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으로 고용조정에 따른 효과적인 인적자원 활용과 고용안정방안을 제시해 보았으나, 전사회적인, 그리고 경영자 주도적인 고용조정의 분위기 속에 약자인 근로자들조차 생존권의 위협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상으로 고용조정에 따른 효과적인 인적자원 활용과 고용안정방안을 제시해 보았으나, 전사회적인, 그리고 경영자 주도적인 고용조정의 분위기 속에 약자인 근로자들조차 생존권의 위협 ...
이상으로 고용조정에 따른 효과적인 인적자원 활용과 고용안정방안을 제시해 보았으나, 전사회적인, 그리고 경영자 주도적인 고용조정의 분위기 속에 약자인 근로자들조차 생존권의 위협 앞에 속수무책인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뽀족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를 느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한적이나마 최근 고용조정의 실태와 문제점을 정리하고,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합리적인 고용조정의 과제로서 고용조정에 따른 철저한 준비, 시행단계에서의 대상자 선정기준 설정 등의 공정성 확보, 고용유지를 위한 노력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으며, 고용조정의 한 수단으로서 노동유연화전략 중 기능적 유연화를 중심으로 수량적 유연화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대안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을 위한 방안으로서 개별기업 차원의 노사간 협력의식 배가, 고용조정 회피를 위한 경영자의 최선의 노력, 고용조정 시 수단별 기대효과를 감안하여 단계별로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고용조정에 따른 인적자원의 가치 저평가 경향은 향후 경기회복 시 유능한 인재의 부족에 따른 경쟁력의 치명적 약화요인이 됨을 직시하고 고용조정을 최후의 수단으로서 인식하고, 평소에 현장기술인력에 대한 교육훈련 강화나 배치전환, 고용정보의 제공 등 꾸준한 투자와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을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매진할 때, 세계화, 정보화의 무한경쟁시대에 기업의 경쟁우위(competitive advantage) 확보는 물론, 근로자들의 삶의 질(Quality of Working Life)이 함께 고양되는 선진산업사회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지방자치시대 친환경적 지역개발의 대안으로서 환경관리레짐의 구축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