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현명(prudentia) 개념 - 자연법의 일차적 계명들 및 도덕적 덕의 목적들에 대한 앎을 중심으로 = Thomas Aquinas on Prudentia: Focusing on the Knowledge of the First Precepts of the Natural Law and the Ends of the Moral Virtu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55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토마스 아퀴나스에 따르면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위의 목적은 욕구능력의 탁월성인 도덕적 덕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지성능력이 우선 무엇이 도덕적 덕의 목적들인...

      토마스 아퀴나스에 따르면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위의 목적은 욕구능력의 탁월성인 도덕적 덕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지성능력이 우선 무엇이 도덕적 덕의 목적들인지를 파악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정확히 지성의 어떤 부분이 그것을 파악하는가· 그런데 이 질문에 대한 토마스의 답변은 일견 비일관적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그는 한편으로 양지(synderesis)가 그것들을 직관적·무오류적으로 파악한다고 말하는 듯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현명(prudentia)이 숙고적 추론을 통해 그것을 파악하는 것처럼 서술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문제에 대한 토마스의 정확한 입장은 무엇인가· 이 질문은, 그것이 양지에 의해 파악된 것의 내용과 성격에 관련되는 한, 토마스에서 자연법의 일차적 계명들이 어떻게 파악되고 그것이 곧 도덕적 함의를 지니는지를 묻는 질문과 직결된다. 그리고 그런 한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바로 이 질문을 다룬다. 본고의 목적은 이 문제를 양지의 역할을 축소시키고 현명의 역할을 확대하여 해결하려는 해석을 비판하고, 목적 문제에서 양지와 현명의 역할을 다시 적절히 잡아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 따르면 양지는 형식적 목적들뿐만 아니라 구체적 목적들을 직관적을 파악한다. 그러나 양지에 의해 파악된 목적들(혹은 자연법의 일차적 계명들)은 도덕적으로 중립적이다.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위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사변지성 혹은 실천지성(즉 현명)이 추론을 통해 확립해야 할 몫으로 남아 있다. 특히 현명은 한 구체적 상황에서 올바른 목적을 판단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omas Aquinas, the end of morally right action is set by the moral virtue, which is excellence of the appetitive power. And it is possible, because the intellectual power apprehended in advance the ends of the moral virtue. So exactly wh...

      According to Thomas Aquinas, the end of morally right action is set by the moral virtue, which is excellence of the appetitive power. And it is possible, because the intellectual power apprehended in advance the ends of the moral virtue. So exactly what part of the intellect does them grasp? Thomas' answer to this question seems to be inconsistent at first sight. Because he seems to say that on the one hand, synderesis grasps them intuitively and errorlessly, but on the other hand, prudentia apprehends and judges them through the deliberate reasoning. Then what is Thomas' exact position on this matter? This question is directly linked to the question of how the first precepts of the natural law are apprehended in Thomas and whether they have a moral implication, insofar as it relates to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what has been apprehended by synderesis. And in that respect, the question is of great importance. This article deals with this very ques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the interpretation of trying to solve this problem by reducing the role of synderesis and expanding the role of prudentia, and to properly re-establish the role of synderesis and prudentia in the matter of end. According to this study, synderesis has an intuitive grasp of specific ends as well as formal ones. However, the ends identified by synderesis (or the frist precepts of the natural law) are morally neutral. To judge what the ends of morally right action are remains as the task of the speculative and practical intellect (i.e., prudentia) and they should establish the moral ends through reaso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율, "합리적 자발성의 신적 근원 - 토마스 아퀴나스의 ‘의지의 신적 시동(始動)’ 개념에 대한 심리학적 반성" 한국철학회 (90) : 49-74, 2007

      2 이진남, "토마스주의 자연법윤리에서 신자연법주의와 환원주의 자연법주의" 철학연구소 (33) : 137-162, 2007

      3 이진남, "토마스주의 유신론적 자연법 윤리에 대한 변호" 한국가톨릭철학회 (8) : 228-259, 2006

      4 강상진, "토마스 아퀴나스의 실천이성과 자연법" 한국법철학회 17 (17): 85-108, 2014

      5 임경헌, "토마스 아퀴나스의 덕론에서 양지(synderesis)의 역할과 의미" 한국가톨릭철학회 (35) : 5-38, 2020

      6 김율, "토마스 아퀴나스 자유결단 이론의 의미와 한계" 대한철학회 96 : 135-162, 2005

      7 서병창, "토마스 아퀴나스 자연법의 객관성에 대한 몇 가지 고찰" 한국중세철학회 (25) : 225-264, 2019

      8 임경헌,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에서 지성과 의지의 관계: 최초의 운동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힌트" 철학사상연구소 (73) : 33-67, 2019

      9 김율, "최초의 의지운동에 대한 은총론적 해석 ―퀴나스의 신학대전 2부 1편을 중심으로" 한국해석학회 (16) : 249-279, 2005

      10 임경헌,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몇 가지 주요 특징들에 대한 탐구-" 한국가톨릭철학회 (30) : 109-154, 2018

      1 김율, "합리적 자발성의 신적 근원 - 토마스 아퀴나스의 ‘의지의 신적 시동(始動)’ 개념에 대한 심리학적 반성" 한국철학회 (90) : 49-74, 2007

      2 이진남, "토마스주의 자연법윤리에서 신자연법주의와 환원주의 자연법주의" 철학연구소 (33) : 137-162, 2007

      3 이진남, "토마스주의 유신론적 자연법 윤리에 대한 변호" 한국가톨릭철학회 (8) : 228-259, 2006

      4 강상진, "토마스 아퀴나스의 실천이성과 자연법" 한국법철학회 17 (17): 85-108, 2014

      5 임경헌, "토마스 아퀴나스의 덕론에서 양지(synderesis)의 역할과 의미" 한국가톨릭철학회 (35) : 5-38, 2020

      6 김율, "토마스 아퀴나스 자유결단 이론의 의미와 한계" 대한철학회 96 : 135-162, 2005

      7 서병창, "토마스 아퀴나스 자연법의 객관성에 대한 몇 가지 고찰" 한국중세철학회 (25) : 225-264, 2019

      8 임경헌,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에서 지성과 의지의 관계: 최초의 운동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힌트" 철학사상연구소 (73) : 33-67, 2019

      9 김율, "최초의 의지운동에 대한 은총론적 해석 ―퀴나스의 신학대전 2부 1편을 중심으로" 한국해석학회 (16) : 249-279, 2005

      10 임경헌,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몇 가지 주요 특징들에 대한 탐구-" 한국가톨릭철학회 (30) : 109-154, 2018

      11 이상섭, "의지의 자유선택에 있어서 이성의 역할 - 토마스 아퀴나스에게서 의지와 이성의 관계에 대한 하나의 고찰 -" 대한철학회 145 : 325-350, 2018

      12 오지은, "영혼에 관하여" 아카넷 2018

      13 송유레, "아리스토텔레스: 에우데모스 윤리학" 한길사 2012

      14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요강" 나남 2008

      15 토마스 아퀴나스, "법" 바오로의 딸 2020

      16 Aristoteles,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2007

      17 Porter, J., "What the Wise Person Knows: Natural Law and Virtue in Aquinas’Summa Theologiae" 12 (12): 57-69, 1999

      18 "Thomas Aquinas: 토마스 아퀴나스의 작품은 (『명제집 주해』와 『덕론』을제외하고는) 레오니나판(Editio Leonina)을 참고했다. 저작들에 대한약어는 다음과 같다: 『신학대전』(S.th., 본문에서는 생략 후, 단순히 I, I-II, II-II, III으로 표기); 『대이교도대전』(Scg.); 『진리론』(De veritate);『윤리학 주해』(In Eth.); 『덕론』(De virtutibus); 『신학요강』(Compendium theol.); 『악론』(De malo), 『삼위일체론 주해』(Super Boet. De trin.). 단, 레오니나판의 고유한 라틴어 표기법을 따르지 않고, 학계의 일반적 관행에따라 고전 라틴어 표기법을 따랐다"

      19 Thomas Aquinas, "Thomae Aquinatis Scriptum super Libros Sententiarum Magistri Petri Lombardi I -VI" 1947

      20 Irwin, T. H, "The Scope of Deliberation: A Conflict in Aquinas" 44 : 21-42, 1990

      21 Rhonheimer, M., "The Perspecive of Morality.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Thomistic Virtue Ethics" The Catholic University Press 2011

      22 Hoffmann, T., "The Oxford Handbook of Aquinas" Oxford University Press 255-264, 2012

      23 Celano, A., "The Foundation of Moral Reasoning: The Development of the Doctrine of Universal Moral Principles in the Works of Thomas Aquinas and His Predecessors" 38 : 1-61, 2013

      24 Irwin, T. H., "The Development of Ethics. A Historical and Critical Study. Volum 1: From Socrates to the Reform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5 Rhonheimer, M., "The Cognitive Structure of the Natural Law and the Truth of Subjectivity" 67 : 1-44, 2003

      26 Hittinger, R. A., "St. Thomas Aquinas and The Natural Law Tradition. Contemporary Perspectiv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ca Press 261-284, 2004

      27 Thomas Aquinas, "S. Thomae Aquinatis Quaestiones disputatae, t. 2: Quaestiones disputatae de virtutibus in communi" Marietti 707-751, 1965

      28 Kluxen, W., "Philosophische Ethik bei Thomas von Aquin" Felix Meiner Verlag 1998

      29 Finnis, J., "Natural Law and Natural Righ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30 Elton, M., "Moral Science and Practical Reason in Thomas Aquinas" Lit Verlag 2013

      31 Lutz-Bachmann, M., "Handlung und Wissenschaft - Action and Science: Die Epistemologie der Praktischen Wissenschaften im 13. und 14. Jahrhundert - the Epistemology of the Practical Sciences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Akademie Verlag 2008

      32 Finnis, J., "Foundations of Practical Reason Revisited" 50 : 109-131, 2005

      33 MacDonald, S., "Foundations in Aquinas’s ethics" 25 : 350-367, 2008

      34 Irwin, T. H., "Ethics and Practical Reason" Clarendon Press 189-214, 1997

      35 Speer, A., "Das Gesetz-The Law-La Loi" De Gruyter 350-370, 2014

      36 Nussbaum, M. C., "Aristotle’s De Motu Animaliu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5-220, 1978

      37 Lisska, A. J., "Aquinas’s Theory of Natural Law. An Analytic Reconstr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38 Finnis, J., "Aquinas’ Moral, Political, and Legal Philosophy"

      39 Holdsworth, L., "Aquinas and the Natural Habit of Synderesis: A Response to Celano" 47 : 35-49, 2016

      40 Hittinger, R. A., "Aquinas and Nicomachean Eth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5-183, 2013

      41 Hittinger, R. A., "A Critique of the New Natural Law Theory"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7

      42 이상섭, "13, 4세기 도미니코회에서의 가능지성의 가능성 개념의 변화 -알베르투스부터 에크하르트까지-" 한국가톨릭철학회 (23) : 177-211,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5 1.0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