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경부, "환경친화적 계획기법 작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2 김미경, "제주도의 자연재해 경감을 위한 분산형 빗물관리방안" 1 (1): 57-63, 2007
3 김정진, "저영향개발(LID)적용을 위한 구조적 BMPs의 유출량 및 비점오염저감 효과모의: LIDMOD2 적용" 한국물환경학회 27 (27): 580-586, 2011
4 이민혜, "자연적 물순환을 고려한 주거단지 계획기법 및 적용연구" 세명대학교 대학원 2009
5 환경부, "유역관리기법 IㆍII" 2003
6 김영민, "우수저류시설에 따른 택지개발지구의 물순환 특성 분석" 2008
7 이태구, "외국의 빗물이용 사례" 43 (43): 42-57, 2008
8 최지용,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개발사업 및 사업장 비점오염원 최적관리방안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09
9 장수환, "신도시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그린인프라 조성 기준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2009
10 최지용, "수질개선을 위한 수변녹지의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2000
1 환경부, "환경친화적 계획기법 작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2 김미경, "제주도의 자연재해 경감을 위한 분산형 빗물관리방안" 1 (1): 57-63, 2007
3 김정진, "저영향개발(LID)적용을 위한 구조적 BMPs의 유출량 및 비점오염저감 효과모의: LIDMOD2 적용" 한국물환경학회 27 (27): 580-586, 2011
4 이민혜, "자연적 물순환을 고려한 주거단지 계획기법 및 적용연구" 세명대학교 대학원 2009
5 환경부, "유역관리기법 IㆍII" 2003
6 김영민, "우수저류시설에 따른 택지개발지구의 물순환 특성 분석" 2008
7 이태구, "외국의 빗물이용 사례" 43 (43): 42-57, 2008
8 최지용,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개발사업 및 사업장 비점오염원 최적관리방안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09
9 장수환, "신도시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그린인프라 조성 기준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2009
10 최지용, "수질개선을 위한 수변녹지의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2000
11 최희선, "수변지역 도시재생에 있어 저영향개발기법(LID)의 적용방안 및 효과"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2010
12 국토해양부, "생태도시ㆍ단지조성을 위한 핵심요소기술 개발 및 적용방안" 2008
13 최지용, "사례지역의 환경부하오염원별 관리방안 연구" 농업과학기술원ㆍ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2005
14 김영란, "빗물관리시설 설치 및 관리 매뉴얼 작성"
15 곽동근, "빗물관리를 통한 논의 물 관리기능 회복방안" 2008
16 최지용, "비점오염원 유출저감을 위한 우수유출수 관리방안"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2002
17 김이호,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공동주택 우수저류침투시설 설계기법 개발" 2006
18 한영해, "도시 주거지역에서의 분산식 빗물관리 계획모형 개발 :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9 김충일, "다양한 빗물이용기술을 적용한 유역의 물관리" 2008
20 김귀곤,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녹색도시 전략" 44 (44): 10-12, 2009
21 김동근, "그린 스쿨조성을 위한 학교 빗물이용시설의 설계인자" 2009
22 장태권, "관광단지 조성지구 LID기법 적용을 통한 비점오염 저감효과분석" 2011
23 윤규현, "공동주택에서 빗물이용시스템의 적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24 이상규, "경기도 주거지개발시 빗물 관리 및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5
25 U. S. Department of Defense, "Unified facilities criteria: low impact development"
26 U. S.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The practice of low impact development"
27 Dietz, M. E., "Strormwater runoff and export change with development in a traditional and low impact development" 87 : 560-566, 2008
28 Bedan E. S., "Stormwater runoff quality and quantity from traditional and low impact development watersheds" 45 (45): 998-1008, 2009
29 Guo, James C. Y., "Preservation of Watershed Regime for Low Impact Development using Detention" 15 (15): 15-20, 2010
30 Commonwealth of Virginia, "Preliminary report of the low impact development assessment task force" Low Impact Development Task Force 2003
31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Planning and urban design standards" John Wiley & Sons 2006
32 Prince Georgy's County, "Low-impact development strategies; an integrated design approach" 1999
33 U. S.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Low impact development(LID): a literature review"
34 Southeast Michigan Council of Government, "Low impact development manual for Michigan: a design guide for implementors and reviewers"
35 Shaver, E., "Low impact development design manual for the Auckland Region"
36 Puget Sound Action Team, "Low Impact Development" Washington State University Pierce County Extension 2005
37 전지홍, "LID/BMPs 효과분석을 위한 LIDMOD2 개발" 한국물환경학회 26 (26): 432-438, 2010
38 City of Los Angeles, "Green infrastructure for Los Angeles: Addressing urban runoff and water supply through low impact development"
39 State of Georgia, "Georgia stormwater management manual"
40 Ewing, R., "Best development practices: a primer for smart growth" Smart Growth Network 2007
41 최인호, "3단계 자연물순환체계 계획방법과 택지계획에서의 현장 적용 연구" 협성대학교 대학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