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 환경의 온라인 관광영어수업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online-based Tourism English courses during COVID-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04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online-based Tourism English courses during COVID-19 and suggest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o facilitate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the study, 168 students enrolled in Tourism English course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various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a 15-week semester and complete a survey about their course. The survey questions were formed to confirm the preference for online lecturing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findings, students preferred to have EverLec (online prerecorded instruction) to Zoom (online face-to-face instruction) and showed a distinctive preference for small group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online instructions and learner variables. Students also reported their higher satisfaction with teacher-student interaction rather than student-student interaction online. In addition, students’ suggestions to facilitate English competence in tourism courses are as follows: 1) having a blended method with both online synchronous instruction and online prerecorded instruction simultaneously; 2) making assignments for small group discussion; 3) having low stakes assignments; and 4) having more LMS-based teacher-student interaction. Lastly, regarding COVID-19 and the traditional online learning situation, further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is study.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online-based Tourism English courses during COVID-19 and suggest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o facilitate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the study, 168 students enrolled in Tourism English cour...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online-based Tourism English courses during COVID-19 and suggest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o facilitate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the study, 168 students enrolled in Tourism English course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various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a 15-week semester and complete a survey about their course. The survey questions were formed to confirm the preference for online lecturing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findings, students preferred to have EverLec (online prerecorded instruction) to Zoom (online face-to-face instruction) and showed a distinctive preference for small group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online instructions and learner variables. Students also reported their higher satisfaction with teacher-student interaction rather than student-student interaction online. In addition, students’ suggestions to facilitate English competence in tourism courses are as follows: 1) having a blended method with both online synchronous instruction and online prerecorded instruction simultaneously; 2) making assignments for small group discussion; 3) having low stakes assignments; and 4) having more LMS-based teacher-student interaction. Lastly, regarding COVID-19 and the traditional online learning situation, further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is stud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유식, "혼합형 학습 기반 스마트 이러닝 구현"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 (20): 171-178, 2020

      2 이연숙, "혼합 연구 방법에 의한 온라인 영어뉴스 청취수업에 대한 효용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51-774, 2019

      3 조상기, "프로젝트 중심 영어 교수-학습 모형이 영어학업성취와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4 (4): 101-125, 1999

      4 최정임, "웹 기반 수업에서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수 전략 탐구" 15 (15): 129-154, 1999

      5 이종연, "웹 기반 교육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및 사전지식과 전달전략이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18 (18): 3-25, 2002

      6 서희전,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7 이충현, "온라인 멀티미디어 영어교육 수업을 위한 효율적인콘텐츠 유형과 교수ㆍ학습 방안" 외국어교육연구소 23 (23): 103-134, 2009

      8 이윤주, "사이버대학 온라인 영어 교수‧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선호도 및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9 (9): 151-186, 2006

      9 선문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교육과정 지원센터, "문제해결형 교육과정개발 운영 가이드: PBL(Problem-Based Learning 문제기반학습) 교과목"

      10 이인숙, "모바일학습의 탐구" 문음사 2006

      1 홍유식, "혼합형 학습 기반 스마트 이러닝 구현"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 (20): 171-178, 2020

      2 이연숙, "혼합 연구 방법에 의한 온라인 영어뉴스 청취수업에 대한 효용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51-774, 2019

      3 조상기, "프로젝트 중심 영어 교수-학습 모형이 영어학업성취와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4 (4): 101-125, 1999

      4 최정임, "웹 기반 수업에서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수 전략 탐구" 15 (15): 129-154, 1999

      5 이종연, "웹 기반 교육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및 사전지식과 전달전략이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18 (18): 3-25, 2002

      6 서희전,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7 이충현, "온라인 멀티미디어 영어교육 수업을 위한 효율적인콘텐츠 유형과 교수ㆍ학습 방안" 외국어교육연구소 23 (23): 103-134, 2009

      8 이윤주, "사이버대학 온라인 영어 교수‧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선호도 및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9 (9): 151-186, 2006

      9 선문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교육과정 지원센터, "문제해결형 교육과정개발 운영 가이드: PBL(Problem-Based Learning 문제기반학습) 교과목"

      10 이인숙, "모바일학습의 탐구" 문음사 2006

      11 남정미,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수업 사례 연구: 교양영어 교과목으로 온라인 토익수업의 학습효과" 새한영어영문학회 51 (51): 277-301, 2009

      12 이옥형, "대학의 블랜디드 러닝과 면대면 수업의 수업 만족도 연구" 41 (41): 1-24, 2007

      13 박은영, "대학영어수업에서 사이버공간을 활용한 영어 보조 학습" 77 : 183-211, 2013

      14 김소희, "대학교육에서 온라인학습의 활용 동향과 교수 . 학습적 함의" 원격교육연구소 14 (14): 51-78, 2018

      15 전은화, "대학 블랜디드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과 온라인 학습 활동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학습분석 접근법" 한국교육공학회 31 (31): 431-457, 2015

      16 임선영, "교양영어 컨텐츠 개발을 위한 사이버대학 학습자 요구 분석" 한국응용언어학회 20 (20): 155-178, 2004

      17 이은실, "교양영어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나는 성인학습자의 특성" 2017

      18 한숭희, "고등교육 보편화와 체제적 복잡화: 고등교육과 평생학습의 화학적 결합" 원격교육연구소 12 (12): 1-31, 2016

      19 Zoom Video Communications, "Zoom [Computer software]"

      20 Microsoft, "Skype [Computer software]"

      21 Schwieger, D., "Reaching and retaining the next generation : Adapting to the expectations of Gen Z in the classroom" 16 (16): 45-54, 2018

      22 Barnard, L., "Online self-regulatory learning behavior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course perceptions with achievement" 9 (9): 1-11, 2008

      23 Kern, R., "Network-based language teaching: Concepts &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9, 2000

      24 Garrison, D. R., "Institutional change and leadership associated with blended learning innovation : Two case studies" 18 : 24-28, 2013

      25 Gilham, C., "Face to face : Video conferencing creates opportunities for incarcerated youth" 52 (52): 29-31, 2002

      26 Xinics, "EverLec [Computer softwa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영상영어교육(STEM Journal) -> 영상영어교육
      외국어명 : STEM Journal -> Journal of English Teaching through Movies and Media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3 0.65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