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 el presente trabajo se trata de algunos problemas de la transcripcion del espanol al coreano. Segun las reglas de Romanizacion Coreana, los fonemas oclusivos sordos del espanol /p, t, k/ deben transcribirse en /ㅍ, ㅌ, ㅋ/ respectivamente. Hay q...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31905
2012
Korean
770
KCI등재
학술저널
61-82(22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 el presente trabajo se trata de algunos problemas de la transcripcion del espanol al coreano. Segun las reglas de Romanizacion Coreana, los fonemas oclusivos sordos del espanol /p, t, k/ deben transcribirse en /ㅍ, ㅌ, ㅋ/ respectivamente. Hay q...
En el presente trabajo se trata de algunos problemas de la transcripcion del espanol al coreano. Segun las reglas de Romanizacion Coreana, los fonemas oclusivos sordos del espanol /p, t, k/ deben transcribirse en /ㅍ, ㅌ, ㅋ/ respectivamente. Hay que notar, sin embargo, que las realizaciones de estos tres fonemas del espanol /p, t, k/ pueden representarse con el simbolo fonetico [ㅃ, ㄸ, ㄲ], no con el [ㅍ, ㅌ, ㅋ]. Como hemos visto, la diferencia entre estos dos grupos es una diferencia fonica real. Razon por la cual algunos hispanistas coreanos arguyen que es necesario modificar la Romanizacion Coreana. Nos enteramos de que la Romanizacion Coreana sirve para transcribir uniformemente todos los idomas extranjeros del mundo. Pero, aplicandola estrictamente al espanol, los sonidos oclusivos sordos no aspirados del espanol no deben realizarse en el coreano, en el que existen foneticamente sus alofonos exactamente correspondientes. Para evitar este tipo de deformacion fonetica, propondremos que hay que reflejar las formas de uso y costumbres linguisticas de hablantes coreano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규, "「국어기본법」에 근거한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 국어국문학회 158 (158): 135-182, 2011
2 김민수, "한자 표기 原地音主義의 문제" 14 (14): 155-165, 2004
3 문교부, "편수자료 Ⅱ-2 : 외래어 표기 용례(지명․인명)" 문교부 1987
4 연규동, "짜장면'을 위한 변명: 외래어 표기법을 다시 읽는다" 한국어학회 30 : 181-206, 2006
5 박영록, "중국 한자어 원지음 표기의 문제점" 대동문화연구원 76 (76): 557-595, 2011
6 조문환, "이탈리아어 한글표기규정 개선방안 연구"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32) : 109-131, 2011
7 김기종, "우리 말 외래어표기법의 변천과 당면한 문제점(2)" 131 : 4-9, 2004
8 김기종, "우리 말 외래어표기법의 변천과 당면한 문제점(1)" 130 : 4-9, 2004
9 정희원, "외래어의 개념과 범위" 14 (14): 5-22, 2004
10 박정진, "외래어에 대한 된소리 표기 금지 원칙의 문제점과 대안 탐색" 한국문법교육학회 9 : 185-205, 2008
1 이상규, "「국어기본법」에 근거한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 국어국문학회 158 (158): 135-182, 2011
2 김민수, "한자 표기 原地音主義의 문제" 14 (14): 155-165, 2004
3 문교부, "편수자료 Ⅱ-2 : 외래어 표기 용례(지명․인명)" 문교부 1987
4 연규동, "짜장면'을 위한 변명: 외래어 표기법을 다시 읽는다" 한국어학회 30 : 181-206, 2006
5 박영록, "중국 한자어 원지음 표기의 문제점" 대동문화연구원 76 (76): 557-595, 2011
6 조문환, "이탈리아어 한글표기규정 개선방안 연구"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32) : 109-131, 2011
7 김기종, "우리 말 외래어표기법의 변천과 당면한 문제점(2)" 131 : 4-9, 2004
8 김기종, "우리 말 외래어표기법의 변천과 당면한 문제점(1)" 130 : 4-9, 2004
9 정희원, "외래어의 개념과 범위" 14 (14): 5-22, 2004
10 박정진, "외래어에 대한 된소리 표기 금지 원칙의 문제점과 대안 탐색" 한국문법교육학회 9 : 185-205, 2008
11 김선철, "외래어 표기법의 한계와 극복 방안" 대한언어학회 16 (16): 207-232, 2008
12 임동훈, "외래어 표기법의 원리와 실제" 6 (6): 41-61, 1996
13 김세중,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비판 분석" 6 (6): 161-174, 1996
14 이흥식, "외래어 표기법에 대하여" 23 : 123-148, 2001
15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 In 한국 어문 규정집"
16 정희원, "외래어 표기법" 1 (1): 193-210, 2001
17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 - 일반 명사"
18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 - 로마자 지명"
19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 - 로마자 인명"
20 정재도, "외래어 표기 문제에 대하여" 38 : 115-131, 1981
21 김세중, "외래어 표기 규범의 방향" 15 : 61-76, 1993
22 이은영, "불한번역에서 프랑스어 발음의 한글표기 불일치와 대응방안" 한국프랑스학회 72 : 89-121, 2010
23 장한업, "불어의 한글 표기상 문제점과 개선안"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13) : 1-17, 2002
24 문교부,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 20 : 207-214, 1959
25 이익섭, "로마자 표기법의 성격" 7 (7): 5-26, 1997
26 최문정, "러시아어 고유명사의 한글 표기법 비교 연구" 16 (16): 27-59, 2001
27 유만근, "外國語를 歸化시켜 국어다운 外來語로!" 6 (6): 105-121, 1996
28 김현창, "外來語의 문제점과 言語政策" 4 : 11-18, 1976
29 국어국문학회, "國語國文學會 外來語表記法案" 79 : 299-307, 1979
의존명사 “것”의 스페인어 번역 오류 유형 분석과 해결안 모색
과업중심 언어 교수법에 근거한 스페인어 교수 방법론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1 | 0.11 | 0.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1 | 0.1 | 0.37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