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학생선수의 진로 계발 역량 수준과 차이 분석 = An Analysis of Competency Level and Difference for Students-Athletes` Career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516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ency level and difference for students-athletes' career development. For doing this, this study enables to give feasible information for better career education of students-athletes in Korea. Total 1736 students-athletes are selecte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nation-wide questionnaire is implemented and total 1671 are finally selected to investigate the competency level and difference of students-athlete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re analyzed using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have showed that 'self-understanding' is the highest level am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then 'career decision' and 'career information searching' are successively followed. Second, depending on biographic differences of students-athletes, it is concluded that competency level of students-athletes with the enrollmen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possession of high academic and playing performance, the enrollment of non-sport schools, participating team sports, and having playing awards is higher than those with the enrollment of high schools, the possession of low academic and playing performance, the enrollment of the sport schools, participating individual sports, and having no playing award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ency level and difference for students-athletes' career development. For doing this, this study enables to give feasible information for better career education of students-athletes in Korea. Total 17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ency level and difference for students-athletes' career development. For doing this, this study enables to give feasible information for better career education of students-athletes in Korea. Total 1736 students-athletes are selecte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nation-wide questionnaire is implemented and total 1671 are finally selected to investigate the competency level and difference of students-athlete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re analyzed using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have showed that 'self-understanding' is the highest level am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then 'career decision' and 'career information searching' are successively followed. Second, depending on biographic differences of students-athletes, it is concluded that competency level of students-athletes with the enrollmen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possession of high academic and playing performance, the enrollment of non-sport schools, participating team sports, and having playing awards is higher than those with the enrollment of high schools, the possession of low academic and playing performance, the enrollment of the sport schools, participating individual sports, and having no playing awar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행복교육, 창의인재 양성 –2013년 국정과제 실천 계획-" 2013

      2 윤명희, "한일 관광관련학과 대학생의 희망직업 전공 간 일치여부 및 취업준비행동 비교" 한국일본근대학회 (27) : 203-216, 2010

      3 최인재,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Ⅳ : 청소년 진로ㆍ직업 지표" 한국청소년개발원 2009

      4 구창모, "한국 금메달리스트의 은퇴 및 진로 연구 –올림픽 및 아시안게임 참가선수를 중심으로-" 15 (15): 71-84, 2002

      5 이혁기,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는 학생선수의 경험과정 : 자아의 재정의"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4 (24): 1-24, 2011

      6 이사라, "학습자로서 학생선수의 특성과 방과후 수업을 통한 학생선수의 변화와 성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71-200, 2011

      7 한태룡, "학생선수의 학업활동 실태조사 및 최저학력제 타당성 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2008

      8 한태룡, "학생선수의 진로경로 실태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3 (23): 135-148, 2010

      9 유정애, "학생 선수의 학습 역량 계발을 위한 교육 방향과 과제" 한국체육학회 51 (51): 157-169, 2012

      10 류태호, "학교체육 정책에 관한 제도개선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1 교육부, "행복교육, 창의인재 양성 –2013년 국정과제 실천 계획-" 2013

      2 윤명희, "한일 관광관련학과 대학생의 희망직업 전공 간 일치여부 및 취업준비행동 비교" 한국일본근대학회 (27) : 203-216, 2010

      3 최인재,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Ⅳ : 청소년 진로ㆍ직업 지표" 한국청소년개발원 2009

      4 구창모, "한국 금메달리스트의 은퇴 및 진로 연구 –올림픽 및 아시안게임 참가선수를 중심으로-" 15 (15): 71-84, 2002

      5 이혁기,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는 학생선수의 경험과정 : 자아의 재정의"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4 (24): 1-24, 2011

      6 이사라, "학습자로서 학생선수의 특성과 방과후 수업을 통한 학생선수의 변화와 성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71-200, 2011

      7 한태룡, "학생선수의 학업활동 실태조사 및 최저학력제 타당성 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2008

      8 한태룡, "학생선수의 진로경로 실태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3 (23): 135-148, 2010

      9 유정애, "학생 선수의 학습 역량 계발을 위한 교육 방향과 과제" 한국체육학회 51 (51): 157-169, 2012

      10 류태호, "학교체육 정책에 관한 제도개선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11 하철수, "태권도 선수들의 학교생활태도에 따른 진로의식과 운동스트레스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0 (20): 453-462, 2011

      12 임성철, "체육교사 운동부 감독의 공부하는 학생선수 만들기 실천과정"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5 (25): 115-135, 2012

      13 이종형, "체육고등학교 운동부 감독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사례 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0 (20): 621-635, 2009

      14 류재윤,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9 (9): 99-116, 2012

      15 천미숙,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7

      16 이지연, "진로전환기 청소년의 진로계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17 이동혁, "진로의사결정에서의 진로장벽의 역할:예측변인 또는 조절변인" 한국상담학회 12 (12): 59-80, 2011

      18 어윤경, "진로성숙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실현의 관계: 의사결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1029-1046, 2010

      19 한국고용정보원, "진로상담가이드"

      20 한국고용정보원, "진로교육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2008

      21 박성기, "중등 체육교사의 운동부 담당에 따른 역할갈등의 근거 이론적 접근"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 (19): 101-122, 2012

      22 임용석, "중도탈락 학생운동선수들의 상실 과정"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37-70, 2010

      23 국가인권위원회, "중도탈락 학생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0

      24 김강호, "전문계 고교생의 진로성숙도 발달과 영향변인" 한국직업능력계발원 117-137, 2009

      25 고재성, "전문계 고교생의 진로개발역량과 관련 변인"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1-19, 2010

      26 이동성, "자문화기술지를 통한 초등학교 운동부 지도경험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341-364, 2011

      27 최희윤, "은퇴한 여자핸드볼 선수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한국체육학회 51 (51): 83-93, 2012

      28 대한체육회, "은퇴선수 생활실태 조사 및 진로사업개발" 대한체육회 2012

      29 차은주, "운동중단 학생선수의 직업경로 탐색" 한국체육학회 51 (51): 125-136, 2012

      30 임언, "영국, 뉴질랜드, 캐나다, 호주의 진로교육"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31 신선미, "여대생의 직업세계 인식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32 김양례, "스포츠마당 : 은퇴선수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123 : 69-76, 2013

      33 김지태, "소프트볼 선수들의 진로장벽, 진로스트레스, 진로발달의 인과관계" 한국체육학회 52 (52): 325-337, 2013

      34 구창모, "비인기 종목 대학 운동선수의 생활양식 연구"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3 (23): 1-18, 2010

      35 박재우, "미국, 호주, 영국의 엘리트운동선수들을 위한 경력개발 및 진로전환 지원프로그램 비교연구: 정책적 함의 및 대안 도출"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2 (22): 1739-1754, 2011

      36 이경훈, "대학운동선수들의 경력개발과 물리적제재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웰니스학회 7 (7): 23-33, 2012

      37 김경화,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9 (19): 359-379, 2012

      38 윤명희,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평생 진로계발 역량의 탐색" 14 : 1-31, 2009

      39 안길영, "대학 핸드볼, 농구선수 및 체육전공 학생의 진로성공태도 분석" 한국체육학회 43 (43): 615-624, 2004

      40 이경훈, "대학 운동선수의 미래 진로개발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 8 (8): 71-80, 2013

      41 권혜경, "낙관성이 진로태도성숙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성취동기와 자아강도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723-741, 2004

      42 국회입법조사처, "국가대표선수 은퇴 후 진로강화를 위한 지원체계의 현황 및 발전방향(2009년 1월7일)" 국회입법조사처 2009

      43 이용식, "국가대표 은퇴선수의 진로지원 방안"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19 (19): 136-145, 2008

      44 임언,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구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45 이규욱, "공업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공태도 측정도구 개발" 한국직업교육학회 22 (22): 99-127, 2003

      46 임수원, "공부하는 학생선수 만들기의 논리적 근거" 한국체육학회 50 (50): 45-57, 2011

      47 김무영, "고등학교 비우수 학생선수의 고민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1 (11): 177-191, 2004

      48 이원희, "고등학교 4학년, 학생선수 유급 이야기: 기저, 경험 그리고 당면과제" 한국체육학회 52 (52): 49-58, 2013

      49 Patricia, S. L., "The career planning, athletic identity, and student role identity of intercollegiate student athletes" 76 (76): 275-285, 2005

      50 McKnight, K., "Life after sport : Athletic career transition and transferable skills" 13 : 63-77, 2009

      51 Skorikov, V., "Continuity in adolescent career preparation and its effects on adjustment" 70 (70): 8-24, 2007

      52 Wylleman, P., "Career transitions in sport : European perspectives" 5 : 7-20,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5 1.2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