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생태 천변저류지의 생태학적 조성계획기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470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환경친화적 수자원 관리의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천변저류지는 일차적인 홍수조절의 목적과 부차적인 생태공원으로서의 가치로 인하여 조성을 위한 기술개발과 함께 생태학적 계획기준이 시급하게 요청되고 있다. 본연구는 생태 천변저류지의 조성과정에서 요구되는 목표 생물종과 서식환경의 조성 등 생태학적 계획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지는 국가차원의 천변 저류지 조성이 검토되고 있는 임진강 석장천 합류지역으로 하였고, 유사한 생태적 입지조건을 지닌 남한강 홍수터 지역을 대조지로 선정하였다. 식생과 어류상 및 조류상을 중심으로 생태특성을 조사분석한 결과 식생군집은 버드나무와 갯버들, 물억새, 갈대 등의 우점 군락이 대표적으로서 개방수역과 사주부, 경작지 등과 함께 물리적 기반환경을 형성하였고, 어류상은 잉어과 어종과 납자루과 어종이 대표적이었으며, 조류상은 물새류인 오리류와 주연부종인 붉은머리오목눈이가 우점종이었다. 생태 천변 저류지의 생태-수문조건은 습지형을 지배적인 유형으로 호소형과 육상형이 부분적으로 결합한 복합 습지모형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태특성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어류의 경우 납자루과와 잉어과 어종, 조류의 경우 봄철은 백로류, 겨울철은 오리류를 목표 생물종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들 목표 생물종의 번식지 및 산란처, 섭식 및 취식장소, 먹이원, 휴식지, 피난처, 치어 서식처, 잠자리 등 일반적인 서식환경을 고려한 구체적인 서식처 조성의 계획기준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환경친화적 수자원 관리의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천변저류지는 일차적인 홍수조절의 목적과 부차적인 생태공원으로서의 가치로 인하여 조성을 위한 기술개발과 함께 생태학적 계획기준...

      환경친화적 수자원 관리의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천변저류지는 일차적인 홍수조절의 목적과 부차적인 생태공원으로서의 가치로 인하여 조성을 위한 기술개발과 함께 생태학적 계획기준이 시급하게 요청되고 있다. 본연구는 생태 천변저류지의 조성과정에서 요구되는 목표 생물종과 서식환경의 조성 등 생태학적 계획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지는 국가차원의 천변 저류지 조성이 검토되고 있는 임진강 석장천 합류지역으로 하였고, 유사한 생태적 입지조건을 지닌 남한강 홍수터 지역을 대조지로 선정하였다. 식생과 어류상 및 조류상을 중심으로 생태특성을 조사분석한 결과 식생군집은 버드나무와 갯버들, 물억새, 갈대 등의 우점 군락이 대표적으로서 개방수역과 사주부, 경작지 등과 함께 물리적 기반환경을 형성하였고, 어류상은 잉어과 어종과 납자루과 어종이 대표적이었으며, 조류상은 물새류인 오리류와 주연부종인 붉은머리오목눈이가 우점종이었다. 생태 천변 저류지의 생태-수문조건은 습지형을 지배적인 유형으로 호소형과 육상형이 부분적으로 결합한 복합 습지모형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태특성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어류의 경우 납자루과와 잉어과 어종, 조류의 경우 봄철은 백로류, 겨울철은 오리류를 목표 생물종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들 목표 생물종의 번식지 및 산란처, 섭식 및 취식장소, 먹이원, 휴식지, 피난처, 치어 서식처, 잠자리 등 일반적인 서식환경을 고려한 구체적인 서식처 조성의 계획기준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eco-washland is increasingly getting attentions as a new alternative plan for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because of role as flooding control and ecological park without social and ecological side effec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y regard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ecological guidelines to create eco-washla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ecological guidelines necessary for engineering process to create eco-washland. A study site was the lower reach of Seokjang stream connecting to Yimjin river, a candidate of new eco-washland, and Kumsa area in Namhan river was selected as a reference site. The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vegetation, fishes, and birds. Major vegetation communities, composed of dominant species such as Salix koreensis, Salix gracylistyla, Miscanthus sacchariflorus, Phragmites communis, etc., formed physical conditions along with other land uses including open water, sandbar, cultivated land, etc. Dominant species of fishes
      were some species belonging to Cyprinidae and Acheilognathinae, and in case of birds Anser albifrons, Anas platyrhychos, Anas poecilorhyncha belonging to waterbirds and Paradoxornis webbinanus dependent to forest edge were dominantly distributed. The results showed that complex wetland types associated with partially deep water and upland was the optimal eco-hydrological condition of washland. Cyprinidae and Acheilognathinae in case of fish and Egretta spp. (spring season) and Anas spp. (winter season) in case of bird were selected as target species for the these wetland types. Finally, a detail planning criteria to create habitats of these target speci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pawning, breeding, feeding, resting, refuge, nesting, etc.
      번역하기

      An eco-washland is increasingly getting attentions as a new alternative plan for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because of role as flooding control and ecological park without social and ecological side effec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y regard...

      An eco-washland is increasingly getting attentions as a new alternative plan for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because of role as flooding control and ecological park without social and ecological side effec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y regard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ecological guidelines to create eco-washla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ecological guidelines necessary for engineering process to create eco-washland. A study site was the lower reach of Seokjang stream connecting to Yimjin river, a candidate of new eco-washland, and Kumsa area in Namhan river was selected as a reference site. The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vegetation, fishes, and birds. Major vegetation communities, composed of dominant species such as Salix koreensis, Salix gracylistyla, Miscanthus sacchariflorus, Phragmites communis, etc., formed physical conditions along with other land uses including open water, sandbar, cultivated land, etc. Dominant species of fishes
      were some species belonging to Cyprinidae and Acheilognathinae, and in case of birds Anser albifrons, Anas platyrhychos, Anas poecilorhyncha belonging to waterbirds and Paradoxornis webbinanus dependent to forest edge were dominantly distributed. The results showed that complex wetland types associated with partially deep water and upland was the optimal eco-hydrological condition of washland. Cyprinidae and Acheilognathinae in case of fish and Egretta spp. (spring season) and Anas spp. (winter season) in case of bird were selected as target species for the these wetland types. Finally, a detail planning criteria to create habitats of these target speci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pawning, breeding, feeding, resting, refuge, nesting, et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2.1 연구대상지역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2.1 연구대상지역
      • 2.2 연구의 전제 및 진행과정
      • 2.3 생태조사 분석
      • 2.4 생태적 계획기준 검토
      • 3. 결과 및 고찰
      • 3.1 연구대상지역의 특성
      • 3.2 생태특성분석
      • 3.3 생태적 계획기준
      • 감사의 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건설교통부,

      2 송승달, "환경생물학" 아카데미 서적 239-, 2000

      3 김덕길, "포늪 지역의 천변저류지 조성을 위한 수리 수문분석" 131-141, 2008

      4 한승완, "천조성과 서식처 보전 - 자연과 인간의 어울림 I" 백마출판사 150-, 2007

      5 안태진, "천변저류지 조성 계획에서 수문 및 수리적 운영에 관한 고찰" 956-960, 2007

      6 김재철, "우포늪의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저류량 분석" 330-336, 2008

      7 강민정, "우포늪에서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식물상,현존식생도 및 1차 생산" 한국습지학회 9 (9): 45-55, 2007

      8 김태근, "우포늪 지역에서 버드나무류 군집의 현존식생도,현존량 및 1차 생산성" 한국습지학회 9 (9): 33-43, 2007

      9 윤용남, "우리나라 수자원 관리정책의 현황과 과제" (121) : 14-20, 2003

      10 안봉원, "생태환경계획설계론" 도서출판 누리에 195-, 1998

      1 건설교통부,

      2 송승달, "환경생물학" 아카데미 서적 239-, 2000

      3 김덕길, "포늪 지역의 천변저류지 조성을 위한 수리 수문분석" 131-141, 2008

      4 한승완, "천조성과 서식처 보전 - 자연과 인간의 어울림 I" 백마출판사 150-, 2007

      5 안태진, "천변저류지 조성 계획에서 수문 및 수리적 운영에 관한 고찰" 956-960, 2007

      6 김재철, "우포늪의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저류량 분석" 330-336, 2008

      7 강민정, "우포늪에서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식물상,현존식생도 및 1차 생산" 한국습지학회 9 (9): 45-55, 2007

      8 김태근, "우포늪 지역에서 버드나무류 군집의 현존식생도,현존량 및 1차 생산성" 한국습지학회 9 (9): 33-43, 2007

      9 윤용남, "우리나라 수자원 관리정책의 현황과 과제" (121) : 14-20, 2003

      10 안봉원, "생태환경계획설계론" 도서출판 누리에 195-, 1998

      11 전승훈, "생태천변저류지의 생태학적 조성계획기준" 229-235, 2008

      12 안태진, "생태천변저류지 조성기술개발, 건설교통부/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건설기술혁신연구개발사업 기술보고서" 227-, 2007

      13 김만호, "복원중인 하천습지의" 6 (6): 12-14, 2004

      14 Newbury R. W, "Stream Analysis and Fish Habitat Design - A Field Manual" Newbury hydraulics 262-, 1993

      15 하성룡, "GIS를 활용한 천변저류지 적지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 8 (8): 107-112, 2006

      16 The Interagency Workgroup on Wetland Restoration, "An Introduction and User's Guide to Wetland Restoration" Creation and Enhancement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7-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 Journal of Wetlands Researh KCI등재
      2011-07-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5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