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회고와 전망: 동양을 넘어 서양을 넘어 = Recollections and Prospects: Beyond the East and Beyond the W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11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ast Asian world view is threefold: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Confucianism is about society, Buddhism is about afterlife, Taoism is about intuitive transcendency. Culture has become richer and richer roaming between three world views. No one world view dominated, rather depended on each other. East Asian world was peaceful and open to other thoughts and cultures.
      Confucianism is about social order and administration. And the model of it was familial affection. Other civilizations strangely are deficient of it. There too have evolved families and customs, but no familial ethics.
      Articles published by the Association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are twofold: articles on the classics and interpretations, and articles on the social issues and East Asian perspectives on them.
      East Asian Social Thoughts purported not only the East Asians but human beings in general. So it has to come up with inherent clues or suggestions to modern social problems including macro subjects like world order; social subjects like political, economical, cultural, educational, ethical, or familial problems; and micro subjects on values, cultivation of the mind, and courtesy.
      Most problems or issues of Korean society perplexing social scientists and journalists can be explained easily by substituting Korean familism, Confucianism, and traditional culture. They can suggest rational explanations to seemingly irrational and perplexing issues.
      번역하기

      East Asian world view is threefold: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Confucianism is about society, Buddhism is about afterlife, Taoism is about intuitive transcendency. Culture has become richer and richer roaming between three world views. No one...

      East Asian world view is threefold: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Confucianism is about society, Buddhism is about afterlife, Taoism is about intuitive transcendency. Culture has become richer and richer roaming between three world views. No one world view dominated, rather depended on each other. East Asian world was peaceful and open to other thoughts and cultures.
      Confucianism is about social order and administration. And the model of it was familial affection. Other civilizations strangely are deficient of it. There too have evolved families and customs, but no familial ethics.
      Articles published by the Association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are twofold: articles on the classics and interpretations, and articles on the social issues and East Asian perspectives on them.
      East Asian Social Thoughts purported not only the East Asians but human beings in general. So it has to come up with inherent clues or suggestions to modern social problems including macro subjects like world order; social subjects like political, economical, cultural, educational, ethical, or familial problems; and micro subjects on values, cultivation of the mind, and courtesy.
      Most problems or issues of Korean society perplexing social scientists and journalists can be explained easily by substituting Korean familism, Confucianism, and traditional culture. They can suggest rational explanations to seemingly irrational and perplexing iss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양의 세계관은 유불선 세 가지다. 현실에 관한 유교, 내세에 관한 불교, 그리고 초월적 세계를 직관으로 파악하는 도교 이 세 가지가 삼발이처럼 삶을 받쳐 왔다. 때로는 유교로, 때로는 불교로, 또 때로는 도교로 거닐면서 동양의 문화는 풍요해졌다. 하나의 이념이나 세계관이 지배하지 않고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하는 이 세계는 평화로운 것이었다. 그리고 이질적 생각, 사상, 문화에 개방된 것이었다.
      유교는 사회 운영에 관한 사상이고 그 모델은 가족적 친애이다. 평범한 윤리이지만 다른 문명권을 보면 인간관계 윤리가 결여되어 있다. 동북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문명권에도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난 가족제도와 관습은 있지만 가족 구성원 사이의 윤리가 결여되어 있다.
      동양사회사상학회에서 지금까지 출간한 동양사회사상을 보면 한편으로는 유불선의 고전에 대한 공부와 해석이 제시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각종 사회 현상에 대한 동양적 시각을 제시하였다.
      동양사상이 한국이나 동북아 국가들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의 ‘상常’에 대한 것이라면 세계의 주요 문제에 대해 고유한 답을 내놓아야 한다. 그것은 세계 질서와 같은 거시적인 문제에서부터 시작하여 정치, 경제, 문화, 종교, 교육, 윤리, 가족과 같은 사회제도의 문제, 그리고 개인의 가치관, 수양, 예절, 성선, 세계관에 관한 미시적인 문제가 다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사실 가족 하나만 가지고도 동양사상은 현대사회의 문제들에 대해 많은 답을 제시할 수 있다.
      현재 한국의 설명하기 어려운 문제들에 대해서 한국의 가족주의와 유교와 전통문화를 대입하면 의외로 쉽게 설명이 된다. 정치, 경제, 교육, 종교의 상당 부분, 불합리해 보이던 부분이 합리적으로 설명된다.
      번역하기

      동양의 세계관은 유불선 세 가지다. 현실에 관한 유교, 내세에 관한 불교, 그리고 초월적 세계를 직관으로 파악하는 도교 이 세 가지가 삼발이처럼 삶을 받쳐 왔다. 때로는 유교로, 때로는 불...

      동양의 세계관은 유불선 세 가지다. 현실에 관한 유교, 내세에 관한 불교, 그리고 초월적 세계를 직관으로 파악하는 도교 이 세 가지가 삼발이처럼 삶을 받쳐 왔다. 때로는 유교로, 때로는 불교로, 또 때로는 도교로 거닐면서 동양의 문화는 풍요해졌다. 하나의 이념이나 세계관이 지배하지 않고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하는 이 세계는 평화로운 것이었다. 그리고 이질적 생각, 사상, 문화에 개방된 것이었다.
      유교는 사회 운영에 관한 사상이고 그 모델은 가족적 친애이다. 평범한 윤리이지만 다른 문명권을 보면 인간관계 윤리가 결여되어 있다. 동북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문명권에도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난 가족제도와 관습은 있지만 가족 구성원 사이의 윤리가 결여되어 있다.
      동양사회사상학회에서 지금까지 출간한 동양사회사상을 보면 한편으로는 유불선의 고전에 대한 공부와 해석이 제시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각종 사회 현상에 대한 동양적 시각을 제시하였다.
      동양사상이 한국이나 동북아 국가들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의 ‘상常’에 대한 것이라면 세계의 주요 문제에 대해 고유한 답을 내놓아야 한다. 그것은 세계 질서와 같은 거시적인 문제에서부터 시작하여 정치, 경제, 문화, 종교, 교육, 윤리, 가족과 같은 사회제도의 문제, 그리고 개인의 가치관, 수양, 예절, 성선, 세계관에 관한 미시적인 문제가 다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사실 가족 하나만 가지고도 동양사상은 현대사회의 문제들에 대해 많은 답을 제시할 수 있다.
      현재 한국의 설명하기 어려운 문제들에 대해서 한국의 가족주의와 유교와 전통문화를 대입하면 의외로 쉽게 설명이 된다. 정치, 경제, 교육, 종교의 상당 부분, 불합리해 보이던 부분이 합리적으로 설명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류: 전통문화의 재해석" 15 : 5-34, 2007

      2 "탈현대와 유교"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7

      3 "유교적 사회질서와 문화. 민주주의"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6

      4 "유교사회 구성원리에 관한 연구" 14 : 5-36, 2006

      5 "보편적 세계인식 원리로서의 가家" 13 : 5-52, 2006

      1 "한류: 전통문화의 재해석" 15 : 5-34, 2007

      2 "탈현대와 유교"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7

      3 "유교적 사회질서와 문화. 민주주의"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6

      4 "유교사회 구성원리에 관한 연구" 14 : 5-36, 2006

      5 "보편적 세계인식 원리로서의 가家" 13 : 5-52,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9-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사회사상 -> 사회사상과 문화
      외국어명 : Jon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 Jonrnal of Social Thoughts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3-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nrnal of Asian Social Thoughts -> Jon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3 1.56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