일정한 기능과 역할을 위해 더늠으로 첨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글에서는 현재 전승되고 있는 판소리 <심청가>에서 ‘장승상부인’과 관련된 대목의 내용 및 사설이 바디 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소리꾼들이 어떠한 음악어법을 통해 이면을 그려내는지 살펴보고 그 특성 및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전승되는 판소리 <심청가>의 박동실 바디, 정응민 바디, 김연수 바디 중 장승상부인과 관련된 삽화, 그 중에서도 소리 대목으로 확장된 세 장면을 주 비교 대상으로 삼아 사설 및 음악어법을 함께 살폈다. 문학과 음악의 측면을 함께 살핀 이 글은 동일한 대목을 ‘이면’ 중심으로 분석하여 사설과 음악 간의 결합 관계를 밝히고, 이를 통해 각 바디가 지향하는 승상부인과 심청의 인물형상, 그리고 둘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각 바디 별로, 그리고 때로는 같은 바디 내에서도 창자 별로 해석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장승상부인과 관련된 사설과 음악어법에서 가장 소박한 형태를 보였던 박동실 바디 <심청가>는 장승상부인과 관련된 사설 자체가 상대적으로 적고, 부인과 심청과의 친밀감을 드러내는 표현 또한 적었다. 허나 이는 심청이 지닌 슬픔의 정서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박동실 바디는 각 창자 간, 세대 간 사설 有無 차이를 보이며 소리꾼의 지향과 완결성에 관한 욕구에 따라 소리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섬세하고 정교한 음악어법, 세련된 아름다움으로 각광받고 있는 정응민 바디 <심청가>는 절제된 사설과 변조 활용을 통해 승상부인과 심청을 ‘일정한 거리 유지’의 관계로 설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두 사람, 특히 심청의 담대함과 성숙함은 한층 부각되어 정응민 바디가 지향하는 우아미에 부합했다고 할 수 있다.
      승상부인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사설을 보유한 김연수 바디는 동초제 관련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것처럼, ‘장승상부인 대목’에서도 여타 바디에 비해 강한 독자성을 드러냈다. 이 때 김연수의 강점이라 할 수 있는 연극적 표현과 이면 해석은 장승상부인 대목에서도 발휘되어 승상부인과 심청의 밀착된 관계를 그려냈다. 대화체 사설이 많고, 승상부인 앞에서 자신의 감정을 많이 드러내는 심청과, 심청에 대한 풍부한 공감과 사랑을 표현하는 승상부인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이면 해석으로 이를 발현시키는 김연수의 음악어법과 연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소리꾼의 이면 해석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일은, 같은 뿌리를 가졌으나 새로운 바디를 구축하고 자신의 지향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해 이야기를 그려낸 당대 명창들의 속내를 면밀히 살필 수 있는 방법이다. 뛰어난 명창은 판소리 사설을 음악으로 구현함에 있어, 전체 서사를 살피는 것은 물론 대목 하나, 장면 하나, 때로 문장과 단어 하나까지도 고심하여 이면을 그려낸다. 그리고 이러한 이면의 다채로움은 지난 세월동안 판소리를 보다 풍요롭게 만들며 판소리가 생동감 있게 이어져올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번역하기

      판소리계 <심청전>과 <심청가>의 ‘장승상부인 대목’은 19세기 후반, 일정한 기능과 역할을 위해 더늠으로 첨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글에서는 현재 전승되고 있는 판소리 <...

      판소리계 <심청전>과 <심청가>의 ‘장승상부인 대목’은 19세기 후반, 일정한 기능과 역할을 위해 더늠으로 첨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글에서는 현재 전승되고 있는 판소리 <심청가>에서 ‘장승상부인’과 관련된 대목의 내용 및 사설이 바디 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소리꾼들이 어떠한 음악어법을 통해 이면을 그려내는지 살펴보고 그 특성 및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전승되는 판소리 <심청가>의 박동실 바디, 정응민 바디, 김연수 바디 중 장승상부인과 관련된 삽화, 그 중에서도 소리 대목으로 확장된 세 장면을 주 비교 대상으로 삼아 사설 및 음악어법을 함께 살폈다. 문학과 음악의 측면을 함께 살핀 이 글은 동일한 대목을 ‘이면’ 중심으로 분석하여 사설과 음악 간의 결합 관계를 밝히고, 이를 통해 각 바디가 지향하는 승상부인과 심청의 인물형상, 그리고 둘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각 바디 별로, 그리고 때로는 같은 바디 내에서도 창자 별로 해석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장승상부인과 관련된 사설과 음악어법에서 가장 소박한 형태를 보였던 박동실 바디 <심청가>는 장승상부인과 관련된 사설 자체가 상대적으로 적고, 부인과 심청과의 친밀감을 드러내는 표현 또한 적었다. 허나 이는 심청이 지닌 슬픔의 정서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박동실 바디는 각 창자 간, 세대 간 사설 有無 차이를 보이며 소리꾼의 지향과 완결성에 관한 욕구에 따라 소리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섬세하고 정교한 음악어법, 세련된 아름다움으로 각광받고 있는 정응민 바디 <심청가>는 절제된 사설과 변조 활용을 통해 승상부인과 심청을 ‘일정한 거리 유지’의 관계로 설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두 사람, 특히 심청의 담대함과 성숙함은 한층 부각되어 정응민 바디가 지향하는 우아미에 부합했다고 할 수 있다.
      승상부인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사설을 보유한 김연수 바디는 동초제 관련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것처럼, ‘장승상부인 대목’에서도 여타 바디에 비해 강한 독자성을 드러냈다. 이 때 김연수의 강점이라 할 수 있는 연극적 표현과 이면 해석은 장승상부인 대목에서도 발휘되어 승상부인과 심청의 밀착된 관계를 그려냈다. 대화체 사설이 많고, 승상부인 앞에서 자신의 감정을 많이 드러내는 심청과, 심청에 대한 풍부한 공감과 사랑을 표현하는 승상부인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이면 해석으로 이를 발현시키는 김연수의 음악어법과 연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소리꾼의 이면 해석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일은, 같은 뿌리를 가졌으나 새로운 바디를 구축하고 자신의 지향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해 이야기를 그려낸 당대 명창들의 속내를 면밀히 살필 수 있는 방법이다. 뛰어난 명창은 판소리 사설을 음악으로 구현함에 있어, 전체 서사를 살피는 것은 물론 대목 하나, 장면 하나, 때로 문장과 단어 하나까지도 고심하여 이면을 그려낸다. 그리고 이러한 이면의 다채로움은 지난 세월동안 판소리를 보다 풍요롭게 만들며 판소리가 생동감 있게 이어져올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rts of “Shimchong-ga” pertaining to Jangseungsang’s wife are known to have been added as supplements in the late 19th century for a certain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representative pansori masters’ individual storytelling styles concerning these parts, which are called bodies,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expression in each bod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scen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ir hidden themes: Park Dong-sil’s body, Jung Eung-min’s body, and Kim Yeon-soo’s body. By pairing storytelling with the music, the features of each character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m in each body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scenes were expressed in each body, and were sometimes interpreted diversely even in the same body, depending on the pansori singer’s intention. First, Park Dong-sil’s body employed simplicity, with respect to the storytelling and music, to bring Shimchong’s sorrow into focus rather than verbosity to explain the situation.
      Secondly, Jung Eung-min’s body set about distancing Shimchong from Jangseungsang’s wife through understated storytelling and various modulations that highlighted Shimchong’s courage and maturity. Lastly, Kim Yeon-soo’s body helped create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Jangseungsang’s wife and Shimchong through a unique theatrical expression that represented Jangseungsang’s wife’s sympathy and appreciation for Shimchong.
      An outstanding pansori master takes into account not only the narration of a whole story, but also the description of details to imply a hidden theme. Through this paper, we suggest that a variety of hidden themes may enrich pansori over the years and infuse vitality into this art form.
      번역하기

      The parts of “Shimchong-ga” pertaining to Jangseungsang’s wife are known to have been added as supplements in the late 19th century for a certain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representative pansori masters’ ...

      The parts of “Shimchong-ga” pertaining to Jangseungsang’s wife are known to have been added as supplements in the late 19th century for a certain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representative pansori masters’ individual storytelling styles concerning these parts, which are called bodies,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expression in each bod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scen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ir hidden themes: Park Dong-sil’s body, Jung Eung-min’s body, and Kim Yeon-soo’s body. By pairing storytelling with the music, the features of each character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m in each body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scenes were expressed in each body, and were sometimes interpreted diversely even in the same body, depending on the pansori singer’s intention. First, Park Dong-sil’s body employed simplicity, with respect to the storytelling and music, to bring Shimchong’s sorrow into focus rather than verbosity to explain the situation.
      Secondly, Jung Eung-min’s body set about distancing Shimchong from Jangseungsang’s wife through understated storytelling and various modulations that highlighted Shimchong’s courage and maturity. Lastly, Kim Yeon-soo’s body helped create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Jangseungsang’s wife and Shimchong through a unique theatrical expression that represented Jangseungsang’s wife’s sympathy and appreciation for Shimchong.
      An outstanding pansori master takes into account not only the narration of a whole story, but also the description of details to imply a hidden theme. Through this paper, we suggest that a variety of hidden themes may enrich pansori over the years and infuse vitality into this art for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춘영, "<심청가> 유파별 음악 연구 : 동초제·서편제·강산제 평·우조의 선율과 붙임새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2012

      2 백대웅, "판소리에 있어서 우조· 평조· 계면조" 한국국악학회 (8·9) : 149-203, 1979

      3 김혜정, "판소리 음악론" 민속원 1-423, 2009

      4 이경엽, "판소리 명창 김연수론" 판소리학회 (17) : 209-237, 2004

      5 박희순, "판소리 가곡성우조 연구" 한국국악학회 41 : 103-124, 2007

      6 김혜정, "정문일가 판소리의 판소리사적 의의" 판소리학회 (21) : 45-75, 2006

      7 서인화, "장월중선 명창론" 판소리학회 (19) : 287-312, 2005

      8 유영대, "장승상부인 대목 첨가에 대하여" 판소리학회 5 : 39-49, 1994

      9 신호림, "심청전의 계열과 주제적 변주" 고려대학교 2016

      10 김진영, "심청전 전집 2" 도서출판 박이정 1-375, 1997

      1 서춘영, "<심청가> 유파별 음악 연구 : 동초제·서편제·강산제 평·우조의 선율과 붙임새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2012

      2 백대웅, "판소리에 있어서 우조· 평조· 계면조" 한국국악학회 (8·9) : 149-203, 1979

      3 김혜정, "판소리 음악론" 민속원 1-423, 2009

      4 이경엽, "판소리 명창 김연수론" 판소리학회 (17) : 209-237, 2004

      5 박희순, "판소리 가곡성우조 연구" 한국국악학회 41 : 103-124, 2007

      6 김혜정, "정문일가 판소리의 판소리사적 의의" 판소리학회 (21) : 45-75, 2006

      7 서인화, "장월중선 명창론" 판소리학회 (19) : 287-312, 2005

      8 유영대, "장승상부인 대목 첨가에 대하여" 판소리학회 5 : 39-49, 1994

      9 신호림, "심청전의 계열과 주제적 변주" 고려대학교 2016

      10 김진영, "심청전 전집 2" 도서출판 박이정 1-375, 1997

      11 유영대, "심청전 연구" 문학아카데미사 1-269, 1991

      12 김혜정, "심청가의 악조와 그 기능" 판소리학회 4 : 181-209, 1993

      13 백대웅, "심청가 악보집"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1-221, 2003

      14 최동현, "심청가 바디별 전집 2" 1-428, 2008

      15 김석배, "심청가 더늠의 통시적 연구" 9 : 195-275, 1998

      16 최동현, "동초 김연수 바디 오정숙 창 오가전집" 민속원 1-744, 2001

      17 배연형, "김연수의 판소리 사설, 그 생명력의 원천" 판소리학회 (24) : 109-132, 2007

      18 김혜정, "김연수와 임방울의 선택과 지향―수궁가를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20) : 167-216, 2005

      19 박일용, "김연수본 <심청가>의 인물 형상과 미학" 판소리학회 (36) : 299-349, 2013

      20 김용범, "구활자소설총서 7: 고전소설 영인본" 민족문화사 1-585, 1983

      21 최동현, "교주본 심청가" 민속원 1-353, 2005

      22 김종철, "<심청가>와 <심청전>의 ‘장승상부인 대목’의 첨가 양상과 그 역할" 한국고소설학회 (35) : 295-333,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536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